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더 부각되는 것이라고 생각 한다.
ooo: 인간은 선과 악 모두를 지니고 있지만, 인간의 악을 끄집어내는 것은 사회이 다.평등하지 못한 사회에서 살아가는 인간은 더 빠르게 자기에세 유리한 위치를 잡기를 원한다. 자신에게 유리한 위치가 어찌되었든 누군가를 짓밟고 올라가기 마련이다. 그러 기 위해서는 선보다는 악을 추구하는 것이 더욱 빠를 수 있다는 게 인간의 생각인 것 같 다.
ooo: 인간의 본성에서 선과 악은 공존하고 있고, 이 두 세계에 대해 명확하게 구분 지을 수 없다. 우리가 각자 원하는 방향으로 받아들여 어떤 이는 선하고 어떤 이는 악하 게 되는 것이다. 인간은 본래 내재된 원초적 충동이 있고, 이것으로 하여금 사악한 행위 를 저지르도록 부추기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ooo: 인간의 본성을 선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살아가는 과정에서 사회의 부조리와 사람들에게 치이는 상황이 점점 많아 질수록 악하게 변화되므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과 정에서 악한 모습이 점점 강하게 드러나게 된다고 생각한다.
ooo : 악함 이라는 것은 새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즉 ‘악’이라는 형태 로 드러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인간이 본래 악함을 내면에 가지고 있다는 것 은 아니다. 선과 악이라는 것이 하나로 내면에 존재하다가, 상황에 따라서 겉으로 선 또 는 악의 형태로 드러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사회는 인간을 선하게도 악하게도 만들수는 없다. 다만, 우리 자신이 나의 안에 있는 이 존재를 표출함에 있어서 영향을 끼 칠 수 는 있다고 생각한다.
Ⅴ. 감상
작품 'The Cask of Amontillado' 읽은 후, 나의 소감을 나누어 보자.
ooo
: 할 말만 딱 하고 시작하는 단도직입적인 소설 첫 부분을 읽으면서 당황스러웠다.
책을 읽을 수록 분위기는 음침하고, 결국 충격적인 소설의 결말을 읽고 섬뜩했다.
인간의 악을 다룬 소설인데, 과연 내 안에는 어떠한 악이 존재하고 있을지 궁금했다.
작품 분석을 보면 Montresor가 생매장한 Fortunato는 어찌보면 자기 자신이라고 했는 데,작가 에드커 앨런포는 어떻게 보면 작가 자신의 악함을 묻어버리고 싶어 하지 않았을 까?
ooo
: 이 소설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Montresor는 과연 사람을 죽이는 것에 죄책감을 느꼈 을 것인가 이였다. 시작이 회상이었고, 회상을 한다면 ‘왜 내가 죽였을까’라는 생각을 조 금이나마 흘려야 했을 것 같은데 그런 것은 찾을 수 없었던 듯 하다. 그저 담담하게 그때 의 상황을 생각할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분석에서와 같이 Fortunato는 또 다른 Montresor라고 했는데 그래서 였는지 몰라도 그 생매장이라는 것이 죽임이라기 보다는 그저 가둬놓은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그래서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살아가는구나 싶기도 하다.
ooo : 복수의 이유는 나와 있지 않지만 복수하는 과정에서 Fortunato에 대한 Montresor의 복 수심이 강하게 느껴진다. 동굴 안으로 점점 더 깊이 들어갈수록 긴장감이 고조되고 Montresor가 벽을 쌓는 장면에서는 경악했다. Fortunato의 어떤 것이 그를 이렇게 복수 심에 불타게 만들었는지 매우 궁금하다.
ooo : 에드가 엘런 포의 작품은 대체로 우울하고 음산한 느낌이 든다. 블랙 캣 또한 주인공이 비슷한 방법으로 고양이를 죽였다는 점을 보아 작가의 작품의 특성을 알 수 있는 것 같 다. 아몬틸라도의 술통은 사람이 사람을 죽인다는 것이 아무리 복수에 불타도 그정도의 복수심이 타오르는 지 정말 의문이 들었다.
ooo : '나'라는 인간이 포의 소설 속 인물의 잔인함에 치를 떨며 그를 비난하는 것이 '나'는 그 와는 다르게 선한 사람임을 말하는 것일까? 그의 잔인한 모습은 내 안에도 자리 잡고 있 는 악과 같은 모습인 것을 보았다. 자신의 본능을 통제하지 못하고 악행을 저지르는 이른 바싸이코패스와 같은 이들의 이야기가 오르내리는 요즈음, 그들이 날 때부터 그렇게 된 것 인지, 사회가 그렇게 만든것인지 또한 생각해보게 되었다. 선천적으로 그렇다면 그것이 벌을 받아 마땅하지만 그 사람의 잘못은 아닌 것 같고, 후천적이라면 역시 벌을 받아야 하 는 것이지만, 그렇게 만든 사회는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인지?
