본문내용
- 0.005mg PO4-P/ml이기 때문에
★시료의 농도 :
2배희석 :
<고 찰>
이번 실험은 시료의 인의 양을 구하는 실험으로 2학년에 처음 올라와서 하는 실험이어서 이것저것 실수가 많아서 계속해서 재실험 하였다. 보고서의 데이터 값은 세 번째 재실험 값이다.
이번 실험의 주목적은 시료의 인의 농도를 구하는 것으로, 시료의 흡광도를 검량선에 맞추기 위하여 검량액과 다른 배수의 희석액을 만들었다. 검량액은 1~20ml에 5ml단위로 검량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인산이온이 몰리브덴산암모늄과 반응하여 생성된 몰리브덴산암모늄을 아스코르빈산으로 환원하여 생성된 몰리브덴산 청의 흡광도를 찍는 아스코르빈산의 환원법을 사용했다.
몰리브덴산암모늄-아스코르빈산혼액은 몰리브덴산암모늄과 주석산안티몬칼륨에 물을 넣고 섞었더니 하얀색으로 되었다. 여기에 황산(2+1)을 넣었더니 투명한 색으로 변하더니 설파민산암모늄을 넣고 7.2%의 아스코르빈산용액을 넣었더니 노랑색으로 변하였다.
본 실험에서 몰리브덴산암모늄-아스코르빈산혼액 2ml를 시료 및 검량액에 넣고 10분정도 방치했더니 시료 및 검량액이 푸른색으로 변하였다. 푸른색으로 변하 였다는 것은 인산이온이 환원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880nm에서 흡광도를 찍어야 하지만, 이가 불가능하여 710nm에서 흡광도를 찍어 농도를 구하였다. 계산한 결과 희석하지 않은 시료의 인의 농도는 3.225mg/L 로 예상한 것보다 높게 나온거 같다. 그리고 2배 희석한 인의 농도는 0.495mg/L로 적당한 값이 나온거 같다.
세 번째 실험하면서 실험에 익숙해지고 장비와 기구에도 익숙해졌다. 이 실험은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주해책에 있는 방법으로 한 것이고, standard method책에 있는 것과는 용액을 만드는 과정에서 넣는 양들이 조금씩 다르다. 우리가 예전에 실험을 실패한 것은, 검량선 작성하는데 “시료의 시험방법에 따라”라는 말을 잘 몰라서 몰리브덴산암모늄-아스코르빈산혼액을 검량액에 넣지 않았고, 기기나 실험 도구를 잘 사용하지 못해서 이다.
이번 실험을 마치면서 처음에 우리가 실험방법을 조사해오고 그것을 바탕으로 실험해서 당황스럽고 실수도 많았지만, 실험이 매우 간단한 실험이었구나라고 생각이 들었고, 실험하는데 있어서 하나하나 주의를 하면서 해야겠다.
♣ 참고문헌
ㆍ Standard Method (2005년 개정판)
ㆍ 수질오염 공정시험방법주해
ㆍ 인터넷 네이버 지식인
★시료의 농도 :
2배희석 :
<고 찰>
이번 실험은 시료의 인의 양을 구하는 실험으로 2학년에 처음 올라와서 하는 실험이어서 이것저것 실수가 많아서 계속해서 재실험 하였다. 보고서의 데이터 값은 세 번째 재실험 값이다.
이번 실험의 주목적은 시료의 인의 농도를 구하는 것으로, 시료의 흡광도를 검량선에 맞추기 위하여 검량액과 다른 배수의 희석액을 만들었다. 검량액은 1~20ml에 5ml단위로 검량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인산이온이 몰리브덴산암모늄과 반응하여 생성된 몰리브덴산암모늄을 아스코르빈산으로 환원하여 생성된 몰리브덴산 청의 흡광도를 찍는 아스코르빈산의 환원법을 사용했다.
몰리브덴산암모늄-아스코르빈산혼액은 몰리브덴산암모늄과 주석산안티몬칼륨에 물을 넣고 섞었더니 하얀색으로 되었다. 여기에 황산(2+1)을 넣었더니 투명한 색으로 변하더니 설파민산암모늄을 넣고 7.2%의 아스코르빈산용액을 넣었더니 노랑색으로 변하였다.
본 실험에서 몰리브덴산암모늄-아스코르빈산혼액 2ml를 시료 및 검량액에 넣고 10분정도 방치했더니 시료 및 검량액이 푸른색으로 변하였다. 푸른색으로 변하 였다는 것은 인산이온이 환원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880nm에서 흡광도를 찍어야 하지만, 이가 불가능하여 710nm에서 흡광도를 찍어 농도를 구하였다. 계산한 결과 희석하지 않은 시료의 인의 농도는 3.225mg/L 로 예상한 것보다 높게 나온거 같다. 그리고 2배 희석한 인의 농도는 0.495mg/L로 적당한 값이 나온거 같다.
세 번째 실험하면서 실험에 익숙해지고 장비와 기구에도 익숙해졌다. 이 실험은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주해책에 있는 방법으로 한 것이고, standard method책에 있는 것과는 용액을 만드는 과정에서 넣는 양들이 조금씩 다르다. 우리가 예전에 실험을 실패한 것은, 검량선 작성하는데 “시료의 시험방법에 따라”라는 말을 잘 몰라서 몰리브덴산암모늄-아스코르빈산혼액을 검량액에 넣지 않았고, 기기나 실험 도구를 잘 사용하지 못해서 이다.
이번 실험을 마치면서 처음에 우리가 실험방법을 조사해오고 그것을 바탕으로 실험해서 당황스럽고 실수도 많았지만, 실험이 매우 간단한 실험이었구나라고 생각이 들었고, 실험하는데 있어서 하나하나 주의를 하면서 해야겠다.
♣ 참고문헌
ㆍ Standard Method (2005년 개정판)
ㆍ 수질오염 공정시험방법주해
ㆍ 인터넷 네이버 지식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