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사옥][공간사옥 구조][공간사옥 분석][공간사옥 평가][김수근][건축][모더니즘]공간사옥의 이해, 공간사옥의 구조, 공간사옥의 분석, 공간사옥의 평가, 공간사옥과 김수근 분석(공간사옥, 사옥 구조,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간사옥][공간사옥 구조][공간사옥 분석][공간사옥 평가][김수근][건축][모더니즘]공간사옥의 이해, 공간사옥의 구조, 공간사옥의 분석, 공간사옥의 평가, 공간사옥과 김수근 분석(공간사옥, 사옥 구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공간사옥의 이해

Ⅲ. 공간사옥의 구조

Ⅳ. 공간사옥의 분석
1. 구관 지하1층 화랑의 상부와 open된 slab에 의한 화랑과 진입홀 간에 작용하는 위치적 의미
2. 문화재단의 원형사실(原型私室)이 공간의 연결에 미치는 위치적 의미
3. 신관증축에 있어서 위치적 의미

Ⅴ. 공간사옥의 평가

Ⅵ. 공간사옥과 김수근

참고문헌

본문내용

접적인 동기는 같은 해 국회의사당 건축현상설계 1등 당선이었다. 그 자신 이미 일본에서의 수학과 훈련을 마치고 귀국의 동기를 찾고 있었으며, 이 당선은 개연적인 귀국조건이 되었으며 그 후 그의 우리 나라 건축계에서의 위치조차도 가늠케 하는 것이었다.
김수근 교수의 작품계보에서 역시 그를 맥락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간적 스케일 속에 작품개념의 변모가 작업에 나타나는 양상을 중심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그를 뒷받침하고 있던 조직의 성향은 그와 공간그룹이라는 총체성을 보다 가깝게 이해하는 중요한 인자가 될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보다 직접적인 관심은 공간과 스케일을 중심으로 한 전통해를 찾고 있었으며 이의 표현이 1971년부터 원서동 공간사옥에서 결집되기 시작하였다. 그것은 공간의 의도된 위계를 통해 트임과 막힘, 스케일의 제어와 확대, 그리고 연속적으로 풀리는 마디의 뚜렷한 인지로서 건축적 품격의 표현이었다. 같은 해 범태평양건축상을 수상하여 연설하게 된 窮極的 空間이라는 명제는 그의 공간적 이해를 전통에서 어떻게 찾고 있는가의 직접적인 메시지로 기억된다.
60년대의 자기표출적 건축이 70년대 원서동 공간시기부터는 內密의 경지로 돌아왔다. 이는 끊임없이 안으로 관조하는 사고과정에서 그의 공간세계는 침착하게 되고, 디테일이 예리하게 되며, 표현은 순화를 거듭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 시기 동안의 그의 사고과정을 좀더 직접적으로 만나기 위해서는 1980년 일본동경에서의 UIA아시아 호주지역 회의에서 연설한 Negativism을 되돌려 볼 필요가 있다. 이 연설에서 그는 71년 범태평양건축상 수상 연설에서의 궁극적 공간이라는 의미를 다시 환기시키며 시작하고 있었다.
환경의 책임있는 조정자로서 그리고 진실로 인간의 요구를 충족시킬 건축이 궁극적 목표일 때, 그의 방법은 윌 전통에서 경험된 사색과 영감을 통해 터득된다고 하였다.
“인간의 정신적 삶을 위한 필수요건으로 좀더 인간생활을 완전하게, 좀더 의미있게 만들어 줍니다. 그 속에서 저는 중요한 것을 터득하게 되었습니다. 즉 공간설계를 인간화하며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은 지속되어 내려온 한국인의 고정관념입니다. 그런데 최근 10년 동안에는 그 이전의 생각에 대해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의 무한정된 요구를 충족시키며 그와 함께 지구상의 모든 것 이 인간화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지요, 다시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고양시키기 위해 해야 할 것 뿐 아니라 하지 말아야 할 것까지 가르쳐 줍니다.”
그는 이것을 부정론이라고 하여 원초적으로 동양정신과 서구의 합리적 공리주의의 한계를 비교하면서 건축에서의 이해를 다음과 같이 당부하고 있었다. 첫째 주공간의 제한, 둘째 공간이용의 논리성, 셋째 설계의 역할이라는 법을 첫째자연과의 혼화, 둘째 빈터의 생명을 아낌, 셋째 이상과 창조를 위해 모호하게 남길 여유라는 「術」.
모태적 공간이란 이 표현과정에서 결말로 내보인 뜻이지만, 그가 원서동 공간에 이르기까지 전원과 자연에 대한 어떤 터득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참고문헌
○ 김수근 저, 조명환 역(2003), 공간사옥, 시공문화사
○ 김수근 외 4명(2003), (김수근과 장세양의)공간사옥, 시공문화사
○ 이범재(1978), 외부공간구성으로 본 한국현대건축 공간에 대한 연구 : 공간사옥의 외부공간의 특성에 대하여, 단국대학교
○ 양진석(2011), 양진석의 친절한 건축이야기, 예담
○ 정낙현 외 1명(1998), 공간사옥의 공간구성특징에 관한 연구 - 위치적 의미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 정인하(1994), 공간사옥의 형태와 공간 분석, 대한건축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