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백두산 화산][한라산 화산][울릉도 화산][베수비우스 화산][백두산][한라산][울릉도][베수비우스]백두산 화산, 한라산 화산, 울릉도 화산, 베수비우스 화산 분석(화산, 백두산 화산, 한라산 화산, 울릉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산][백두산 화산][한라산 화산][울릉도 화산][베수비우스 화산][백두산][한라산][울릉도][베수비우스]백두산 화산, 한라산 화산, 울릉도 화산, 베수비우스 화산 분석(화산, 백두산 화산, 한라산 화산, 울릉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백두산 화산

Ⅲ. 한라산 화산

Ⅳ. 울릉도 화산

Ⅴ. 베수비우스 화산
1. 8월 24일
2. 8월 25일

참고문헌

본문내용

울릉도의 최고봉인 성인봉(983.6m)은 화구가 따로 없는 외륜산에 해당한다.
특히, 울릉도에서 주목할 만한 화산지형 중에 남양동의 비파산에서 확연히 관찰할 수 있으며 울릉도의 여러 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주상절리가 있는데, 이것은 용암이 냉각수축할 때 발달한다. 용암의 수축 현상은 표면에서부터 일어나기 때문에 절리는 표면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수직적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표면에서는 일련의 절리가 육각형의 망을 형성한다. 절리의 모양이 돌기둥과 흡사하다 하여 주상절리라 부르게 된 것이다.
Ⅴ. 베수비우스 화산
이탈리아 서부해안의 나폴리만(Bay of Naples)에 있는 이 화산 頂上部의 남서쪽 5 Km Popei와 Herculaneum이라는 로마의 두 도시가 위치하고 있었다. 이 두 도시는 로마부호들의 휴양도시의 기능을 하고 있는 이 지역의 중심이었으며, 로마시대에는 이 화산의 분출기록이 없는 화산이었다. AD 63년에 진앙이 폼페이인 큰 지진이 발생하여 두 도시에 막대한 피해를 줬으며 이 화산이 폭발한 AD 79년에는 시가지의 일부가 재건된 상태였다. 이 진은 나폴리만의 함대사령관으로 있던 플리니(Pliny) 에 의하여 자세하게 기록이 남겨졌다.
1. 8월 24일
파괴적인 강도의 지진과 함께 분출시작
2. 8월 25일
심한 화산재 때문에 낮에도 밤과 같은 어둠이 계속. 6차례의 base surge와 화성쇄설암류의 분출이 있었음. 폼페이의 시가지가 2-3m의 화산재로 뒤덮였으며 시가지를 피하지 못한 대부분의 사람(시민의 약 10%) 은 질식사하였다. 후에 발생한 이류(mud flow) 는 20 m 두께로 쌓였으며, 이 분출의 결과로 3 Km의 칼데라를 만들었다. 그 후 이 화산은 203, 472, 512, 685, 787, 968과 1037년 사이의 5번의 분출, 1630년으로 화산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참고문헌
* 강태섭 외 3명(2010), 1597년 백두산 화산성지진의 특징, 대한지질학회
* 강승삼(1975), 한국의 화산지형 : 제주도 울릉도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 김기범 외 1명(2008), 울릉도의 화산층서와 단층에 대한 연구, 대한지질공학회
* 민경덕·원중선·황석연(1986), 제주도에 분포하는 화산암류 및 퇴적암류에 관한 고지자기연구, 광산지질학회지
* 이문원(1987), 화산분출물이 계속쌓여 만들어진 한라산, 동아일보사
* 존 캐리 저, 김기협 역(2007), 역사의 원전, 바다출판사
  • 가격6,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