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기독교 음주문제 연구
I. 들어가며
II. 기독교 윤리 관점 - 죤 프레임의 이론을 바탕으로
III. 초기 한국기독교의 음주
1. 한국 기독교 금주의 역사적 배경
2. 초기 한국 기독교의 금주운동
IV. 현대사상의 흐름
1. 현대의 종말과 포스트모던 시대의 출현
2. 현대화 (modernization)
3. 포스트모더니즘의 본질과 특징
V. 기독교 세계관
1. 기독교 세계관의 정의
2. 기독교 세계관의 신학적 배경
3. 기독교 세계관 형성의 필요성
(1)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Loadship)
(2) 이원론적 행습의 탈피
(3) 풍성한 삶으로의 회복
VI. 술에대한 성경의 입장
1. 초대교회 당시 술의 종류와 인식
2. 성경에 기록된 음주의 의미
I. 들어가며
II. 기독교 윤리 관점 - 죤 프레임의 이론을 바탕으로
III. 초기 한국기독교의 음주
1. 한국 기독교 금주의 역사적 배경
2. 초기 한국 기독교의 금주운동
IV. 현대사상의 흐름
1. 현대의 종말과 포스트모던 시대의 출현
2. 현대화 (modernization)
3. 포스트모더니즘의 본질과 특징
V. 기독교 세계관
1. 기독교 세계관의 정의
2. 기독교 세계관의 신학적 배경
3. 기독교 세계관 형성의 필요성
(1)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Loadship)
(2) 이원론적 행습의 탈피
(3) 풍성한 삶으로의 회복
VI. 술에대한 성경의 입장
1. 초대교회 당시 술의 종류와 인식
2. 성경에 기록된 음주의 의미
본문내용
I. 들어가며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있어 음주의 문제는 다른 나라와는 달리 공식적으로 금기시 되어 당연히 하지 말아야 할 인습(因襲, convention)으로 인식되어 있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불리워지는 오늘날 이 시대의 기독교인들에게 술은 공식과 비공식 사이에서 어중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따라서 제대로 된 설명의 필요성이 대단히 크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오늘날 교회는 이러한 포스트모던 사상을 가지고 있는 교인들의 비판적 사고에 논리적으로 공감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설명을 찾으려 하기보다는 지침을 중심으로한 주입식 학습의 힘으로 이 문제를 누르고 있다.
기독교인의 금주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이유를 물어본다면, “성경은 우리의 몸이 성령이 거하시는 거룩한 하나님의 성전 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거룩함을 온전히 이루어 육과 영의 온갖 더러운 것에서 자신을 깨끗게 해야 한다. ”일 것이다. 반대로 기독교인의 음주를 인정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그 이유 한가지만 말해달라고 한다면, “성경에 술을 마시지 말라고 한 적이 없다. 술 취하지 말라 고 했지.”일 것이다. 이러한 두 대립된 입장 사이의 논쟁에서 서로가 인정하는 중립요소는, 첫째, ‘술’ 자체는 가치 중립적이고, 둘째, 성경에서 술 마시는 것을 금하는 구절은 없으나 술 취하는 것은 금한다는 것이며, 셋째, 음주가 인간의 구원여부를 판단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 … 중 략 … ≫
II. 기독교 윤리 관점 - 죤 프레임의 이론을 바탕으로
프레임은 그의 저서 “PERSPECTIVES ON THE WORD OF GOD” 에서 기독교인의 윤리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을 세 가지 즉, 실존적 관점 (The Existential Perspective)과, 상황적 관점 (The Situatonal Perspective), 그리고 규범적 관점 (The Normative Perspective)으로 정리하였다.
≪ 그 림 ≫
(그림 1) Christian Ethics
기독교인의 윤리에 대한 바른 이해(Christian ethical study)는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와 성경적 세계관의 인식에서 비롯된다.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있어 음주의 문제는 다른 나라와는 달리 공식적으로 금기시 되어 당연히 하지 말아야 할 인습(因襲, convention)으로 인식되어 있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불리워지는 오늘날 이 시대의 기독교인들에게 술은 공식과 비공식 사이에서 어중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따라서 제대로 된 설명의 필요성이 대단히 크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오늘날 교회는 이러한 포스트모던 사상을 가지고 있는 교인들의 비판적 사고에 논리적으로 공감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설명을 찾으려 하기보다는 지침을 중심으로한 주입식 학습의 힘으로 이 문제를 누르고 있다.
기독교인의 금주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이유를 물어본다면, “성경은 우리의 몸이 성령이 거하시는 거룩한 하나님의 성전 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거룩함을 온전히 이루어 육과 영의 온갖 더러운 것에서 자신을 깨끗게 해야 한다. ”일 것이다. 반대로 기독교인의 음주를 인정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그 이유 한가지만 말해달라고 한다면, “성경에 술을 마시지 말라고 한 적이 없다. 술 취하지 말라 고 했지.”일 것이다. 이러한 두 대립된 입장 사이의 논쟁에서 서로가 인정하는 중립요소는, 첫째, ‘술’ 자체는 가치 중립적이고, 둘째, 성경에서 술 마시는 것을 금하는 구절은 없으나 술 취하는 것은 금한다는 것이며, 셋째, 음주가 인간의 구원여부를 판단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 … 중 략 … ≫
II. 기독교 윤리 관점 - 죤 프레임의 이론을 바탕으로
프레임은 그의 저서 “PERSPECTIVES ON THE WORD OF GOD” 에서 기독교인의 윤리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을 세 가지 즉, 실존적 관점 (The Existential Perspective)과, 상황적 관점 (The Situatonal Perspective), 그리고 규범적 관점 (The Normative Perspective)으로 정리하였다.
≪ 그 림 ≫
(그림 1) Christian Ethics
기독교인의 윤리에 대한 바른 이해(Christian ethical study)는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와 성경적 세계관의 인식에서 비롯된다.
추천자료
한국행정학의 문제점과 방향
경제문제와 기독교 윤리
<한국사회문제A형>IMF환란이후 우리사회 경제적 불평등의 지속적 심화 원인과 그 해결책
한국사회문제-노년층의 빈곤 문제
한국사회문제 A) 현대 도시가 가지고 있는 문제와 극복 방안, 도시 하나(서울)를 사례로 하여...
한국사회문제(빈곤)
[인권문제, 한국, 북한, 러시아, 대만(타이완), 나이지리아]한국의 인권문제, 북한의 인권문...
[기후변화와 교회] 기후변화의 원인, 현상, 기후변화의 문제점 및 기후변화에 대한 기독교, ...
[한국사회 문제 A형] 한국에서 정부가 보는 빈곤의 원인은 무엇인지 조사하고, 이를 개인들의...
[국문학개론]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한국어 교육에...
한국사회문제4C) 과학·기술·의료·환경과 같은 문제에서 전문가의 말을 맹신하지 않고 사회적 ...
[한국사회문제 C형] 한국 도시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 구...
[사회문제론D형] 한국사회에서 소수자의 인권은 어떤 식으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바람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