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목욕의 목적
Ⅲ. 목욕의 방법
Ⅳ. 목욕의 효과
Ⅴ. 목욕과 사우나
Ⅵ. 목욕과 일본목욕
1. 남녀 혼욕
2. 대중 목욕탕과 가정 욕실
3. 시욕
Ⅶ. 목욕과 로마목욕
참고문헌
Ⅱ. 목욕의 목적
Ⅲ. 목욕의 방법
Ⅳ. 목욕의 효과
Ⅴ. 목욕과 사우나
Ⅵ. 목욕과 일본목욕
1. 남녀 혼욕
2. 대중 목욕탕과 가정 욕실
3. 시욕
Ⅶ. 목욕과 로마목욕
참고문헌
본문내용
앞에 향불을 피웠다. 이 때 입욕자들은 목욕하기 전과 후에 절을 하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이런 풍습은 최근까지 남아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고인의 위패가 10여 개나 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Ⅶ. 목욕과 로마목욕
로마의 목욕탕은 현대식 목욕탕 못지않게 온탕, 냉탕, 사우나탕을 가지고 있다. 로마인들의 목욕 순서는 먼저 온탕에 들어가고, 다음 냉탕, 다시 온탕 하는 식으로 번갈아 가면서 목욕을 했다 한다. 그리고 이 탕들을 옮겨갈 때는 수영으로 건너갔다고 한다.
물은 항상 흐르게 되어 있어 굳이 정화할 필요는 없었고, 물의 흐름도 제어를 하여 상, 하수도 시설의 뒤섞임 없이 과학적인 설계를 했다고 하니 가히 상상 이상이다.
조그만 포럼에서는 아마 정치 행위가 이루어졌을 것이고, 심심하면 옆에 있는 원형극장에 가서 오락을 즐겼을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로마시대의 목욕탕은 대단위 온천 위락 단지로 우리가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목욕탕 문화가 발달했을 가능성이 크다.
공중목욕탕을 제일 먼저 만든 사람은 기원전 344년경 스파르타인들로 열기욕을 창안해 맨 처음 사용했고 이것이 로마의 목욕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로마의 국력이 신장되면서 시민들은 쾌적한 생활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데 날로 시간을 소비하게 되고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되어 공중목욕탕이 탄생하게 되었다. 로마인들이 오후에 목욕탕 가는 것은 몸을 청결 한다는 것 이외에 새로운 지성을 반영하는 사교상의 활용장소로서의 의미가 더 컸기 때문이라고 한다.
로마 카라카라 황제와 디오크레티아누스 황제는 수천 명이 한꺼번에 목욕할 수 있는 공중목욕탕을 만들었고 공중탕 내부는 휴게실, 상점, 도서실, 체력 단련실, 미술관 등 다목적 홀을 갖추었고 이 다목적 홀을 쿠어하우스라 명명했다. 역사상 목욕을 가장 좋아한 민족은 로마인이다. 로마인들은 목욕을 개인의 행복과 쾌락을 위한 가장 중요한 행위로 여겼다. 또 목욕탕은 휴식과 함께 사교, 건강, 오락 등을 즐기는 다목적 장소로 인식했다.
기원전 33년에 율리아 수로가 건설돼 귀한 물을 펑펑 쓸 수 있게 되자 공중목욕탕이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며 번창했다. 시저를 비롯한 위정자들도 인기관리를 위해 앞 다퉈 대중목욕탕을 세웠다. 황금기의 로마에는 무려 11개의 제국 목욕탕과 926개의 공중목욕탕이 열기를 뿜었다고 한다. 목욕이 얼마나 극성을 부렸는지 짐작이 간다. 목욕사치와 낭비도 유난해 상상을 초월하는 목욕탕이 생겨났다. 폭군 칼리굴라는 갖은 사치를 부려 목욕탕을 궁전처럼 꾸몄다.
신전을 세웠고 분수와 샘물이 흐르는 석굴과 산책로, 심지어는 음악당과 철학자들이 담소할 수 있는 정원까지 만들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역시 이에 질세라 6,000명을 수용하는 대형 욕장에 바닥에는 모자이크를 깔고 벽은 이집트산 대리석과 황홀한 프레스코화로 치장했다. 도서관과 체육관, 화랑까지 갖췄으니 이쯤 되면 목욕탕이 아니라 꿈의 궁전으로 불러도 전혀 손색이 없다. 오죽하면 사치와 퇴폐적인 목욕문화 때문에 로마가 망했다는 말이 훗날 공공연히 나돌 정도가 됐을까.
참고문헌
◈ 김호원(2009), 목욕요법의 적용에 따른 건강증진 효과, 원광대학교
◈ 오중협 외 1명(1989), 목욕과 사우나가 안압, 혈압, 맥박과 체온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 오기노 지히로(2008), 현대 일본인의 생활양식에 대한 일고찰 : 목욕과 난방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 이숙연(2001), 로마시대 목욕문화 고찰, 충청대학
◈ 장은희(1998), 목욕문화를 중심으로 한 한국형 장애인 복지시설 제안, 중앙대학교
◈ 현대사회문화연구소 자료실(2007), 건강목욕법, 현대사회연구소
Ⅶ. 목욕과 로마목욕
로마의 목욕탕은 현대식 목욕탕 못지않게 온탕, 냉탕, 사우나탕을 가지고 있다. 로마인들의 목욕 순서는 먼저 온탕에 들어가고, 다음 냉탕, 다시 온탕 하는 식으로 번갈아 가면서 목욕을 했다 한다. 그리고 이 탕들을 옮겨갈 때는 수영으로 건너갔다고 한다.
