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신경림][시정신][민중문학][첫 장날]시인 신경림의 유년시절, 시인 신경림의 시정신, 시인 신경림의 작품활동, 시인 신경림의 민중문학, 시인 신경림의 첫 장날 작품분석, 시인 신경림의 농무 작품분석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인][신경림][시정신][민중문학][첫 장날]시인 신경림의 유년시절, 시인 신경림의 시정신, 시인 신경림의 작품활동, 시인 신경림의 민중문학, 시인 신경림의 첫 장날 작품분석, 시인 신경림의 농무 작품분석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시인 신경림의 유년시절

Ⅲ. 시인 신경림의 시정신
1. 시의 사회적 기능 강조
2. 시와 이데올로기에 대한 그릇된 편견을 극복

Ⅳ. 시인 신경림의 작품활동
1. 1935년 충청북도 충주 출생
2. 1956년
3. 1965년
4. 1973년
5. 1974년
6. 1977년
7. 1981년
8. 1982년
9. 1983년
10. 1985년
11. 1986년
12. 1987년
13. 1988년
14. 1989년
15. 1990년
16. 1991년
17. 1993년
18. 1998년
19. 2000년

Ⅴ. 시인 신경림의 민중문학
1. 민중시에 대한 옹호
2. 난해시에 대한 비판
3. 올바른 역사의식의 소유

Ⅵ. 시인 신경림의 첫 장날 작품분석

Ⅶ. 시인 신경림의 농무 작품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맡게 된다.
젊은 새 제관이 \'열림굿\'을 주도하자 굿의 신명성과 민중적 집단성에 의하여 \'지그은 잊을 때 지난 일을 다 잊을 때/감사주고 덮어주고 서로 손 맞잡을 때\'가 되어서 민중집단이 공동체적 삶을 지향하고자 한다.
이것은 곧, 공동체적 삶으로 인하여 \'새 양반, 새 부자와 새 통수, 새 동네일꾼이 이
마을 풍성해질 온갖 방책을 다 짜고,\' \'고을이 온통 빛깔이 밝아졌다.\' 뿐만 아니라 \'왔구나 오랜만에 요순 시절이 네 아니냐\'할 만큼, \'없는 놈 있는 놈. 양반 상놈이/한데 어울려 종일토록 술타령도 하는\'민중집단과 반 미중집단 간의 화해로운 공동체 삶이 진행된다.
Ⅶ. 시인 신경림의 농무 작품분석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
오동나무에 전등이 매어달린 가설무대
구경꾼이 돌아가고 난 텅 빈 운동장
우리는 분이 얼룩진 얼굴로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신다.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
꽹과리를 앞장세워 장거리로 나서면
따라붙어 악을 쓰는 건 쪼무래기들 뿐
처녀애들은 기름집 담벽에 붙어 서서
철없이 킬킬대는구나
보름달은 밝아 어떤 녀석은
꺽정이처럼 울부짖고 또 어떤 녀석은
서림이처럼 해해대지만 이까짓
산구석에 처박혀 발버둥친들 무엇 하랴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
아예 여편네에게나 맡겨두고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
한 다리를 들고 날라리를 불꺼나
고개짓을 하고 어깨를 흔들꺼나
농민들에게 친숙한 농무를 통해 그들의 삶을 조명하였다. 농민들에게 친숙한 소재이기 때문에 쉽게 독자(농민)들에게 읽힐 수 있다. 농무는 농민들의 춤이다. 농무는 농경사회에서 풍년이 되기를 비는 제사의식의 하나였다. 지금은 제의적 요소는 약화되었지만, 농민들은 억눌리고 찌들어 삶을 살면서 농무로 달래고 있다. 율동과 가락으로 어우러진 춤을 추면서 농민들의 허망한 마음을 호소하고 고달픈 삶을 해소하는 농무에는 그들의 즐거움과 서러움이 담겨 있다.
현대사회는 다양해지고 농촌도 변하였다. 신경림은 문명이 발달한 현대사회 속에서 살고 있는 농민들의 삶의 애환을 농무를 추는 이들의 허탈한 심정에 담아 호소하고 있다. 가난과 슬픔, 분노에 얼룩진 농무를 추는 이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농무’는 농민의 삶, 현실 모습이다.
이 시는 농무를 추고 있는 장면에서 시작하고 있지 않다. 가설무대에서 농무가 끝난 뒤 막이 내리고 구경꾼들도 다 돌아간 뒤의 텅 빈 운동장에서 시작된다. 농무가 끝난 뒤의 허탈감으로 시작한다. 시인의 눈은 농민을 겉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농민들의 삶의 이면을 추적했다. 농무를 추는 농민의 심정을 ‘텅 빈 운동장’으로 제시하고 있다. ‘텅 빈 운동장’은 소외된 농민들의 삶이며 현실이다.
구경꾼들이 가고 난 뒤의 허망함. 다시 시장거리로 나선다. 조무래기들과 철없는 처녀들만 쳐다본다. 그래도 농무를 추는 이들은 제 흥에 겨워 거리로 나선다. 꽹과리를 치고 날라리를 불며 가난으로 얼룩진 그들의 삶의 애환을 표출하는 것이다.
고갯짓을 하고 어깨춤을 추는 동안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도, 발버둥치며 살아가는 것도 다 잊을 수 있다. 가난한 삶의 서러움과 현실의 울분을 호소할 곳이 없다. 농민은 농무를 추며 서러움을 체념하는 것이다. 이 체념의 상태에서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라는 역설적 표현은 ‘체념’과 ‘신명’이 함께 응축되면서 시적 긴장감을 준다. 이 시의 시적 화자가 ‘우리’라고 한 것을 주목ㄹ하여야 한다. ‘농무’는 농민들, 집단의 정서를 표출하는 ‘마당’이다. 현대사회에서 그 의미가 약화되어가고 있는 ‘농무’를 통하여 농민들의 애환을 표출하였다.
과거의 농무는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행사였지만 지금은 그 의미가 퇴색하였을 뿐 아니라 농사일의 흥을 돋워주지도 못한다. 비료값도 나오지 않는 농사를 짓는 농민들에게 농무는 무슨 의의가 있을까? 농민들은 풍요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허탈감’으로 춤을 추고 있다.
신경림은 농민들의 애환이 담긴 농무를 소재로 농촌의 삶의 현장을 조명하였다.
참고문헌
강정구 외 1명(2008), 신경림 문학의 서사성 재고, 한국시학회
강정구(2003), 신경림 시의 서사성 연구, 경희대학교
김문성(2011), 신경림 시에 나타난 알레고리 연구, 숭실대학교
김연희(2003), 신경림의 민중지향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류순태(2011), 신경림 시의 공동체적 삶 추구에서 드러난 도시적 삶의 역할, 우리말글학회
전인숙(2004), 신경림 시의 전개 양상 연구, 전남대학교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7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