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강호사시가’ 들여다보기
2.1. ‘강호사시가’에서 드러난 자연
2.2. 현대인들이 생각하는 자연관
2.3 ‘강호사시가’ 와 ‘도산십이곡’
3. ‘오륜가’ 들여다보기
3.1. ‘오륜가’를 통해 알아보는 오륜의 의미
3.2. 현대 사회에서의 오륜의 위치
4. 두 작품에 대한 우리들 생각
5. 나오는 말
2. ‘강호사시가’ 들여다보기
2.1. ‘강호사시가’에서 드러난 자연
2.2. 현대인들이 생각하는 자연관
2.3 ‘강호사시가’ 와 ‘도산십이곡’
3. ‘오륜가’ 들여다보기
3.1. ‘오륜가’를 통해 알아보는 오륜의 의미
3.2. 현대 사회에서의 오륜의 위치
4. 두 작품에 대한 우리들 생각
5. 나오는 말
본문내용
덕)이다. 제재가 많이 가해지지 않은 특성 때문인지, 처음에 드는 죄책감을 빼면 별다른 처벌이 없다는 이유로 점점 그 죄책감은 미약해진다. 현대사회에서의 자유분방한 생활태도와 서구문화의 유입, 갈수록 확산 되고 있는 노인비공경문화, 이기주의 등이 원인인 듯하다. 온고지신정신이 필요하다. 전통문화양식 보존이 중요하다.
4. 두 작품에 대한 우리들 생각
‘강호사시가’를 비롯해 그 당시 시조에서 자연 예찬의 작품이 많은 이유는 이런 이유가 아닐까 생각된다. 조선조 사대부들은 계속되는 정쟁 때문에 항상 불안한 벼슬살이를 하고 있었고, 그래서 벼슬을 버리고 자연에 파묻혀 마음 편히 살기를 꿈꾸었을 것이다. 또, 유교적 도덕관에 따라 맑은 심성을 가지고 학문을 닦는 것을 이상적인 삶의 모습으로 생각했고, 자연은 그들이 추구하는 맑고 영원한 진리의 세계를 표상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 중 ‘강호사시가’ 역시 이에 속한 작품인가 싶다. ‘강호사시가’를 읽어보니 자연 그 자체를 아름답다고 여기며 주어진 것에 대해 감사할 줄 아는 조상의 마음이 깃들어있는 듯 했다. 봄이면 봄, 여름이면 여름 할 것 없이 4계절을 두루두루 좋은 경치와 장관을 뽑아내어 자신이 그렇게 자연 안에서 쉬어갈 수 있는 것도 모든 것이 만물을 다스리시는 임금의 덕이라 생각하는 구절에서 진정한 충신의 모습이 이런 것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또 다른 작품인 ‘오륜가’는 ‘강호사시가’와는 전혀 비슷한 점도 없는 시조이지만 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백성들의 모습을 안타까워하고 나라의 질서가 무너져서 점점 문란해져가는 그들의 생활을 걱정하는 마음으로 지어 퍼뜨린 시조라는 점에서 백성을 올바른 길로 이끌고 가기 위한 옛 사람의 마음씀씀이가 느껴졌다. 또한 시조로도 이렇게 자연스럽게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나오는 말
지금까지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을 노래한 ‘강호사시가’와 인간의 오륜에 대한 노래인 ‘오륜가’ 두 작품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단순히 이러한 작품이 있다는 것만 배우고 넘어가서는 안 될 것이다. 옛 사람들이 자연을 매우 친근한 대상으로 여겨왔다는 것과 계절마다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풍경조차도 임금의 덕으로 인해 풍요롭고 한가한 것이라고 생각하며 감사하는 마음을 본받으며 점점 황폐해져가는 자연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오륜가 역시 마찬가지이다. 지금 세상에 사라져가는 다섯 가지 도리를 생각해보며 어떠한 도리를 다시 되살려야 현대 사회에 도움이 될 것인지도 깊이 생각해볼 문제이다.
