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 광학 교육과정, 고등학생, 근축광선, 상호작용, 광학 상호작용, 광학학습]광학과 교육과정, 광학과 고등학생, 광학과 근축광선, 광학과 상호작용 분석(광학, 광학 교육과정, 고등학생, 근축광선, 광학학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학, 광학 교육과정, 고등학생, 근축광선, 상호작용, 광학 상호작용, 광학학습]광학과 교육과정, 광학과 고등학생, 광학과 근축광선, 광학과 상호작용 분석(광학, 광학 교육과정, 고등학생, 근축광선, 광학학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광학과 교육과정

Ⅲ. 광학과 고등학생

Ⅳ. 광학과 근축광선
1. Introduction
2. Thin Lens

Ⅴ. 광학과 상호작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real image is measured to the right and is positive. The distance of a virtual image is negative.
⑤ The refractive power of a surface , or a lens, that makes light more convergent, or less divergent, is positive. The second focal length of such a surface is positive also. The power and the(second) focal length of a diverging surface are negative.
⑥ Heights above the optical axis are positive; distances below the axis are negative.
⑦ Angles measured counterclockwise from the optical axis, or from a surface normal, are positive. Angles measured clockwise are negative.
⑧ more and more
Ⅴ. 광학과 상호작용
캐나다의 죠셉 르페브르(Joseph Lefevre)의 설치작품 「Le Cafe de L\'Abattoir」는 정육점의 소고기를 연상시키는 오브제와 백색의 설치물들에 슬라이드 프로젝터로 건축물이나 질감에 관계된 이미지들을 영사하는 것으로서 멀리서 이 작품을 바라다 볼 경우 빛은 이미지를 완성시키기 위한 보조 수단에 불과하다. 그러나 관객들이 오브제나 설치물의 정면에서 그것을 바라다 볼 경우 프로젝션되는 빛을 가리게 되고 이 때 빛은 작품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라는 사실을 빛과 오브제 사이에 서 있는 관객들은 바로 알아차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본의 신야 유사(Shinya Yusa)는, 여러 장의 유리에 교묘하게 프린팅한 옵티컬 패턴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시켜 라이트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표하고 있다. 이 유리에 프린팅된 옵티컬 패턴들은 관람객이 어떤 위치에서 보느냐에 따라 다른 컬러와 다른 운동감을 제공한다.
미국의 시드니 캐쉬(Sydney Cash)는 유리판에 실크 스크린한 직선구조의 패턴들로 입체를 만듦으로서 패턴들이 투명한 틈새로 서로 비춰지거나 겹쳐보이게 돼 관객의 감상 위치에 따라 무와레이 현상들이 심화되어 드러나도록 하는 오브제를 발표한다.
페리 A. 호버맨의 1992년작 일련의 오브제들은 여행용 가방에 부착된 뷰어(viewer)를 통해 작가가 제작한 스테레오 영상의 세계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한다.
관객이 작가가 제시한 현미경을 들여다보면 그 행위를 하는 자신의 뒷모습이 보이도록 고안한 홍성도의 설치작업은 폐쇄회로 카메라와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객이 작가의 작품을 형성하는 보다 핵심적인 요소로 부각시킨다.
월터라웃 쿠퍼(Waltraut Cooper)의 「Klangmikado(1989)」는 폐쇄회로(CCTV)용 카메라와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픽셀당 음(音)가를 대응시킨 대표적인 상호작용하는 설치작품이다.
테이블 위에서 알미늄 테이프를 감은 긴 유리 대롱들이 여러 개 놓여 있고 관객들이 그것들을 만지거나 붙잡아서 움직임에 따라 신비스러운 소리가 나도록 한 관객 참여 예술이다. 그는 이어서 어두운 전시장의 관객이 발걸음을 땔 때마다 바닥에서 발광이미지가 켜지며 동시에 소리 나게끔 한 일련의 설치작업들을 계속 발표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질 스코트(Jill Scott)는 「Machine Dreams」라는 제목의 상호작용 설치의 한 유형을 제시했다. CCTV 카메라와 PC를 사용하여 카메라에 잡힌 상에 포함된 화소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도록 한 장치로 관객의 위치가 전신장에 설치된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여 다양한 관객의 반응을 유도하는 -예를 들어, 어떤 관객은 자신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며 의도적으로 소리를 유발시키기도 하는- 설치물이다.
참고문헌
권성호, 교육공학 원론, 양원사, 1992
박승재, 물리 지도의 예시, 서울대학교 물리교육연구실, 1993
서병혁, 근축광선 수식을 이용한 적외선 줌 광학계 설계, 국민대학교, 2009
이창훈 외 1명, 고등학교의 광학 학습을 위한 CAL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3
유재왕, 광섬유내의 음향광학 상호작용과 그 응용, 광주과학기술원, 2004
장민응, 중학 광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강릉원주대학교, 2008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4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