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오군란][임오군란 원인][임오군란 전개][임오군란 결과][강화도조약][일본 정책]임오군란의 원인, 임오군란의 전개, 임오군란의 결과, 임오군란과 강화도조약, 임오군란과 일본의 정책, 임오군란의 한계점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오군란][임오군란 원인][임오군란 전개][임오군란 결과][강화도조약][일본 정책]임오군란의 원인, 임오군란의 전개, 임오군란의 결과, 임오군란과 강화도조약, 임오군란과 일본의 정책, 임오군란의 한계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임오군란의 원인

Ⅲ. 임오군란의 전개

Ⅳ. 임오군란의 결과

Ⅴ. 임오군란과 강화도조약

Ⅵ. 임오군란과 일본의 정책

Ⅶ. 임오군란의 한계점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계점
모든 운동들이 커다란 희망을 갖고 전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그 목표에 이르지도 못하고 무산되어졌다. 그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을 텐데, 각 내용별로 그 한계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임오 군인 폭동은 폭동 군인들의 사상의 미숙함과 대원군에 대한 그릇된 기대, 청의 침략성을 깨닫지 못한 대원군의 미흡한 정세 파악, 침략자에 의존하는 민씨 일당의 반민족성, 청과 일본의 침략 책동 등으로 인해 실패하였다.
Ⅷ. 결론
신식 군대에 비해 차별 대우를 받던 구식 군대는 밀린 월급을 쌀로 받으면서 쌀 속에 모래와 쌀겨가 섞인 것을 보고 폭동을 일으켰다. 그 들은 포도청을 부수고, 일본 교관을 죽이고, 일본 공사관을 습격하였다. 이 폭동으로 인해 개화를 추진하던 관리들은 쫓겨나고 흥선 대원군이 권력을 다시 잡았다. 흥선 대원군은 즉시 별기군을 폐지하였다. 이 때 청나라 군대가 왕비의 부탁을 받고 출동하여 대원군을 쫓아냈으며 그 후에 계속 간섭을 하게 되었다.
임오군란 때 청나라의 도움으로 정권을 잡은 민씨 세력은 청나라의 간섭을 많이 받아 개화정책에 소극적이었다. 이에 김옥균을 비롯한 젊은 개화파들은 청나라의 간섭을 물리치고 근대 문명을 받아들여 빨리 근대 국가를 이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개화파는 빨리 근대화를 이룩하려면 비상수단을 써야 한다고 생각하고 갑신정변을 계획하였다. 그래서 1884년 12월에 새로 설치된 우정국 개국 축하 연회장에서 민씨 세력을 죽이거나 몰아내고 고종 임금을 모신 뒤에 새로운 내각을 조직하였다. 그러나 3일 만에 청나라 군대에 의해 쫓겨나 일본으로 망명함으로써 정변은 실패하였다. 이 정변의 목적은 근대 국가를 빨리 이룩하려는 것이었으나 백성들의 지지를 받지 못한 위로부터의 개혁이었다는 점과 외국(일본) 세력을 끌어들여서 자기들의 정치적 목적을 이루려한 점이 실패의 원인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자발적인 근대화 운동이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개화의 움직임은 그 이후에도 그치지 않고 진행되었다.
참고문헌
강재언, 한국근대사, 한울, 1990
김진성, 임오군란 직후 조·청 관계와 변법개화파의 대청 인식, 성균관대학교, 1882
박문각, 한국의 근현대사, 2004
손명숙, 임오군란의 성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1990
정용태, 임오군란과 한국의 영세 중립론, 청주대학교 법학연구소, 1990
정우섭, 임오군란에 관한 문헌해제, 서울대학교, 1995
  • 가격6,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