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사설시조의 등장 시기 및 배경
3. 사설시조의 특성
4. 예로 짚어보는 사설시조의 미학
5. 나오는 말
2. 사설시조의 등장 시기 및 배경
3. 사설시조의 특성
4. 예로 짚어보는 사설시조의 미학
5. 나오는 말
본문내용
풍자, 비유적 표현과 비속어 등
절제된 감정과 상징적 표현
사설시조와 평시조는 표를 통해 살펴본 것과 같이 같은 시조라고는 하지만 여러 면에서 그 차이를 찾아볼 수 있다. 사설시조와 평시조의 이러한 차이는 시조 자체 때문이라기보다는 그것을 짓고 향유하는 주인공들의 사상의 변화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사대부들의 단아하고 여유 있는 생활을 노래하기에 적합한 것이 평시조라고 한다면 시정인들의 바쁘고 거친 세계를 노래한 것이 사설시조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사설시조의 작가로 나타난 사람 가운데는 당대 일류의 사대부도 있으나 그들 역시 시정인들의 생활에 공감하였거나 사대부들의 점잖음에 회의를 품은 때문이라고도 얘기한다.
사실시조의 특성과 더불어 사설시조만의 미의식체계는 어떻게 구축되어 있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설시조의 미의식 체계는 시조의 미의식을 연장하고 있는 면도 있고 시조의 미의식의 변용도 보이며 시조 미의식의 극복도 보여주고 있다. 유학도들은 질서와 안정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요구에 의해 시조 문학을 창조해 갔는데 질서의 추구에 의해 숭고미 崇高美 : 일상생활에서 벗어난 크고 위대한 것을 추구하는 데서 오는 아름다움, 경건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냄으로써 고고한 정신적 경지를 체험할 수 있게 하는 미의식
, 비장미 悲壯美 : 삶의 부당한 제약을 거부하고, 숭고한 이념을 긍정하려는 투쟁에서 오는 아름다움, 슬픔이 극에 달한 상태나 한의 정서 표출로 인해 형상화 되는 이미지
를 구현하고 인정에 의해 우아미 優雅美 : 일상생활의 실상에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작고 친근한 것을 추구하는 데서 오는 아름다움, 아름다운 형상이나 수려한 자태를 그려냄으로써 고전적인 기품과 멋을 드러내는 미의식
를 추구하게 되었다고 한다.
사설시조 작가들은 그들 나름의 사고 체계와 가치 관념에 의해 선행하는 시조의 미학을 변용하여, 자연에 묻히는 우아미를 지극히 현실적으로 다루어 우아미를 변용시키기도 하고, 시조의 미의식을 부정적으로 혹은 반동적으로 받아들여 구현함으로써 선행하는 시조 미의식을 극복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사설시조는 시조의 미학을 그저 변용하거나 극복하는 데에 그친 것이 아니라 나름의 독자적인 미적 체계에 의해 새로운 미학을 창조하였는데, 여기서 사설시조의 진정한 가치를 엿볼 수 있다. 사설시조의 미의식은 웃음의 미학으로 골계미 滑稽美 : 익살스러움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와 해학미 諧謔美 : 딱딱한 관념의 구속을 거부하고 삶의 발랄한 모습을 긍정하려는 각성에서 오는 아름다움, 순수미의 반대편에 서 있는 부분으로 우울함과 슬픔, 재미있음과 변덕스러움, 이상함과 미묘함을 포괄한다.
를 보여준다. 이는 현실 모순에 대한 날카로운 고찰, 중세적 고정관념을 추락시키는 풍자, 고달픈 생활에 대한 해학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4. 예로 짚어 보는 사설시조의 미학
사설시조를 예로 짚어 보며 그 안에 담겨 있는 미학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고자 한다.