물은 항상 흐르게 되어 있어 굳이 정화할 필요는 없었고, 물의 흐름도 제어를 하여 상, 하수도 시설의 뒤섞임 없이 과학적인 설계를 했다고 하니 가히 상상 이상이다.
조그만 포럼에서는 아마 정치 행위가 이루어졌을 것이고, 심심하면 옆에 있는 원형극장에 가서 오락을 즐겼을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로마시대의 목욕탕은 대단위 온천 위락 단지로 우리가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목욕탕 문화가 발달했을 가능성이 크다.
공중목욕탕을 제일 먼저 만든 사람은 기원전 344년경 스파르타인들로 열기욕을 창안해 맨 처음 사용했고 이것이 로마의 목욕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로마의 국력이 신장되면서 시민들은 쾌적한 생활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데 날로 시간을 소비하게 되고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되어 공중목욕탕이 탄생하게 되었다. 로마인들이 오후에 목욕탕 가는 것은 몸을 청결 한다는 것 이외에 새로운 지성을 반영하는 사교상의 활용장소로서의 의미가 더 컸기 때문이라고 한다.
로마 카라카라 황제와 디오크레티아누스 황제는 수천 명이 한꺼번에 목욕할 수 있는 공중목욕탕을 만들었고 공중탕 내부는 휴게실, 상점, 도서실, 체력 단련실, 미술관 등 다목적 홀을 갖추었고 이 다목적 홀을 쿠어하우스라 명명했다. 역사상 목욕을 가장 좋아한 민족은 로마인이다. 로마인들은 목욕을 개인의 행복과 쾌락을 위한 가장 중요한 행위로 여겼다. 또 목욕탕은 휴식과 함께 사교, 건강, 오락 등을 즐기는 다목적 장소로 인식했다.
기원전 33년에 율리아 수로가 건설돼 귀한 물을 펑펑 쓸 수 있게 되자 공중목욕탕이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며 번창했다. 시저를 비롯한 위정자들도 인기관리를 위해 앞 다퉈 대중목욕탕을 세웠다. 황금기의 로마에는 무려 11개의 제국 목욕탕과 926개의 공중목욕탕이 열기를 뿜었다고 한다. 목욕이 얼마나 극성을 부렸는지 짐작이 간다. 목욕사치와 낭비도 유난해 상상을 초월하는 목욕탕이 생겨났다. 폭군 칼리굴라는 갖은 사치를 부려 목욕탕을 궁전처럼 꾸몄다.
신전을 세웠고 분수와 샘물이 흐르는 석굴과 산책로, 심지어는 음악당과 철학자들이 담소할 수 있는 정원까지 만들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역시 이에 질세라 6,000명을 수용하는 대형 욕장에 바닥에는 모자이크를 깔고 벽은 이집트산 대리석과 황홀한 프레스코화로 치장했다. 도서관과 체육관, 화랑까지 갖췄으니 이쯤 되면 목욕탕이 아니라 꿈의 궁전으로 불러도 전혀 손색이 없다. 오죽하면 사치와 퇴폐적인 목욕문화 때문에 로마가 망했다는 말이 훗날 공공연히 나돌 정도가 됐을까.
참고문헌
◈ 김호원(2009), 목욕요법의 적용에 따른 건강증진 효과, 원광대학교
◈ 오중협 외 1명(1989), 목욕과 사우나가 안압, 혈압, 맥박과 체온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 오기노 지히로(2008), 현대 일본인의 생활양식에 대한 일고찰 : 목욕과 난방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 이숙연(2001), 로마시대 목욕문화 고찰, 충청대학
◈ 장은희(1998), 목욕문화를 중심으로 한 한국형 장애인 복지시설 제안, 중앙대학교
◈ 현대사회문화연구소 자료실(2007), 건강목욕법, 현대사회연구소
추천자료
로마의 이상-생활,가족,결혼,사회
초기 로마인.ppt
로마 제국의 문화적 업적과 서양 역사에 미친 영향
게르만의 재산법과 신분법
독일법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성매매특별법에 관한 논의
[로마자표기법][로마자표기][로마자][성표기][조선어학회][로마자표기법 오기]로마자표기법의...
[로마자표기법][로마자표기][로마자]로마자표기법의 변천, 로마자표기법의 원칙, 로마자표기...
새 로마자표기법개정의 특징, 새 로마자표기법개정의 역사, 새 로마자표기법개정의 필요성, ...
[로마][건축][음악][미술][문화][로마의 건축][로마의 음악][로마의 미술][로마의 문화]로마...
로마시대의 매춘
성매매특별법 제정에 대한 NGO 활동 (성매매, 성매매의 기원과 역사, 구조 및 실태, 성매매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