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특성
1. 케이블 텔레비전의 위치
2. 청중의 세분화
1) 채널별 목표청중
2) 채널별 충성집단
3. 구매력 있는 청중
1) 고소득
2) 고학력
3) 경제적 안정
Ⅲ.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발전
Ⅳ.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가입현황
Ⅴ.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시스템
Ⅵ.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지역매체
Ⅶ.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편성
참고문헌
Ⅱ.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특성
1. 케이블 텔레비전의 위치
2. 청중의 세분화
1) 채널별 목표청중
2) 채널별 충성집단
3. 구매력 있는 청중
1) 고소득
2) 고학력
3) 경제적 안정
Ⅲ.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발전
Ⅳ.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가입현황
Ⅴ.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시스템
Ⅵ.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지역매체
Ⅶ. 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편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파방송과 차별성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기본채널, 유료채널 등의 분야에서 어떤 채널을 각각 몇 개씩 배정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채널 편성 내지는 송출상의 채널 구성이 일반적인 케이블 텔레비전의 편성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엄밀히 말하자면 케이블 텔레비전의 편성 개념은 ①프로그램 편성과 ②채널 편성, ③부가서비스 편성의 세 가지라고도 할 수 있다. ‘프로그램 편성’이란 단일 채널을 구성하는 여러 프로그램들의 편성을 가리키는 것이며, ‘채널내 편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는 현재 한국의 케이블 체제에서 프로그램공급자(PP)가 담당하고 있는 편성 분야라 할 수 있다. ‘채널 편성’은 한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SO)에서 여러 채널들의 성격을 규정하고 어떤 채널들을 몇 개씩 어떻게 묶어서 판매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주로 방송국 차원의 편성 행위이다. ‘부가서비스 편성’은 케이블 텔레비전에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어떻게 이를 기획하고 수행하는가 하는 작업이다.
케이블이 가장 먼저 발달한 미국에서는 케이블방송의 편성에 관한 논의가 주로 두 번째인 채널 편성 위주로 되어있다. 한국의 종합유선방송법에서는 제22조에서 “종합유선방송국의 채널은 다양성이 구현되도록 구성·운영되어야 하며, 특정 분야에 편중되어서는 안된다”고 하여 편성의 정의에 관한 특별한 설명을 제시하는 대신 케이블 텔레비전이 다채널 방송으로서 다양하고 전문화된 국민의 정보 욕구를 충족시켜야 함을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케이블 텔레비전의 편성개념을 굳이 정의하자면 프로그램 편성이 아니라, 케이블 방송국의 다채널 편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과는 달리 현재 한국에서는 케이블 방송국(SO)이 실제적인 편성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고, 단순히 프로그램공급사(PP)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중계하기만 때문에, 현 시점에서 한국의 케이블 텔레비전 체제에서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편성개념은 주로 첫 번째 즉, 프로그램 공급사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단일 채널내 프로그램 편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현재 지상파방송의 편성개념과 유사한 것이다. 다채널 편성방안에 대한 논의는 다중 케이블 시스템이 등장하고 여러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들이 한 시장 내에서 활동하며 채널묶음(tiering)시스템 등이 도입되지 않는 한 실질적 의미를 갖지 못할 것이다.
참고문헌
ⅰ. 김용균, 케이블 TV의 지역채널 보도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2009
ⅱ. 방송위원회, 케이블TV 10년, 방송통신위원회, 2005
ⅲ. 이준호, 케이블 TV 편성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의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2002
ⅳ. 유지원, 케이블 TV 채널 특성에 따른 재방영성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6
ⅴ. 임장환, 케이블TV산업의 디지털화 동향과 발전과제, 한국산업은행, 2003
ⅵ. 조현철, 케이블TV시스템 구성요소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1999
그러나 보다 엄밀히 말하자면 케이블 텔레비전의 편성 개념은 ①프로그램 편성과 ②채널 편성, ③부가서비스 편성의 세 가지라고도 할 수 있다. ‘프로그램 편성’이란 단일 채널을 구성하는 여러 프로그램들의 편성을 가리키는 것이며, ‘채널내 편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는 현재 한국의 케이블 체제에서 프로그램공급자(PP)가 담당하고 있는 편성 분야라 할 수 있다. ‘채널 편성’은 한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SO)에서 여러 채널들의 성격을 규정하고 어떤 채널들을 몇 개씩 어떻게 묶어서 판매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주로 방송국 차원의 편성 행위이다. ‘부가서비스 편성’은 케이블 텔레비전에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어떻게 이를 기획하고 수행하는가 하는 작업이다.
케이블이 가장 먼저 발달한 미국에서는 케이블방송의 편성에 관한 논의가 주로 두 번째인 채널 편성 위주로 되어있다. 한국의 종합유선방송법에서는 제22조에서 “종합유선방송국의 채널은 다양성이 구현되도록 구성·운영되어야 하며, 특정 분야에 편중되어서는 안된다”고 하여 편성의 정의에 관한 특별한 설명을 제시하는 대신 케이블 텔레비전이 다채널 방송으로서 다양하고 전문화된 국민의 정보 욕구를 충족시켜야 함을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케이블 텔레비전의 편성개념을 굳이 정의하자면 프로그램 편성이 아니라, 케이블 방송국의 다채널 편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과는 달리 현재 한국에서는 케이블 방송국(SO)이 실제적인 편성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고, 단순히 프로그램공급사(PP)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중계하기만 때문에, 현 시점에서 한국의 케이블 텔레비전 체제에서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편성개념은 주로 첫 번째 즉, 프로그램 공급사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단일 채널내 프로그램 편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현재 지상파방송의 편성개념과 유사한 것이다. 다채널 편성방안에 대한 논의는 다중 케이블 시스템이 등장하고 여러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국들이 한 시장 내에서 활동하며 채널묶음(tiering)시스템 등이 도입되지 않는 한 실질적 의미를 갖지 못할 것이다.
참고문헌
ⅰ. 김용균, 케이블 TV의 지역채널 보도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2009
ⅱ. 방송위원회, 케이블TV 10년, 방송통신위원회, 2005
ⅲ. 이준호, 케이블 TV 편성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의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2002
ⅳ. 유지원, 케이블 TV 채널 특성에 따른 재방영성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6
ⅴ. 임장환, 케이블TV산업의 디지털화 동향과 발전과제, 한국산업은행, 2003
ⅵ. 조현철, 케이블TV시스템 구성요소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1999
추천자료
TV홈쇼핑 시장동향
TV홈쇼핑의 성장배경과 장애요인과 향후 홈쇼핑 시장의 전망
TV 방송과 PPL (간접광고)
TV의 영향력에 대해
TV방송의 문제점- 자막문제,광고문제,드라마 증후군
TV홈쇼핑산업의 성장과 발전방안 - TV홈쇼핑 정의, 특성, 성장배경, 시장의 현황, 관계마케팅...
멕시코의 지리와 기후, 멕시코의 산업발전, 멕시코의 경제위기, 멕시코의 금융구조조정, 멕시...
[TV산업의 미래] 동영상사이트 훌루와 위젯 인터넷TV, 웹TV 사업모델
학습기자재(교육기자재, 교육기기) 카세트와 비디오, 학습기자재(교육기자재, 교육기기) 프로...
TV 홈쇼핑 스토리텔링의 전략과 구조
방송산업 매체별 매출액(1998-2008) (지상파,케이블,뉴미디어)
TV 홈쇼핑 조사
[미디어사업 전략계획] 시장 지배력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 수단 - OOO TV 사업 설명회
TV 드라마 산업 성장과 발전& 한국드라마의 현황[드라마의 비즈니스 모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