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문학사(청교도주의, 초월주의, 콩코드그룹)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문학사(청교도주의, 초월주의, 콩코드그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매순간을 살도록 권하는 행동개시의 나팔소리가 되었다. 동시에 그는 우주의 도덕적 본질을 주장하였으며 또 자신의 피조물 모든 곳에 신의 현존을 입증하는 위대한 객관적 교훈으로서 자연에 주의를 촉구하였다. 초절주의는 인간의 생득적인 선이라는 가정에 의해 수정된 캘빈주의라고 말해도 크게 잘못된 것은 아닐 것이다.
1836년에서 1838년 사이에 쓴 세 개의 짧은 수필에서, 에머슨은 이 전언이 의미하는 바를 밝혔다. 「본성」"Nature"(1836)에서 그는 어떻게 인간이 자신의 정신적 본성을 발견하며 또 어떻게 계속해서 정신의 궁극적 현실에 도달하기 위해서 우주의 끊임없이 상승하는 영역을 탐색하는가를 보여주었다.
「미국 학자」"The Ameican Scholar" (1837년 하바드 대학에서 행한 우등생 친목회 Phi Beta Kappa 연설문)에서, 그는 어떻게 미국 전체가 유럽의 문학전통으로부터 독립을 성취할 수 있는가를 설명하고 또 학자들, 철학자들 그리고 문학가들이 자립적인 국민의 신분을 발전시키는 데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하였다. 다음 해에 그는 캠블릿지 Cambridge에서 논쟁적인 「신학교 연설」 "Divinity School Address"을 하였는데, 그 가운데 그는 청중들을 설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적 경험과 직접적인 직관에 의지하여, 그의 젊은 지지자들로 하여금 전통적인 신조들과 독단들을 생각없이 반복하기를 그치고 '성령의 거듭 난 음유 시인들'이 될 것을 촉구함으로써 교수진들과 정통적인 성직자들을 놀라게 하였다.
초절주의에 대한 연구에서, 고다드Goddard 교수는 초절주의를 "무엇보다 먼저 마음과 마음의 활동방식들 그리고 지식을 획득하는 방법들에 고나한 견해doctrine" 라고 규정한다.
「초절주의자」"The Transcententalist"(1842)에서 에머슨은 "경험에 기초를 둔 관념론자들"을 절대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서두로 해서 관념론자는 "자신의 의식으로부터 출발해서 이 세상을 현상appearance으로 파악한다." 고 말한다.
같은 단락에서, 에머슨은 더 나아가서 "마음이 유일한 실체이며 인간과 모든 다른 자연물들은 그것의 좋거나 나쁜 반사물 들이며 자연, 문학파와 자신의 동일함을 뒷받침하였다" 그러한 세계에서는, 마음만이 마음에 반응을 보일 수 있으며 관념론자는 감각의 환상적 지각에 현혹되기를 거부함으로써만이 정신적 우주의 핵심적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인격적인 거대한 영혼의 창조력의 발산물로서의 물질계에 대한 에머슨의 개념은 필수적으로 범신론적이다.
그러나 신성한 생명원칙life-principle을 언급하면서 그가 계속 '신'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평생의 습관들이 그에게는 너무 강했거나 또는 신격에 대한 그의 실제 생각이 그의 철학이 논리적으로 허용했던 것보다 더욱 개인화되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면들에서도 역시 우리가 살펴 보았듯이, 에머슨의 초절주의는 청교주의를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특징들 - 즉, 청교주의의 도덕적 진지성, 자연의 중요한 기능은 인간에게 신이 창조한 우주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는 청교주의의 믿음, 정력적인 삶에의 요청, 그리고 자신을 창조한 신의 능력을 자신의 삶에서 찬미하는 것이 인간의 의무라는 청교주의의 주장 -을 계속 지니고 있었다.
초절주의는 1830년대와 40년대 미국의 점증하는 물질주의와 세속적 풍토worldliness에 대한 콩코드 관념론자들의 답변이었으며, 그러한 초절주의는, 헨리 쏘로우Henry Thoreau의 경우에 그러했던 것처럼 그것이 시민적 불복종의 옹호를 의미한다고 하더라도, 원칙의 문제상 타협하지 않는 단호한 입장을 취할 수 있었다. 에머슨은 자신이 "모든 것을 불안정하게 하였다"고 자랑할 수 있었으며 쏘로우는 노예제도를 확장하려는 전쟁 경비를 지불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그가 알고 있는 세금납부를 거절하고, 조용히 감옥으로 갔다. 쏘로우는 "가장 적게 통치하는 정부가 가장 좋다"는 논리적 결론에 이르기까지 그 생각을 동등하게 기꺼이 끝까지 추진하였다. 개인적 도덕성이 관계되는 한, 노예제도에 대한 그의 견해는 메사츄세츠주도 남부의 어느 주 못지 않게 그것이 지속되는 데에는 책임이 있다는 것이었다.
초절주의는 신생국가를 위한 인생의 윤리적 지침이었다. 그것은 모든 인간이 지니고 있는 신성한 불꽃을 굳게 믿으면서 인간 본성의 가장 좋은 측면에 호소하였으며 또 그것은 관습과 전통이라는 속박을 벗어 던지고 새롭고 분명하게 미국적인 문화의 발전을 향해 전진하라는 나팔신호였다. 개인의 필수적인 가치와 존엄성을 그것이 강력히 주장했다는 점에서, 초절주의는 민주주의를 향한 막강한 세력이었으며 또 동시에 좋은 기회가 너무 자주 단순한 기회주의가 되어 버리며 또 '성공'하려는 욕망이 정신적 정상에 오르려는 도덕적 필연성을 약화시키는 급격하게 팽창하는 경제활동 상태에서 매우 필요로 하는 이상주의를 전도하고 실천하였다.
반면에 초절주의의 약점들은 심각하였다. 그것은 결코 체계적인 철학이 못되었으며, 또한 다른 많은 책에서 인용은 하지만 그것들을 거의 조화시키지도 못했다. 에머슨도 이 사실을 알고 있었으나 그것을 무시하였다. "바보스러운 일관성은 편협한 마음들의 도깨비이다"하고 그는 말했다. 인간들의 삶이 우주의 도덕적 본성의 '아름다운 필연성'에 일치하는 한, 사상의 견고하게 논리적인 체계들이 무슨 필요가 있는가? 실로, 초절주의의 위대한 성공은 논리의 요구들이 지나치게 집요할 때마다 부드러운 신비주의로 피난하는 것이 초절주의의 능력이었다.
※참고문헌 및 자료
문학용어사전 / Abrams, M. H - 보성출판사, 1989
미국 소설의 발달 / 전팔근 - 한신문화사, 1987
미국소설론 / V. O. A - 탐구당, 1975
문예사조사 / 이선영 - 민음사, 1986
문예사조의 이론과 실제 / 엄창섭 - 홍익출판사, 1996
현대미국소설연구 / 한국영어영문학회 - 민음사, 1979
http://www.mizii.com/jesusi/inlight/art/elit_h.htm
http://kowon.dongseo.ac.kr/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