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화성 중에서 봉돈을 선택한 이유
2. 봉돈의 주변환경
3. 봉돈의 지금
4. 마치는 글
2. 봉돈의 주변환경
3. 봉돈의 지금
4. 마치는 글
본문내용
유산으로 지정된만큼 어디 하나도 쉽게 넘길 수 없는 법이지만 봉돈은 화성 전체에서 40개가 넘는 건축물들 중 하나고 팔달문, 장안문같은 것들에 비해서 문화재로서 화성에서 갖는 중요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내가 답사를 다니면서 얼마나 많은 문화재들을 봤을까. 절도 봤고 성곽도 봤고 서원도 봤고 제2땅굴까지 가봤다. 그 중에서 어릴 적 나에게 깊은 인상을 안겨줬던 봉수대보다 직접 봤을 때 뭔가 와닿는 것은 생각보다 많지 않았다. 내가 워낙 배움이 부족해서인 이유도 있겠지만 절은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보다 절이구나 하고 넘기게 됐고 성곽도 그냥 길구나 보존 잘 됐구나 그러고 넘기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좀 더 심미적으로 그걸 바라보게 된 문화재들은 손에 꼽을만하다.
5월5일 수원화성 일일답사를 가면 아무래도 한여름수준은 아니지만 날씨가 더운 편일 때가 많고 그 긴 거리를 걷다보면 힘들다. 일일답사 순서상 팔달문이 처음이자 마지막이기 때문에 봉돈은 거의 마지막에 보게 되는데 의도치 않아도 항상 여기서 조금 휴식을 취했던것 같다. 일일답사가 끝날 정도이니 해가 절정은 아니고 봉돈은 문을 열고 들어가야 하는 구조인만큼 내부는 그림자도 길게 지고 그 안에서 쉬고 있으면 뭔가 다른 화성을 돌 때와는 느낌이 다르다. 정말 쉬는 느낌이 난다.
앞서 이것이 누가 만들었고 어떤 가치가 있다는 말을 듣기 전에 내가 보는 것만으로 매력을 느낀 것 중 하나가 봉돈이다. 작년에도 봤고 올해도 봤고 내년에도 아마 다시 보게 되겠지만 볼 때마다 질리지 않는 곳이 봉돈이기 때문에 내년에도 또 다른 기대감을 갖고 봉돈을 보게 될 것 같다.
그리고 내가 답사를 다니면서 얼마나 많은 문화재들을 봤을까. 절도 봤고 성곽도 봤고 서원도 봤고 제2땅굴까지 가봤다. 그 중에서 어릴 적 나에게 깊은 인상을 안겨줬던 봉수대보다 직접 봤을 때 뭔가 와닿는 것은 생각보다 많지 않았다. 내가 워낙 배움이 부족해서인 이유도 있겠지만 절은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보다 절이구나 하고 넘기게 됐고 성곽도 그냥 길구나 보존 잘 됐구나 그러고 넘기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좀 더 심미적으로 그걸 바라보게 된 문화재들은 손에 꼽을만하다.
5월5일 수원화성 일일답사를 가면 아무래도 한여름수준은 아니지만 날씨가 더운 편일 때가 많고 그 긴 거리를 걷다보면 힘들다. 일일답사 순서상 팔달문이 처음이자 마지막이기 때문에 봉돈은 거의 마지막에 보게 되는데 의도치 않아도 항상 여기서 조금 휴식을 취했던것 같다. 일일답사가 끝날 정도이니 해가 절정은 아니고 봉돈은 문을 열고 들어가야 하는 구조인만큼 내부는 그림자도 길게 지고 그 안에서 쉬고 있으면 뭔가 다른 화성을 돌 때와는 느낌이 다르다. 정말 쉬는 느낌이 난다.
앞서 이것이 누가 만들었고 어떤 가치가 있다는 말을 듣기 전에 내가 보는 것만으로 매력을 느낀 것 중 하나가 봉돈이다. 작년에도 봤고 올해도 봤고 내년에도 아마 다시 보게 되겠지만 볼 때마다 질리지 않는 곳이 봉돈이기 때문에 내년에도 또 다른 기대감을 갖고 봉돈을 보게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