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음악적 공간의 의미
Ⅲ. 음악적 공간의 형식
Ⅳ. 음악적 공간의 역동성
Ⅴ. 음악적 공간과 음높이
참고문헌
Ⅱ. 음악적 공간의 의미
Ⅲ. 음악적 공간의 형식
Ⅳ. 음악적 공간의 역동성
Ⅴ. 음악적 공간과 음높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그 범위가 한정된다.
음높이를 결정하는 것은 물리적 진동의 주파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음높이는 범주적 지각의 결과물로서 의식 내의 공간에서 각각이 고유한 위치를 점유한다. 다시 말해, 물리적 주파수는 연속의 개념임에 비추어 음높이는 불연속의 단계 개념이다. 음높이는 음들의 속성들 중 가장 특징적인 것이라고 말해진다. 사실, 이 음높이가 상대적으로 단일한가 아니면 다양한 음높이들이 혼재해 있는가에 따라 악음(tone)과 소음(noise)이 구분된다는 사실에서도, 음높이가 음들의 속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할 수 있다. 음높이가 그처럼 특징적인 속성인 까닭은 음정이라는 양화 함수, 즉 거리 함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음높이 속성에 대해서는 음들의 속성들 중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음악 심리학에서의 음높이에 대한 연구는 위상 공간인 음높이 공간을 거리 공간으로 결정하기 위해 적절한 거리 함수를 확립하려는 노력이 대부분이다. 바꾸어 말해, 음높이에 대한 적절한 척도(scale)를 확립하려는 노력들이다. 그 대표적인 것들로는 멜 스케일(mel scale), 음악적 음계, 그리고 Hz로 나타내는 물리적 주파수 스케일이 있다. 그 중 음악적 공간을 위한 우리의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음악적 음계인 바, 이는 음정(interval)을 원소들 사이의 거리 함수로 택한 것이다. 따라서 음악적 음계라는 척도를 가진 음높이 공간은 위상 공간의 부분 공간인 거리 공간(metric space)이다. 이 때의 거리 함수인 음정은 두 음높이 사이의 거리만을 정의한다. 이는 필연적으로 음높이 공간을 일차원적인 것(유클리드 직선)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오선보에서 음높이를 나타내는 수직적 차원은 바로 이런 개념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음높이 공간 내의 모든 요소 쌍들 사이에 적용되는 것으로 계산가능한 거리라는 개념으로서의 음정은 음높이 공간의 내적 구조화를 가능케 한다. 물론 모든 음악적 전통들이 사용가능한 공간을 동일한 방식으로 구조화하지는 않는다. 음악 문화들에 따라 가능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할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다. 매크릴러스는 음높이가 주파수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주파수 차이가 산술적으로 계산가능할 뿐 아니라 실제 소리에서 지각 가능하다는 점에서, “음정, 음정적 동치, 그리고 옥타브 동치 등의 개념들을 위한 경험적이고 지각적인 분명한 기초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음악적 공간은 음정을 거리 함수로 가지는, 내적 구조화가 가능한 거리 공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서우석(1989), 음악과 현상, 문학과 지성사
◎ 전지호(1998), 음악적 공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음악학 박사학위논문
◎ 정세문(1987), 음악과 학습지도, 창지사
◎ 정혜윤(2010), 음악적 공간과 움직임, 은유인가 아닌가?, 한국음악학학회
◎ 전지호(1998), 음악적 공간에 대한 위상적 연구, 서울대학교
◎ 최지영(1998),음악적 공간의 역동성 연구 : 신경생리학적 시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음높이를 결정하는 것은 물리적 진동의 주파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음높이는 범주적 지각의 결과물로서 의식 내의 공간에서 각각이 고유한 위치를 점유한다. 다시 말해, 물리적 주파수는 연속의 개념임에 비추어 음높이는 불연속의 단계 개념이다. 음높이는 음들의 속성들 중 가장 특징적인 것이라고 말해진다. 사실, 이 음높이가 상대적으로 단일한가 아니면 다양한 음높이들이 혼재해 있는가에 따라 악음(tone)과 소음(noise)이 구분된다는 사실에서도, 음높이가 음들의 속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할 수 있다. 음높이가 그처럼 특징적인 속성인 까닭은 음정이라는 양화 함수, 즉 거리 함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음높이 속성에 대해서는 음들의 속성들 중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음악 심리학에서의 음높이에 대한 연구는 위상 공간인 음높이 공간을 거리 공간으로 결정하기 위해 적절한 거리 함수를 확립하려는 노력이 대부분이다. 바꾸어 말해, 음높이에 대한 적절한 척도(scale)를 확립하려는 노력들이다. 그 대표적인 것들로는 멜 스케일(mel scale), 음악적 음계, 그리고 Hz로 나타내는 물리적 주파수 스케일이 있다. 그 중 음악적 공간을 위한 우리의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음악적 음계인 바, 이는 음정(interval)을 원소들 사이의 거리 함수로 택한 것이다. 따라서 음악적 음계라는 척도를 가진 음높이 공간은 위상 공간의 부분 공간인 거리 공간(metric space)이다. 이 때의 거리 함수인 음정은 두 음높이 사이의 거리만을 정의한다. 이는 필연적으로 음높이 공간을 일차원적인 것(유클리드 직선)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오선보에서 음높이를 나타내는 수직적 차원은 바로 이런 개념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음높이 공간 내의 모든 요소 쌍들 사이에 적용되는 것으로 계산가능한 거리라는 개념으로서의 음정은 음높이 공간의 내적 구조화를 가능케 한다. 물론 모든 음악적 전통들이 사용가능한 공간을 동일한 방식으로 구조화하지는 않는다. 음악 문화들에 따라 가능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할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다. 매크릴러스는 음높이가 주파수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주파수 차이가 산술적으로 계산가능할 뿐 아니라 실제 소리에서 지각 가능하다는 점에서, “음정, 음정적 동치, 그리고 옥타브 동치 등의 개념들을 위한 경험적이고 지각적인 분명한 기초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음악적 공간은 음정을 거리 함수로 가지는, 내적 구조화가 가능한 거리 공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서우석(1989), 음악과 현상, 문학과 지성사
◎ 전지호(1998), 음악적 공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음악학 박사학위논문
◎ 정세문(1987), 음악과 학습지도, 창지사
◎ 정혜윤(2010), 음악적 공간과 움직임, 은유인가 아닌가?, 한국음악학학회
◎ 전지호(1998), 음악적 공간에 대한 위상적 연구, 서울대학교
◎ 최지영(1998),음악적 공간의 역동성 연구 : 신경생리학적 시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추천자료
초등학교 저학년의 음악적 상상력 계발을 위한 창의적 접근(음악교육)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및 그에 대한 자신의 평가[방송통신대]
구운몽에 있어 음악의 서사적기능, 음악적 공간의 역동성, 음악에 대한 정서의 생리적반응, ...
[음악][음악활동][음악적 기능][음악적 활동중심학습][음악적 공간][음악적 기능][음악적 상...
[음악][음악학][음악 본질][음악 특징][음악 이해과정][음악형식][음악미학][음악적개념형성...
음악교육론 - 음악적 철학
★영유아기의 음악적 특성과 연령별 음악성 발달단계★
[공간][공간감각][공간분석][공간구성][공간인식][공간혁명][문화공간][실내공간][놀이공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