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주의 영시 - 19세기 낭만주의 영시에 관해서 (English Romanticism)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9세기 영시 sec.01

<Report on English Romanticism>

1. 낭만주의 시대상
2. 낭만주의 문학
3. 낭만주의 시에서의 자연
5.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상력으로 만들어진 자연의 모습을 통해 시인의 내면과 자연과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유추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시에서 시 전체를 지배하는 ‘tumult'와 ’measureless'의 이미지는 시인의 내면에서 재해석된 자연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코울리지는 단순히 엄청난 소용돌이, 혹은 측정불가의 거대한 동굴의 모습을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시인의 내면에 자리 잡은 끝없는 힘에 대해 이야기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볼 때 이 시는 낭만주의적 상상력이 완전히 내면화시킨 자연의 모습을 표현한 시로 볼 수 있다.
이렇게 자연의 본 모습 즉, 자연의 영혼을 인간이 느끼면서, 그리고 접촉해 가면서 인간은 자신들이 현재 느끼는 아픔을, 그리고 고독을 치유한다고 치부하며 자연을 신과 같은 존재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생각은 워즈워스의 ‘틴턴사원 몇 마일쯤 위에서 지은 시’에서 잘 나타난다.
for she(nature) can so inform
The mind that is within us, so impress
With lofty thoughts, that neither evil tongues,
Rash judgments, nor the sneers of selfish men,
Nor greetings where no kindness is, nor all
The dreary intercourse of daily life,
Shall e'er prevail against us, or disturb
Our chearful faith that all which we behold
Is full of blessings.
[자연은]우리 내부의 정신을 가르치고,
고요함과 아름다움으로 감명을 주고,
또 높은 사색으로 양육하기에,
험한 말이나 경솔한 판단도 ,
이기적인 사람들의 조롱도,
친절한 마음이 깃들지 않은 인사도,
또한 일상생활의 온작 황량한 교제도,
우리를 이기지 못할 것이며,
또한 우리가 바라보는 모든 것이 축복으로 가득하다는
명랑한 신념을 흩트리지도 못하리라
위의 시구는 워즈워스의 신념인 ‘인간 세계가 아무리 메마르고 타락해도 자연이 주는 기쁨에 의해서 우리의 신념을 깨뜨릴 수는 없다’가 잘 나타나는 부분이다. 이는 자연을 종교적인 믿음으로 발전하여 보고 있음을 말해 준다. 자연이 우리를 지배하고, 자극하고, 충족하고 또 통일하는 절대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말이다. 낭만주의 시인의 기본적인 태도인 자연을 물리적인 것을 넘어서 영적인 것을 바라보고, 그것의 본질을 깨우치고 받아들이는 것을 워즈워스는 절대자로까지 확대한 것이다. 이렇게 자연은 그들에게 단순히 마음의 평화와 눈의 정화만 시켜주는 것이 아닌 정신적으로 중요하고, 또 많은 것을 가르쳐주는 존재였다.
5. 결론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낭만주의 시인들의 또 다른 별명은 자연시인이다. 표면적으로는 자연을 소재로, 더 정확히 말하자면 자연의 본모습을 소재로 시를 많이 썼기 때문이라고만 할 수 있다. 하지만 당시 사회배경에 의하여 살펴보면 또 다른 이유를 찾아 낼 수 있다. 워즈워스등의 낭만주의 시인들은 당시 혁명이 일어나는 영국에 살았고, 혁명에 적극 동참하였다. 하지만 그들은 혁명의 좋은 면뿐만이 아닌 참혹한 면까지 보아 버린 것이다. 혁명이라는 게 더 발전된 사회로의 첫걸음이기에 더 나은 삶을 가져올 수 있지만, 인간이라는 게 더 나은 삶에서 살게 되면 살게 될수록 그 삶에 적응하지 못하고 수많은 문제를 일으키기 마련이다. 이를 보고 낭만주의 시인들은 그들이 지지하고 있고, 열정을 쏟아 붓고 있는 혁명에의 회의가 생긴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들은 더 이상 혁명에의 열의를 불태우지 않고, 대신에 순수하고 깨끗한 자연에 관한 시만 쓰기 시작한 것이다. 그 결과, 낭만주의 시대의 시들은 그 당시의 더러운 사회배경에도 불구하고 마음까지 깨끗이 정화시켜주는 시들이 많이 나오게 되었다.
하지만 자연에 관한 시들만 나온 이때의 문학사가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자연이라는 소재는 그 당시 더러운 사회를, 혁명을 피하기 위해서 선택한 소재이기에 비합리적이라는 의견도 많다. 또한 타인들의 공리적이고 평범한 부르주아적 성격을 경멸하는 마음에서 쓴 시들이기에 정역, 감성, 본능적 추구는 모두 무의지적이라는 비판도 있다.
※참고 문헌
권영탁, 설태수 공저 영국낭만시의 이해와 감상 형설출판사
영국 낭만시 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안영수 저 영국낭만주의 시 연구 경희대학교 출판국
김회진 지음 영문학사의 이해 지문당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08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6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