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불교사회복지의 기본이념
1) 자비(慈悲)
2) 보시(布施)
3) 복전(福田)
4) 보은(報恩)
5) 생명존중
2. 한국의 불교사회복지 역사
3. 역사적 실천의 예

본문내용

실행하였다. "이 장원심 스님은 원래 천예출신의 승려였으며, 그런 까닭에 일부러 미친 척하고, 기한자를 보면 꼭 먹을 것을 빌어 먹이고, 자기의 옷을 벗어 입혀 주며, 앓는 사람을 보면 반드시 힘을 다해 구휼하며, 사람이 죽었는데 장사지낼 사람이 없으면 반드시 자기가 그를 장사지내 주며, 도로를 만들고, 교량을 건설하고, 가지 않은 곳이 없이 모두 다니며 사람을 돕는 일만 하였으므로, 아이들까지도 그의 이름을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로 유명하였다."라고 조선의 태종실록에 적혀 있다.
8) 조선초기부터 세종 때에 걸쳐서 불교복지의 위대한 행적을 많이 남긴 스님 중 탄선대사(坦宣大師)가 있었다. 그의 종횡무진의 활약상이 세종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그는 왕의 위촉을 받아 300명의 승려를 이끌고 축성군인(築城軍人) 중 전염병을 앓거나 부상당하는 사람들을 구호, 치료, 간호하는 일, 흥복사 등에 구료소를 설치하여 기아민과 거지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일 등 탄선대사가 맡아 한 일이 많았으며(서기 1422년경), 대사의 불교복지 실천은 의료, 기민구제의 모든 영역에 걸쳐 실로 광범위했으며, 또한 철저하고 효과적이었으며 꾸준하였으므로 당시 정부로서도 도성축조, 개수(改修)의 때나 큰 기근과 같은 때를 만나면 왕에게 상주하여 구호의 임무를 대대적으로 탄선대사에게 맡기는 것이 상례가 될 정도였던 것이다.
<참고문헌 및 관련 Internet Site >
사회복지의 종교적 자선사관 - 박해윤, 박종화(2001)
http://www.sukrim.or.kr/
http://www.chungamsa.com/chungamjinew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7.10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