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비커에 수산화나트륨을 넣을 때, 보다 신속하게 하는 방법 등으로 열 손실을 최소화한다면 보다 더 정확한 값으로 헤스의 법칙이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실험 과정에서 몇 가지만 살펴보자. 헤스의 법칙에 의하여 반응 전의 물질의 종류와 상태 및 반응 후의 물질의 종류와 상태만 같으면 도달한 경로에 관계없이 반응열이 같음을 알 수 있다.
또, 2M의 NaOH 용액 50ml를 만들기 위해서는 1M = = 이므로 0.1mol의 NaOH 즉, 4g의 NaOH가 필요하다.(NaOH의 분자량이 40이므로) 따라서 NaOH 4g을 먼저 50ml보다 적은 양의 증류수에 녹이고 나서 용액의 부피를 50ml가 되도록 증류수를 더 넣어 1M의 NaOH 용액 50ml를 만들면 된다. 그리고 이 실험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이 조해성이 강하므로 신속히 실험해야 한다.
4. Reference
① http://147.46.41.146/~chemlab/exp/exp1-2.htm 참조
②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5th Ed., Oxtoby & Nachtrieb & Gillis, Thomson Books/Cole, 2002, p.A.29~A.36
또 실험 과정에서 몇 가지만 살펴보자. 헤스의 법칙에 의하여 반응 전의 물질의 종류와 상태 및 반응 후의 물질의 종류와 상태만 같으면 도달한 경로에 관계없이 반응열이 같음을 알 수 있다.
또, 2M의 NaOH 용액 50ml를 만들기 위해서는 1M = = 이므로 0.1mol의 NaOH 즉, 4g의 NaOH가 필요하다.(NaOH의 분자량이 40이므로) 따라서 NaOH 4g을 먼저 50ml보다 적은 양의 증류수에 녹이고 나서 용액의 부피를 50ml가 되도록 증류수를 더 넣어 1M의 NaOH 용액 50ml를 만들면 된다. 그리고 이 실험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이 조해성이 강하므로 신속히 실험해야 한다.
4. Reference
① http://147.46.41.146/~chemlab/exp/exp1-2.htm 참조
②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5th Ed., Oxtoby & Nachtrieb & Gillis, Thomson Books/Cole, 2002, p.A.29~A.3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