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글리코겐(glycogen) 정의
2. 글리코겐의 기능과 효과
1) 생합성 및 기능
2) 간에서 글리코겐의 작용과 혈당 조절
3) 근육과 기타 세포에서 글리코겐의 작용
3. 글리코rps의 부정적 효과
4. 글리코겐과 마라톤
2. 글리코겐의 기능과 효과
1) 생합성 및 기능
2) 간에서 글리코겐의 작용과 혈당 조절
3) 근육과 기타 세포에서 글리코겐의 작용
3. 글리코rps의 부정적 효과
4. 글리코겐과 마라톤
본문내용
정을 거치고 나면 몸은 최대로 탄수화물을 절실히 요구하는 수준으로 경계상태가 되어 있고, 몸 무게가 3 kg 정도나 감소된다. 마라톤 주자들은 평소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데 비하여 3 kg의 감량은 대단한 것이다. 이후 3일간은 탄수화물만 (밥, 빵, 우동 감자 등)만 먹어 먹는다. 그러면 신체는 탄수화물의 고갈이라는 비상상태에서 평소보다 더 많은 양의 탄수화물을 저장하게 하려고 하며,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로3일만에 몸무게가 3-4 kg증가하게 된다. 이 같은 식이요법에 의해서 마라톤 주자들은 당이 거의 고갈되는 32 km 지점 이후에서도 당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12∼18시간 금식 후에는 글리코겐이 모두 혈당으로 소모되어 남아있지 않으므로 금식으로 살을 빼는 다이어트는 주의 해야 한다.
12∼18시간 금식 후에는 글리코겐이 모두 혈당으로 소모되어 남아있지 않으므로 금식으로 살을 빼는 다이어트는 주의 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