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사이각
5°
10°
15°
20°
25°
30°
간섭 무늬 간격
6.5cm
3.5cm
2.5cm
1.5cm
1.3cm
1.2cm
2) 필름 2장의 사이각을 변화시키면서 나타나는 간격을 직접 측정해 본 결과 다음과 같다.
무아레 간섭에 의해서 생긴 간섭무늬는 다음과 같다.
3) 무아레 간섭에서 간섭무늬 사이의 간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사이각
5°
10°
15°
20°
25°
30°
간섭 무늬 간격
(실측값)
6.5cm
3.5cm
2.5cm
1.5cm
1.3cm
1.2cm
간섭 무늬 간격
(계산값)
5.7cm
2.9cm
1.9cm
1.46cm
1.18cm
1.00cm
여기서 (=5mm)는 검은 줄무늬 사이의 간격이고, 이를 위의 표에서 측정한 값으로 계산을 해 보면,
(실측값이 이론치보다 모두 크게 나온 것으로 보아 실제 측정을 할 때, 무늬와 무늬의 경계가 애매하기 때문에 각각의 기준점을 잡고 거리를 측정하는데 있어 오차가 수반된 것 같다. 하지만 들쭉날쭉하게 측정을 한 것이 아니고 일정하게 크게 측정한 것으로 보아 비교적 실험은 잘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결론 및 자기평가> 무아레 간섭현상을 직접 볼 수 있었고, 이를 수식적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실험D. 박막에서의 간섭 실험
박막에서의 간섭현상을 관측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표이다. PVC 통에 비눗물을 칠하여 박막을 형성하고 이를 눈으로 관측하면 다음과 같다.
비눗물에서의 보강간섭 조건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n은 비눗물의 굴절률, t는 박막의 두께, 는 보강간섭이 일어나는 빛의 파장이다. 위의 식으로부터, 비눗물 박막의 두께를 계산해 보면, 가 나온다.
위의 오른쪽 그림은 실리콘 웨이퍼 위의 산화막에서의 간섭현상을 찍은 사진이다.
4. 실험결과 및 고찰
1) 실험B에서 분석을 하였기에 반복하지 않겠고, 미지의 광원에 대해서도 밝은 무늬의 간격과 슬릿간격과 슬릿에서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안다면 그 광원의 파장을 다음의 식의 관계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2) 박막실험은 하지 않았으므로 skip 하도록 함.
5. 연습문제
1) 이중슬릿 실험에서 본인의 생각으로는 슬릿의 매질의 종류에 상관없이 실험결과에는 슬릿의 간격과 사용한 광원의 파장과 슬릿에서 스크린까지의 거리만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한다.
2) 빛을 분광기에 통과 시킬 때나, 물방울에 의한 굴절에서도 빛의 분산을 관측할 수 있다.
3)
사이각
5°
10°
15°
20°
25°
30°
간섭 무늬 간격
6.5cm
3.5cm
2.5cm
1.5cm
1.3cm
1.2cm
2) 필름 2장의 사이각을 변화시키면서 나타나는 간격을 직접 측정해 본 결과 다음과 같다.
무아레 간섭에 의해서 생긴 간섭무늬는 다음과 같다.
3) 무아레 간섭에서 간섭무늬 사이의 간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사이각
5°
10°
15°
20°
25°
30°
간섭 무늬 간격
(실측값)
6.5cm
3.5cm
2.5cm
1.5cm
1.3cm
1.2cm
간섭 무늬 간격
(계산값)
5.7cm
2.9cm
1.9cm
1.46cm
1.18cm
1.00cm
여기서 (=5mm)는 검은 줄무늬 사이의 간격이고, 이를 위의 표에서 측정한 값으로 계산을 해 보면,
(실측값이 이론치보다 모두 크게 나온 것으로 보아 실제 측정을 할 때, 무늬와 무늬의 경계가 애매하기 때문에 각각의 기준점을 잡고 거리를 측정하는데 있어 오차가 수반된 것 같다. 하지만 들쭉날쭉하게 측정을 한 것이 아니고 일정하게 크게 측정한 것으로 보아 비교적 실험은 잘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결론 및 자기평가> 무아레 간섭현상을 직접 볼 수 있었고, 이를 수식적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실험D. 박막에서의 간섭 실험
박막에서의 간섭현상을 관측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표이다. PVC 통에 비눗물을 칠하여 박막을 형성하고 이를 눈으로 관측하면 다음과 같다.
비눗물에서의 보강간섭 조건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n은 비눗물의 굴절률, t는 박막의 두께, 는 보강간섭이 일어나는 빛의 파장이다. 위의 식으로부터, 비눗물 박막의 두께를 계산해 보면, 가 나온다.
위의 오른쪽 그림은 실리콘 웨이퍼 위의 산화막에서의 간섭현상을 찍은 사진이다.
4. 실험결과 및 고찰
1) 실험B에서 분석을 하였기에 반복하지 않겠고, 미지의 광원에 대해서도 밝은 무늬의 간격과 슬릿간격과 슬릿에서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안다면 그 광원의 파장을 다음의 식의 관계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2) 박막실험은 하지 않았으므로 skip 하도록 함.
5. 연습문제
1) 이중슬릿 실험에서 본인의 생각으로는 슬릿의 매질의 종류에 상관없이 실험결과에는 슬릿의 간격과 사용한 광원의 파장과 슬릿에서 스크린까지의 거리만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한다.
2) 빛을 분광기에 통과 시킬 때나, 물방울에 의한 굴절에서도 빛의 분산을 관측할 수 있다.
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