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그런데 인간은 이 간단한 사실을 간과한 채 화학약품을 이용해서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뒤덮어버린다. 다음으로 인간은 또 한 실수를 한다. 앞서 말한 점도 잘못된 사고에서 비롯된 결과이지만, 한 층 더 나가서 사고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만약 특정 개체를 박멸했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종족을 재생산하려는 폭발적인 힘이 작용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만큼의 놀라운 번식능력을 가진 생명체도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이 때 천적 역할을 하는 생명체를 모두 죽인 후에야 비로소 그 생명체가 하던 조절 기능을 알게 된다. 그러나 때는 이미 늦었다. 이렇게 환경저항은 점점 더 감소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질병을 옮기고 농작물을 해치는 곤충의 개체 수는 심각할 정도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화학물질방제를 통해서 없애려던 곤충이 오히려 놀라울 정도로 급속히 팽창함에 따라서 오는 부작용인 것이다.
우리는 이제까지 인위적으로 자연을 통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과학적인 자만심을 가지고 살충제와 같은 무기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지금부터는 이러한 부작용을 가져오는 행위에 대해 반성해야할 시기가 된 것 같다. 우리는 앞으로 방제 대상이 되는 유기체와 이 유기체가 속해 있는 전체 생명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생물학적인 해결법을 고안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근대적 의미의 생물학적 방제라는 분야에서 예를 들면 미국 농무부 곤충연구팀의 에드워드 니플링박사와 그 동료들이 시도한 ‘수컷의 불임화’ 가 있다. 수컷을 불임화시킨 후에 다시 풀어 놓으면 무정란만 만들어져서 곤충의 개수가 점점 줄어든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것도 바람직한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화학불임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 또한 상당히 독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최근 연구에서는 곤충이 만드는 여러 물질을 모방해서 해충에 대응하는 무기로 사용하는 것이 있다. 곤충들은 다양한 독물과 유인제와 기피제를 만들어낸다. 이런 물질을 모방하여 선택적으로 살포한다면 자연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는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천적을 수입해서 해충을 박멸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전 세계에서 40여 개국으로부터 성공적인 효과를 얻었다고 보고된다고 한다. 329쪽 19째줄 인용.
이렇게 앞으로 할 수 있는, 해야만 하는 일은 오히려 생태계를 파괴 시키고 자연과의 공생관계를 해치는 화학물질의 개발이 아니다. 자연에 순응하고 순리를 따르면서 생태학적인 방법을 연구하여 대응해나가는 것이다. 이제껏 인간들이 생각해온 잘 못된 사고는 과감히 버리고 현실을 직시하고 그에 따르는 겸손한 태도가 이제까지 저지른 과오를 씻고 환경을 보존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태도라고 생각한다. 다시 한 번 이 책을 접하면서 자극을 받았고 역시 안일했던 자신에게 어떤 것이 진정으로 인류를 위하고 공생하는 방법인지를 스스로 모색해볼 수 있었다. 우리에게 주어진 몫은 스스로 지나온 과오를 씻고 자연과 친화적인 사고를 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14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