ooo : Montresor의 복수를 하는 과정은 끔찍하다. 자기가 받은 멸시를 미리 다른 방법으로라 도 분명히 풀 수 있었을텐데 끝까지 최후의 선택으로 Fortunato를 죽여야만 했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ooo : 이 소설을 읽고 나서 느낀 점은 인간의 악함이다. 인간이 악한 마음을 품으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었다. 또한 Montresor를 보면서 느낀 것은 씁쓸함이 었다. Montresor에서 인간의 나약함을 보았고 자신의 마음을 통제하지 못하는 Montresor를 보면서 씁쓸함을 느꼈다. 또한 복수심을 갖는 건지 얼마나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는지 깨닫게 되었다.
ooo
: 소설의 너무 빠른 전개에, 소설을 다 읽은 후에도 내가 제대로 소설을 다 읽은 것인가 의심을 하게 되었다. 더군다나 도입부에서 바로 복수를 시작하는 주인공의 얘기에 어리둥 절하면서도 소설의 흡입력에 함께 흐름을 타며 읽어내려 갔다.
짧은 단편 소설임에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소설이었다. 그리하여 자꾸 반복하며 읽게 되었다.
‘주인공은 누구에게 이야기를 하는 것일까?’ 마치 자신의 일기를 읽으며, 회상하듯 소 설은 전개되었지만, 나는 화자 외에 또 다른 누군가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일 수도 있 다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그 상대는 또 다른 자아일 수도 있을 것이고, 화자가 아닌 타인 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누가 되었듯 아마도 화자는 살인이라는 엄청난 사건을 아무렇지 않게 이야기를 하지만, 어쩌면 정말 하고 싶은 얘기는 담아두기 싫은 자신의 과거와 인정하기 싫은 또 다른 나의 자아를 드러내어, 스스로 비난을 자초하며 조금은 가벼워지고 싶지는 않았을 까하는 생각 을 해보았다.
이렇듯 이 소설은 아주 짧지만, 강한 흡입력으로 어느새 나까지 그 무거운 분위기에 동화 시키는 매력적인 소설임은 분명하다.
ooo: 인간은 선과 악 모두를 지니고 있지만, 인간의 악을 끄집어내는 것은 사회이 다.평등하지 못한 사회에서 살아가는 인간은 더 빠르게 자기에세 유리한 위치를 잡기를 원한다. 자신에게 유리한 위치가 어찌되었든 누군가를 짓밟고 올라가기 마련이다. 그러 기 위해서는 선보다는 악을 추구하는 것이 더욱 빠를 수 있다는 게 인간의 생각인 것 같 다.
ooo: 인간의 본성에서 선과 악은 공존하고 있고, 이 두 세계에 대해 명확하게 구분 지을 수 없다. 우리가 각자 원하는 방향으로 받아들여 어떤 이는 선하고 어떤 이는 악하 게 되는 것이다. 인간은 본래 내재된 원초적 충동이 있고, 이것으로 하여금 사악한 행위 를 저지르도록 부추기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ooo: 인간의 본성을 선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살아가는 과정에서 사회의 부조리와 사람들에게 치이는 상황이 점점 많아 질수록 악하게 변화되므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과 정에서 악한 모습이 점점 강하게 드러나게 된다고 생각한다.
ooo : 악함 이라는 것은 새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즉 ‘악’이라는 형태 로 드러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인간이 본래 악함을 내면에 가지고 있다는 것 은 아니다. 선과 악이라는 것이 하나로 내면에 존재하다가, 상황에 따라서 겉으로 선 또 는 악의 형태로 드러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사회는 인간을 선하게도 악하게도 만들수는 없다. 다만, 우리 자신이 나의 안에 있는 이 존재를 표출함에 있어서 영향을 끼 칠 수 는 있다고 생각한다.
Ⅴ. 감상
작품 'The Cask of Amontillado' 읽은 후, 나의 소감을 나누어 보자.
ooo
: 할 말만 딱 하고 시작하는 단도직입적인 소설 첫 부분을 읽으면서 당황스러웠다.
책을 읽을 수록 분위기는 음침하고, 결국 충격적인 소설의 결말을 읽고 섬뜩했다.
인간의 악을 다룬 소설인데, 과연 내 안에는 어떠한 악이 존재하고 있을지 궁금했다.
작품 분석을 보면 Montresor가 생매장한 Fortunato는 어찌보면 자기 자신이라고 했는 데,작가 에드커 앨런포는 어떻게 보면 작가 자신의 악함을 묻어버리고 싶어 하지 않았을 까?
ooo
: 이 소설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Montresor는 과연 사람을 죽이는 것에 죄책감을 느꼈 을 것인가 이였다. 시작이 회상이었고, 회상을 한다면 ‘왜 내가 죽였을까’라는 생각을 조 금이나마 흘려야 했을 것 같은데 그런 것은 찾을 수 없었던 듯 하다. 그저 담담하게 그때 의 상황을 생각할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분석에서와 같이 Fortunato는 또 다른 Montresor라고 했는데 그래서 였는지 몰라도 그 생매장이라는 것이 죽임이라기 보다는 그저 가둬놓은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그래서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살아가는구나 싶기도 하다.
