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동양철학][동양윤리][동양사상][동양과학]동양미술][동양인물화][동양무도]동양과 동양철학, 동양과 동양윤리, 동양과 동양사상, 동양과 동양과학, 동양과 동양미술, 동양과 동양인물화, 동양과 동양무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동양철학][동양윤리][동양사상][동양과학]동양미술][동양인물화][동양무도]동양과 동양철학, 동양과 동양윤리, 동양과 동양사상, 동양과 동양과학, 동양과 동양미술, 동양과 동양인물화, 동양과 동양무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동양과 동양철학

Ⅱ. 동양과 동양윤리
1. 공자(孔子)의 윤리 사상 - 인 ․ 예
1) 인(仁)의 사상 - 사랑의 정신과 인간다움
2) 예(禮)의 사상 - 예의예절
3) 군자(君子)
4) 정명(正名) 사상과 정치사상
2. 맹자(孟子)의 윤리 사상 - 인 ․ 의
1) 성선설(性善說) 사상 : ????인간 본성은 착하다.????
2) 사덕과 사단(사단: :덕의 실마리, 단서, 근본)
3) 대장부(大丈夫)와 호연지기(浩然之氣)
4) 왕도정치
3. 순자(筍子)의 윤리 사상 - 예(禮) 지상주의
1) 성악설(性惡說) :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
2) 예(禮)의 사상 및 예의 정치(예치)와 이상 사회
4. 노자(老子)의 윤리 사상 - 무위 자연(無爲自然)
1) 도(道)와 무위 자연(無爲自然)
2) 윤리 사상 및 소국 과민(小國寡民)의 정치사상
5. 장자(莊子) - 제물론, 물아일체
1) 도(道) 사상
2) 「제물론」의 만물제동(萬物齊同) 사상
3) 좌망(坐忘)과 심재(心齋)
4)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
6. 불교(佛敎)의 윤리 사상
1) 연기설(緣起說)과 慈悲
2) 사성제(四聖諦) - (네 가지 진리), 불교 교리의 핵심

