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책임성이란 무엇인가
2. 책임성의 주체

본문내용

정적인 활동은 단지 상징적일 뿐이며 외부에 조직이 책임성을 수행하고 있음은 인상만 심어주는 역할
(2) 반응적(reactive) 역할: 외부에서 규정하는 의무나 절차들만을 충실하게 수행하며, 자신과 조직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관료적 역할
(3) 재량적(discretionary) 역할: 적극적으로 외부 환경과의 타협 또는 개척을
모색하는 역할
2) 책임성 수행에서 행정가의 역할
사회복지조직의 관리자는 지휘자(director), 생산자(producer), 점점자(monitor), 조정자(cordinator), 조력자(mentor), 촉진자(facilitator), 혁신자(innovator), 환경 중개자(brok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1) 지휘자 역할: 다변하는 외부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미래지향적인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며 과업을 계획하고 배분하며 진행과정에서 합리적이고 명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하며, 인적물적 자원의 동원에 힘쓰는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
(2) 생산자 역할: 행동 지향적이고 과업지향적인 업무에 초점을 두고 에너지를쏟음.
(3) 점검자 역할: 정보, 의사전달, 인사행정, 교육, 보고체계, 평가, 시설관리등에서 유증하고 기술적이어야 하며, 특히 업무흐름을 점검하는 기능을 수행 함.
(4) 조정자 역할: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리더십을 발휘하고 적절히 직원을 배치하고 업무를 조정하며 합리적인 통제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함.
(5) 조력자 역할: 직원들의 조력자로서 행정가는 보호적이며 직원적 문제와 욕구에 민감해야 하고 지지와 인정을 통해 직원들의 발전을 촉진시킴.
(6) 촉진자 역할: 직원들 사이에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노력하여 구성원이 조직 공동의 목표를 지향함.
(7) 혁신자 역할: 창조적이고 진취적이며, 개방적으로 새로운 변화를 두려워 하지 말아야 함.
(8) 환경 중재자 역할: 자원 지향적이고 정치적으로 기민할 필요가 있음.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이에 민감해야 함.
참고문헌
김기태 외 4인(2005), <<사회복지행정론>>. 대왕사.
김영종(2002),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최성재, 남기민 공저(2003), <<사회복지행정론>>, 나남출판.
고영복 편저, “사회복지론”, 사회문제연구소, 1991
송근원 김태성 사회복지정책론 나남
길버트 테렐 사회복지정책론 나눔의 집
사회복지 행정론 1급 시험 대비 나눔의 집
  • 가격2,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6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