ooo : 복수의 이유는 나와 있지 않지만 복수하는 과정에서 Fortunato에 대한 Montresor의 복 수심이 강하게 느껴진다. 동굴 안으로 점점 더 깊이 들어갈수록 긴장감이 고조되고 Montresor가 벽을 쌓는 장면에서는 경악했다. Fortunato의 어떤 것이 그를 이렇게 복수 심에 불타게 만들었는지 매우 궁금하다.
ooo : 에드가 엘런 포의 작품은 대체로 우울하고 음산한 느낌이 든다. 블랙 캣 또한 주인공이 비슷한 방법으로 고양이를 죽였다는 점을 보아 작가의 작품의 특성을 알 수 있는 것 같 다. 아몬틸라도의 술통은 사람이 사람을 죽인다는 것이 아무리 복수에 불타도 그정도의 복수심이 타오르는 지 정말 의문이 들었다.
ooo : '나'라는 인간이 포의 소설 속 인물의 잔인함에 치를 떨며 그를 비난하는 것이 '나'는 그 와는 다르게 선한 사람임을 말하는 것일까? 그의 잔인한 모습은 내 안에도 자리 잡고 있 는 악과 같은 모습인 것을 보았다. 자신의 본능을 통제하지 못하고 악행을 저지르는 이른 바싸이코패스와 같은 이들의 이야기가 오르내리는 요즈음, 그들이 날 때부터 그렇게 된 것 인지, 사회가 그렇게 만든것인지 또한 생각해보게 되었다. 선천적으로 그렇다면 그것이 벌을 받아 마땅하지만 그 사람의 잘못은 아닌 것 같고, 후천적이라면 역시 벌을 받아야 하 는 것이지만, 그렇게 만든 사회는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인지?
ooo : Montresor의 복수를 하는 과정은 끔찍하다. 자기가 받은 멸시를 미리 다른 방법으로라 도 분명히 풀 수 있었을텐데 끝까지 최후의 선택으로 Fortunato를 죽여야만 했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ooo : 이 소설을 읽고 나서 느낀 점은 인간의 악함이다. 인간이 악한 마음을 품으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었다. 또한 Montresor를 보면서 느낀 것은 씁쓸함이 었다. Montresor에서 인간의 나약함을 보았고 자신의 마음을 통제하지 못하는 Montresor를 보면서 씁쓸함을 느꼈다. 또한 복수심을 갖는 건지 얼마나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는지 깨닫게 되었다.
ooo
: 소설의 너무 빠른 전개에, 소설을 다 읽은 후에도 내가 제대로 소설을 다 읽은 것인가 의심을 하게 되었다. 더군다나 도입부에서 바로 복수를 시작하는 주인공의 얘기에 어리둥 절하면서도 소설의 흡입력에 함께 흐름을 타며 읽어내려 갔다.
짧은 단편 소설임에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소설이었다. 그리하여 자꾸 반복하며 읽게 되었다.
‘주인공은 누구에게 이야기를 하는 것일까?’ 마치 자신의 일기를 읽으며, 회상하듯 소 설은 전개되었지만, 나는 화자 외에 또 다른 누군가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일 수도 있 다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그 상대는 또 다른 자아일 수도 있을 것이고, 화자가 아닌 타인 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누가 되었듯 아마도 화자는 살인이라는 엄청난 사건을 아무렇지 않게 이야기를 하지만, 어쩌면 정말 하고 싶은 얘기는 담아두기 싫은 자신의 과거와 인정하기 싫은 또 다른 나의 자아를 드러내어, 스스로 비난을 자초하며 조금은 가벼워지고 싶지는 않았을 까하는 생각 을 해보았다.
이렇듯 이 소설은 아주 짧지만, 강한 흡입력으로 어느새 나까지 그 무거운 분위기에 동화 시키는 매력적인 소설임은 분명하다.
추천자료
The theory of "Objective Correlative"
[영미문학페이퍼] Bianca 줄거리를 중심으로 생각해 본「The Taming of the Shrew」
햄릿 - 욕망의 그림자 (원제: The Tragedy Of Hamlet prince of penmark)
19세기 영미시)Blake(블레이크)의 The little black boy 분석
[분석화학실험]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Calcium as CaC2O4H2O 결과레포트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structured human interactions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Chong Keun Dang Pharms.
영어 동화 분석 Comparing and Analyzing two versions of Cinderella 신데렐라 분석
대한항공 소개 및 서비스전략 분석, 포터의 5요인 분석, SWOT분석 (Service Analysis of Kore...
삼성SDI 재무분석 리포트 (A Report of Finantial Managemnet)
지속가능 패키지디자인을 위한 전략_이니스프리(innisfree)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
[A+] 2차 세계대전이 Japanese American Artist의 작품에 끼친 영향 분석 영문 에세이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 정책형성과정이론,차원분석,합리이론(The Rationa...
밴드 오브 브라더스 (Band of Brothers)에서 나타난 리더쉽분석 (미드 밴드 오브 브라더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