* 참고문헌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i-jo/gang-ho-sa-si-ga.htm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i-jo/5-lyun-ga-ju-se-bung.htm
김흥규 , [강호자연과 정치현실] 김학성.권두환 편[고전시가론] 세문사 1984,393~399쪽
http://tong.nate.com/hwasunsarang/7700898
4. 두 작품에 대한 우리들 생각
‘강호사시가’를 비롯해 그 당시 시조에서 자연 예찬의 작품이 많은 이유는 이런 이유가 아닐까 생각된다. 조선조 사대부들은 계속되는 정쟁 때문에 항상 불안한 벼슬살이를 하고 있었고, 그래서 벼슬을 버리고 자연에 파묻혀 마음 편히 살기를 꿈꾸었을 것이다. 또, 유교적 도덕관에 따라 맑은 심성을 가지고 학문을 닦는 것을 이상적인 삶의 모습으로 생각했고, 자연은 그들이 추구하는 맑고 영원한 진리의 세계를 표상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 중 ‘강호사시가’ 역시 이에 속한 작품인가 싶다. ‘강호사시가’를 읽어보니 자연 그 자체를 아름답다고 여기며 주어진 것에 대해 감사할 줄 아는 조상의 마음이 깃들어있는 듯 했다. 봄이면 봄, 여름이면 여름 할 것 없이 4계절을 두루두루 좋은 경치와 장관을 뽑아내어 자신이 그렇게 자연 안에서 쉬어갈 수 있는 것도 모든 것이 만물을 다스리시는 임금의 덕이라 생각하는 구절에서 진정한 충신의 모습이 이런 것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또 다른 작품인 ‘오륜가’는 ‘강호사시가’와는 전혀 비슷한 점도 없는 시조이지만 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백성들의 모습을 안타까워하고 나라의 질서가 무너져서 점점 문란해져가는 그들의 생활을 걱정하는 마음으로 지어 퍼뜨린 시조라는 점에서 백성을 올바른 길로 이끌고 가기 위한 옛 사람의 마음씀씀이가 느껴졌다. 또한 시조로도 이렇게 자연스럽게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나오는 말
지금까지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을 노래한 ‘강호사시가’와 인간의 오륜에 대한 노래인 ‘오륜가’ 두 작품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단순히 이러한 작품이 있다는 것만 배우고 넘어가서는 안 될 것이다. 옛 사람들이 자연을 매우 친근한 대상으로 여겨왔다는 것과 계절마다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풍경조차도 임금의 덕으로 인해 풍요롭고 한가한 것이라고 생각하며 감사하는 마음을 본받으며 점점 황폐해져가는 자연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오륜가 역시 마찬가지이다. 지금 세상에 사라져가는 다섯 가지 도리를 생각해보며 어떠한 도리를 다시 되살려야 현대 사회에 도움이 될 것인지도 깊이 생각해볼 문제이다.
* 참고문헌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i-jo/gang-ho-sa-si-ga.htm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i-jo/5-lyun-ga-ju-se-bung.htm
김흥규 , [강호자연과 정치현실] 김학성.권두환 편[고전시가론] 세문사 1984,393~399쪽
http://tong.nate.com/hwasunsarang/7700898
추천자료
고려시대 불화를 통해 본 고려시대의 특성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대중문화 시대의 스포츠
[무라카미 하루키][상실의 시대][노르웨이의 숲][독후감][독서감상문][서평]무라카미 하루키...
[조선시대][조선시대 왕권][조선시대 왕조][조선시대 왕조실록][왕의 일상][왕복][왕실 호칭]...
제망매가(신라시대 향가)의 원문과 해석, 제망매가(신라시대 향가)의 작품해제, 제망매가(신...
[통일신라시대 향가]통일신라시대 향가(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 향가(도솔가), 통일신라시대...
[조선시대][조선시대 문학][조선시대 회화][조선시대 건축][조선시대 공예][조선시대 음악][...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학)의 의의,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학)의 특성,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
만4세) <수업 활동 계획안> 게임: 같은무늬 개구리를 찾아주세요
미술작품 속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와 이해 - 구석기 시대 동굴 벽화, 레오나르도 다빈치, 뉴...
책요약 -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16장까지 - 예수와 사도들의 시대, 카톨릭 기독교 시대, 기...
<삼국지(三國志)에서 배우는 리더십> 삼국지에서 배우는 현대에 요구 되는 리더의 모습 (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