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학][한의학]동양의학(한의학)의 진단, 동양의학(한의학)의 특징, 동양의학(한의학)과 질병, 동양의학(한의학)과 음양, 동양의학(한의학)과 건강, 동양의학(한의학)과 서양의학, 동양의학(한의학)과 양생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의학][한의학]동양의학(한의학)의 진단, 동양의학(한의학)의 특징, 동양의학(한의학)과 질병, 동양의학(한의학)과 음양, 동양의학(한의학)과 건강, 동양의학(한의학)과 서양의학, 동양의학(한의학)과 양생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동양의학(한의학)의 진단
1. 단일 증상에 대한 평가이다
2. 소위 ‘변병(辨病)’이라고 불리는 과정이다
3. 변증(辨證)의 과정이다

Ⅱ. 동양의학(한의학)의 특징
1. 인간과 우주의 관계
2. 종합적 자연 치료 의학
3. 근본치료 의학
4. 양생의학

Ⅲ. 동양의학(한의학)과 질병
1. 신체적, 정신적 이상 상태의 발견, 확인, 자각
2. 질병의 원인설
1) 서양의학
2) 동양의학
3) 질병이라는 개념의 모호성

Ⅳ. 동양의학(한의학)과 음양
1. 상호대립
2. 상호의존
3. 상호소장
4. 상호전화
5. 절후에 따른 음양과 인체의 건강

Ⅴ. 동양의학(한의학)과 건강
1. 상식적인 건강 개념
2. 생래적 건강
3. 질병의 치유
4. 정력적이고 왕성한 육체적 활력
5. 수명 연장
6. 바람직한 건강관
7. 르네 듀보

Ⅵ. 동양의학(한의학)과 서양의학

Ⅶ. 동양의학(한의학)과 양생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절실함을 느낀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 인간이 자연환경에 순응하며 생명력을 강화시키는 양생법이 생기고 발전되어 왔으리라 생각 한다. 특히 동양의학은 철학적인 우주론이나 儒佛仙의 영향을 받아 근본을 지키고 천지자연에 순응하며 생명의 본질인 精氣神을 保全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예방적이고 종합적인 생명 유지에 목적을 두고 자연환경과 섭생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터득한 많은 양생법이 있겠으나 여기서는 동양의학의 고전인 黃帝內經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옛날 黃帝가 岐伯이라는 신하에게 太古의 사람들은 나이 백세가 지나도 동작이 쇠퇴하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지금 사람은 왜 오십 세가 못 되어 동작이 쇠퇴하는가라는 물음에 기백이 답하기를 태고의 사람들은 양생의 이치를 터득한 사람인지라 天文曆數에 따라서 춘하추동의 자연기운에 조화를 맞추고 음식에 절도가 있었으며, 일상생활에도 규칙이 있어서 함부로 심신을 무리하지 않았으므로 정신과 육신이 함께 온전하여 백세의 수명을 다 할 수 있었으나, 지금 사람들은 그렇지 않아서 음식 不節과 심신과로, 酒色으로 생명의 근원인 眞氣를 耗散시키고 자기 마음대로 무절제한 생활을 하기 때문에 오십 세만 되면 벌써 노화 현상이 나타나기 된다 하였다.18)
이와 같이 우리의 생명은 자연환경과 섭생에 대한 절도 있는 생활을 통해서 보전 될 수 있는바, 대표적인 養生之道로 알려진 四氣調神論의 대강을 소개함으로써 동양의학의 생명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첫째, 춘삼월은 발진이라 하며 기가 발산되고 모든 만물이 生長되는 계절이기 때문에 육체적으로도 冠을 쓰거나 몸을 무리하지 아니하여 정신적으로 새로운 뜻이 우러나오게 하고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 정원을 산책하며 살려주고 베풀어주며 칭찬해 주는 마음으로 생활해야 하는 것이니 이것이 봄철에 있어서 천지의 기운에 따르는 양생의 도이며 이 도를 거역해서 생활하게 되면 肝을 상하게 된다.
둘째, 夏三月은 蕃秀라 하며 천지 음양의 氣가 활발하게 교류하여 만물이 무성하게 자라고 화려하게 꽃피어 결실하는 계절이기 때문에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 적당히 햇볕을 쪼이고 정신적으로 편안히 하며 생리현상을 활발하게 하여 氣를 밖으로 배설시키고 울체가 없도록 해야 하는 것이니 이것이 여름 기운을 따르는 양생의 도이며, 이 도를 거역해서 생활하게 되면 심장을 상하게 된다.
셋째, 秋三月은 容平이라 하며 만물이 성숙하여 그 形容이 완연하며, 천지 기운이 급하게 변하고 밝아, 만물의 색이 변하는 계절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며 마음을 편안히 하고 몸을 함부로 하지 아니하여 神氣를 거두어들이고 가을의 殺伐한 기운을 평화롭게 하여 肺氣를 청정하게 하여야 한다. 이것이 가을의 기운에 따르는 양생의 도이며, 이 도를 거역해서 생활하게 되면 肺를 상하게 된다.
넷째, 冬三月은 閉藏이라 하며, 만물이 움츠리고 문을 닫아 陽의 기운이 잠복하는 계절이기 때문에 일찍 자고 해뜨기를 기다려서 일어나 寒氣에 손상 되지 않게 하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함부로 움직이지 말며, 여유를 가지고 조용히 생활 하여야 한다. 또한 몸을 따뜻하게 하고 과로하여 땀을 흘리거나 몸의 기운을 갑자기 빼앗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는 것이니 이것이 겨울의 기운에 따르는 양생의 도이며 만약 이 도를 거역해서 정신을 동요시키고, 寒氣를 쐬며, 과로하여 자주 땀을 흘리거나 陽氣를 잃어버리면 腎臟의 기능을 상하게 된다.19)
이상은 사계절을 통하여 천지의 기운과 인간이 상호 적응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요령을 기술한 것으로 천지 기운은 원래 조화를 이루어 삼라만상을 생육 변화 시키는 德으로 나타나는 것이지만, 때로는 잘못되어 재해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四氣調神論을 통하여 천지자연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운이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서로 교류되어 자연현상이 정상적으로 나타날 때 인간의 온전한 삶이 보장되는 것이요, 양생법의 노력도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참고문헌
강대옥, 금선 양생법, 한국정신과학학회, 2009
매일건강신문 : 21세기 동양의학의 역할, 2000
선두정사랑 : 동양의학의 특징과 중의학적생리관, 동양의학연구원, 2002
유승원 : 동양의학에 있어서의 질병의 원인론, 의림사, 1982
이경섭 : 현대동양의학의 임상적 치료에 대한 고찰, 경희대학교 한의학연구소, 1998
예상준 외 5명 : 한의학 연구동향 분석시스템 구현을 위한 모형개발, 한국콘텐츠학회, 2009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