귀리 져 귀리 - 작자미상
귀리 져 귀리 여엿부다 져 귀리
어인 귀리 지 새 밤의 긴 소
절제된 감정과 상징적 표현
사설시조와 평시조는 표를 통해 살펴본 것과 같이 같은 시조라고는 하지만 여러 면에서 그 차이를 찾아볼 수 있다. 사설시조와 평시조의 이러한 차이는 시조 자체 때문이라기보다는 그것을 짓고 향유하는 주인공들의 사상의 변화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사대부들의 단아하고 여유 있는 생활을 노래하기에 적합한 것이 평시조라고 한다면 시정인들의 바쁘고 거친 세계를 노래한 것이 사설시조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사설시조의 작가로 나타난 사람 가운데는 당대 일류의 사대부도 있으나 그들 역시 시정인들의 생활에 공감하였거나 사대부들의 점잖음에 회의를 품은 때문이라고도 얘기한다.
사실시조의 특성과 더불어 사설시조만의 미의식체계는 어떻게 구축되어 있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설시조의 미의식 체계는 시조의 미의식을 연장하고 있는 면도 있고 시조의 미의식의 변용도 보이며 시조 미의식의 극복도 보여주고 있다. 유학도들은 질서와 안정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요구에 의해 시조 문학을 창조해 갔는데 질서의 추구에 의해 숭고미 崇高美 : 일상생활에서 벗어난 크고 위대한 것을 추구하는 데서 오는 아름다움, 경건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냄으로써 고고한 정신적 경지를 체험할 수 있게 하는 미의식
, 비장미 悲壯美 : 삶의 부당한 제약을 거부하고, 숭고한 이념을 긍정하려는 투쟁에서 오는 아름다움, 슬픔이 극에 달한 상태나 한의 정서 표출로 인해 형상화 되는 이미지
를 구현하고 인정에 의해 우아미 優雅美 : 일상생활의 실상에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작고 친근한 것을 추구하는 데서 오는 아름다움, 아름다운 형상이나 수려한 자태를 그려냄으로써 고전적인 기품과 멋을 드러내는 미의식
를 추구하게 되었다고 한다.
사설시조 작가들은 그들 나름의 사고 체계와 가치 관념에 의해 선행하는 시조의 미학을 변용하여, 자연에 묻히는 우아미를 지극히 현실적으로 다루어 우아미를 변용시키기도 하고, 시조의 미의식을 부정적으로 혹은 반동적으로 받아들여 구현함으로써 선행하는 시조 미의식을 극복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사설시조는 시조의 미학을 그저 변용하거나 극복하는 데에 그친 것이 아니라 나름의 독자적인 미적 체계에 의해 새로운 미학을 창조하였는데, 여기서 사설시조의 진정한 가치를 엿볼 수 있다. 사설시조의 미의식은 웃음의 미학으로 골계미 滑稽美 : 익살스러움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와 해학미 諧謔美 : 딱딱한 관념의 구속을 거부하고 삶의 발랄한 모습을 긍정하려는 각성에서 오는 아름다움, 순수미의 반대편에 서 있는 부분으로 우울함과 슬픔, 재미있음과 변덕스러움, 이상함과 미묘함을 포괄한다.
를 보여준다. 이는 현실 모순에 대한 날카로운 고찰, 중세적 고정관념을 추락시키는 풍자, 고달픈 생활에 대한 해학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4. 예로 짚어 보는 사설시조의 미학
사설시조를 예로 짚어 보며 그 안에 담겨 있는 미학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고자 한다.
귀리 져 귀리 - 작자미상
귀리 져 귀리 여엿부다 져 귀리
어인 귀리 지 새 밤의 긴 소
키워드
추천자료
근대시가
조선후기 현실주의적 한시문학
고영근의 표준중세국어문법론 '근대국어' 요약
정약용의 <소경에게 시집 간 여자>에 관한 연구 (도강고가부사)
[현대시론]근대시론 형성 및 자유시론 - 1910년대부터 20년대까지의 시론史
[과외]중학 국사 중3-국사 3 서민문화의 발달 02
실학사상과 국문학-실학이 국문학에 미친 영향
고소설의 사적 전개
중세후기의 가사의 양상
한국 고전문학의 분류, 한국 고전문학의 특성, 한국 고전문학과 사이버공간(온라인, 인터넷),...
[음악][고구려시대 음악][백제시대 음악][신라시대 음악][고려시대 음악][조선시대 음악][고...
한국문학통사 3권 요약 -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
조선후기 문화의 경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