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의 개념과 학교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행정의 개념과 학교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교육행정의 개념
-교육이란
-행정이란
①국가통치권론
②조건정비론
③행정과정론
④협동행위론
⑤교육지도성론
2. 학교제도의 개념
-학교제도의 개념
-학교제도의 구조와 유형

[본론]
3.우리나라 학제의 문제점 진단

[결론]
4. 우리나라 학제의 발전 방안
-학교 외 교육제도로서의 방안
-학제의 발전 방안

본문내용

, 아동의 발달단계 또는 발달 정도에 따라 취학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취학연령의 획일화 지양 등을 통하여 학제 운영을 효율화하여야 한다.¹
다섯 번째, 청소년의 발달 향상과 고등학교 단계의 '직업적응교육' : 고등학교 단계 1년을 추가하는 개념에 초점을 맞춰 종래의 6-3-3-4제를 유-5-3-4-4제로 재편성한다.² 4년제 고등학교로 개편하는 것은 여러 가지 근거가 있으나 중심적인 이유는 학생들이 대학과 직장 어느 곳으로 진출하든지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기간학제의 교육연한은 현재와 같이 16년으로 하되 이 안에서 학교단계의 구분은 지역적 또는 학교의 특성에 따라 신축성을 가지고 운영할 수 있도록 단위 교육청 또는 지방교육 자치단체의 자율에 일임하여야 한다.²¹
여섯 번째, 우수학생과 저능학생의 능력향상 : 방과 후 활동을 보강하여 개인 능력에 알맞은 교육을 해야 한다. 또한 그들 외에도 보통학생들의 능력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방식으로 나가야 한다. 즉, 교사는 학생들에게 지식만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 동기부여 및 이해도를 높여주는 지도로 이끌어야 한다.
일곱 번째, 학교제도의 폐쇄성 인식의 전환 :고등학교 계급 간 차이와 학생선발제도를 바꾸어 고등학교나 대학이 학생선발 및 학기 운영에 자율성을 갖도록 하며, 학교간의 전학 및 편입학이 완전히 개방되어야 한다.²² 또는 학생들이 기간학제의 학교에서 교육을 받다가도 상황과 필요에 따라 전문적인 다른 계통의 학교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기간학제와 방계학제의 연계체제를 강화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업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체제 : 실업계는 전공수업뿐 아닌 기본상식이나 교양을 쌓을 수 있는 교육체제로 변형시켜야 한다. 또한 고등학교 진학에 학업위주의 선발이 아닌 엄격한 면접과 학생의 자질을 확인하여 그 학교에 알맞은 학생으로 선발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학교제도가 모두 만족할 수 있게 자리 잡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학교제도의 변화로서 우리나라의 학생들이 원활하고, 효율적이게 교육받는 그 날이 올 것이다.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된 내면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효율적인 학교제도로 변화되는 그 날까지 모두 파이팅이다.
¹ 김영철 외(1981)
² 김영식, 최희선,(1988)
²¹ 장기옥(1991)
²² 교육제도론(한국교육행정학회), p175
◆참고문헌◆
-교육인사행정의 이론과 실제 (형설/ 김창걸 외3 공저)
-(김종철, 1982: 17)
-교육행정학원론 (학지사/ 윤정일 외3 공저)
-Arthur B. Moehlman, School Administration
(New York: Houghton Mifflin Co., 1951)
-Dwight Waldo,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N.Y.: Random House, 1967)을 인용한 윤정일 외,
-신간 현대교육행정학(서울: 교육출판사, 1982)
-배종근, 정태범(편), 교육행정·교육경영(서울: 정민사, 1986)
-김영식 외, 교육제도의 이념적 현상(서울: 교육과학사, 1982)
-김영식, 최희선, 교육제도 발전론(서울: 성원사, 1988)
-교육제도론(한국교육행정학회)
-김영식, 최희선, 전게서; 김영철, "학제개편의 필요성 및 주요 쟁점",
교육체제 변화전망과 학제(한국교육개발원, 2006)
-장기옥(199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교육학대백과사전(1999)의 내용을 재구성.
-서덕희, 전게서.
-안규철, "교육제도와 교육법", 곽영우 외 공저,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삼광출판사, 1995)
-김영철 외(1981)
-김영식, 최희선,(1988)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6.29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9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