Ⅲ. 동양과 동양사상

Ⅳ. 동양과 동양과학

Ⅴ. 동양과 동양미술
1. 개념
2. 가치

Ⅵ. 동양과 동양인물화
1. 벼타작
2. 대장간
3. 자리짜기
4. 서당
5. 길쌈
6. 씨름
7. 주막
8. 미인도
9. 연상의 여인

Ⅶ. 동양과 동양무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한 아이는 훈장에게 방금 종아리를 맞았는지 대님을 다시 묶으면서 눈물을 닦고 있고 다른 아이들은 킥킥거리며 웃음을 참고 있다. 훈장도 지긋이 웃음을 머금고 있다. 각각 의 인물들의 감정이 실감나게 잘 드러나 있어서 설명을 굳이 듣지 않아도 어떤 상황과 분위기인지 금방 알 수 있게 해준다. 정면이 아닌 사선구도의 짜임새 있는 화면 구성이 돋보이는 이 작품 역시 배경은 여백으로 처리되었으며, 굵은 선으로 단순하게 처리된 옷 주름등에서 김홍도 특유의 필치를 엿볼 수 있다.
5. 길쌈
베틀에 걸터앉아 베짜는 모습과 실에 풀 먹이는 모습을 화면 아래위로 나누어 구성한 그림이 다. 베짜는 모습의 그림이 주가 되지만 실에 풀 먹이는 모습 또한 배경이 아니고 또 하나의 독립된 장면이어서 두 가지의 그림이 아래위로 함께 있는 것과 같다. 그러나 실에 풀 먹이는 모습은 원경으로 작게 처리된 데다가 일하는 사람이 뒤로 돌아앉아 있어서 두 가지의 그림이 서로 대립되지 않게 하였다. 실제로는 이렇게 넓은 공간에서 베짜기를 하지 않고 또한 복잡한 구조를 가진 베틀이 그림에 서는 매우 단순하게 처리되었다. 그보다는 베짜기를 하는 사람과 뒤에서 지켜보는 할머니와 아이들 등 인물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인물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도 할머니와 아 이들의 따뜻한 시선을 잘 표현함으로써 정감어린 정경을 그려내는 데 더 치중하였다.
6. 씨름
김홍도의 대표적인 풍속화 작품으로 씨름판 광경이 생동감 있게 느껴진다. 서로 안간힘을 쓰는 씨름꾼들의 자세와 표정이 너무나 생생하다. 씨름꾼들을 중심으로 빙 둘러앉아 있는 구경꾼들의 표정에서는 마치 실제로 탄성이 터져 나오는 것만 같다. 원형으로 둘러앉은 구경꾼들의 균형 있는 배치로 네모진 화폭의 가장자리를 적절히 처리함으로써 훌륭한 화면구성을 보이고 있다.
7. 주막
주모 한 사람을 놓고 포졸, 나장, 유생, 아전이나 한량들이 서로 눈 실랑이하는 모습과 그 광경을 물끄러미 쳐다보는 기둥서방을 배치한 모습이 코믹하다.
나뭇잎이나 여인들의 모습을 한층 더 화사하고 화려하게 돋보이기 위하여 배경을 그 색에 맞게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대단하다.
8. 미인도
실제의 인물을 모델로 했을 것 같은 미인도는 신윤복의 뛰어난 묘사력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갸름한 얼굴, 다소곳한 눈빛, 앵두같은 입술 등 조선 여인의 아름다움을 이상적으로 표현하였다. 양감있는 짙은 검은 색의 가발과 노리개를 만지는 손이 단조로운 화면에 생기를 준다. 앞모습과 옆모습을 볼 수 있도록 구도를 잡았다. 왼쪽 상단의 제발 아래 \'혜원\'이라는 호가 선명하다.
9. 연상의 여인
신윤복 회화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가작(佳作)이다. 연꽃이 활짝 피고 연잎이 다 자란 연못 너머로 별당의 툇마루에 걸터앉은 여인을 담고 있다. 장안에서 내노라하는 기방(妓房) 후원의 한 장면으로 보인다. 한 손에 담뱃대, 다른 한 손에 생황을 들고 가랑이를 벌린 채 앉아있는 여인은 퇴기인 듯하다. 여름 한낮 무료함을 달래려 불던 생황을 내리고 인기척을 느낀 듯 고개를 돌리고 있다. 약간 부감하여 연못과 마당, 토방, 마루를 수평과 사선으로 정확하게 포착하고, 인물의 표정을 섬세하게 표현하면서 적막한 분위기를 성공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깔끔하고 능숙한 필치, 변화 있는 수묵의 농담, 그리고 잘 조화된 산뜻한 담채(淡彩)의 구사로 신윤복 만년의 완숙미가 느껴진다.
Ⅶ. 동양과 동양무도
동양 문화권에서는 대인 격투에 필요한 신체 기능의 발달을 일차적 목적으로 하였던 무술 수련이 인격 수양, 정신의 단련, 자아 발견 등의 교육적종교적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는 문화 영역으로 발전해왔다. 이러한 무술의 목적과 가치의 변용은 오랜 역사 속에서 동양인들이 무술 수련에 유(儒)불(佛)도(道) 등과 같은 동양의 전통 사상을 접목시킨 결과였다. 무술과 사상의 접목은 일반인에게 널리 인식된 달마(達摩)대사의 무술 창안설과 소림사의 무술사적 의미에 대한 믿음 등에 잘 나타나 있다. 무도에 대한 동양 사상의 영향은 무도에서 일반적으로 주장되는 예(禮)의 중시, 스승에 대한 절대적 복종과 존경, 부동심(不動心)이나 부동지(不動知), 음양(陰陽)이나 오행(五行), 또는 팔괘(八卦)와 같은 개념의 사용 등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무도에 대한 기존의 문헌에서 동양 사상의 수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고찰된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무도에 관한 담론의 대부분은 동양 사상의 접목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이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개별 무도의 철학이나 사상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설득력이 부족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수련 맥락이나 실천 방안이 없는 공허한 구호로 인식되기 쉬운 문제를 안고 있다. 양진방은 오늘날 대부분의 무도 종목들이 주장하는 철학이나 사상의 내용이 공허함을 지적하면서 첫째, 동양 철학에 편재하는 일반적 수준의 도덕 덕목들을 한자의 뜻풀이 수준에서 상업적으로 급조한 철학 둘째, 무술의 기술적 성격이나 구체적 수련 문화와 내적 연결성이 전혀 없는 불순한 주장 셋째, 선불교나 도가 등 특정 종교의 사상을 무리하게 견강부회한 철학 등으로 분류비판하고 있다.
무도의 발전 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동양 사상의 접목과 수용의 과정뿐만 아니라 수용된 사상의 변용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국내의 문헌은 극히 제한적이며, 특히 한국 사상과 무도에 대한 내용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오늘날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 사회에서 무도(Martial Arts)의 개념은 일본식으로 이해되는 실정이다(Dreager 1973; Schmidt 1989; Monday 1994).
참고문헌
권일찬(1998), 동양과학의 근대화, 한국정신과학학회
민정숙(1999), 동양인물화의 선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송화영(2006), 동양미술의 추상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조선대학교
이장희(2008), 동양철학의 현재성 : 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와철학연구회
이경무(2011), 통합심리학과 동양윤리의 심리 문제, 대한철학회
이승환(2007), 동양사상과 리더십, 예문동양사상연구원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