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원문
Ⅲ.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줄거리
Ⅳ.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어휘풀이
1. 운
2. 창랑씨
3. 소
4. 복희
5. 위씨
6. 문적
7. 이사
8. 한미
9. 채륜
10. 저생
11. 죽씨의 소임까지 빼앗아 갔다
12. 당
13. 왕자유
14. 소나 끄는 사람
15. 송대부
16. 위풍
17. 고갈병
18. 만절
19. 유균
20. 후사
Ⅴ.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작품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주제
5. 출전
Ⅵ.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작품감상
참고문헌
Ⅱ.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원문
Ⅲ.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줄거리
Ⅳ.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어휘풀이
1. 운
2. 창랑씨
3. 소
4. 복희
5. 위씨
6. 문적
7. 이사
8. 한미
9. 채륜
10. 저생
11. 죽씨의 소임까지 빼앗아 갔다
12. 당
13. 왕자유
14. 소나 끄는 사람
15. 송대부
16. 위풍
17. 고갈병
18. 만절
19. 유균
20. 후사
Ⅴ.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작품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주제
5. 출전
Ⅵ.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작품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왕의 자리에 있었다고 한다. 몸은 뱀과 같고 머리는 사람의 머리를 하고 있어서 해 달과 같은 큰 성덕을 베풀었다 하여 대호(大昊:끝이 없이 넓고 큰 하늘과 같다는 뜻), 또는 대공(大空)이라고도 한다. 복희 황제는 3황 5제(三皇五帝) 중 수위에 있어 중국 최고의 제왕으로 친다. 복희라는 이름은 《역경(易經)》, 〈계사전(繫辭傳)〉 속에 나오는, 복희가 8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그물을 발명하여 어획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전하는 기록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한대(漢代)의 《위서(緯書)》에는 복희의 모친인 화서(華胥)가 뇌택(雷澤:山東省 복현 남동쪽에 있는 연못)에서 기인(奇人)의 발자국을 밟은 후 수태하여 복희를 낳았다고 하므로, 오래된 전승(傳承)에 기인한 설화같이도 보이나, 후세에 억지로 덧붙인 설화가 아닌가 하는 의문도 낳고 있다.
5. 위씨
책을 맨 가죽끈을 말함.
6. 문적
서적
7. 이사
진의 시황제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군현제를 실시한 사람.
8. 한미
구차하고 지체가 변변치 못함.
9. 채륜
중국 후한 중기의 환관으로 후난[湖南] 출생. 종이의 발명자로 알려져 있는 사람인데, 궁중의 집기 등을 제조 관리하는 상방령(尙方令)으로서, 97년에 검(劍) 등을 만들었고, 그 후 목간(木簡)죽간(竹簡)견포(絹布) 대신 쓸 수 있는 서재(書材)를 발명했다. 이것은 톱밥 헝겊 풀 등을 소재로 한 채후지(蔡侯紙)라는 종이이다. 그는 114년 용정후(龍亭侯)로 책봉되어 장락(長樂:福建省) 태복(太僕:卿)이 되었으나, 안제(安帝) 즉위 후에 정쟁에 말려들어 음독 자살하였다.
10. 저생
종이의 별칭, 저는 닥나무
11. 죽씨의 소임까지 빼앗아 갔다
종이의 발명으로 대나무 조각에 역사를 기록하지 않게 된 사실을 말함.
12. 당
운과 같은 왕대
13. 왕자유
왕희지의 다섯째 아들. 그는 대를 차군이라고 했음.
14. 소나 끄는 사람
속된 무리들을 비유
15. 송대부
소나무의 의인화
16. 위풍
시경에 실린 시가 형식의 하나.
17. 고갈병
몸이 마르는 병
18. 만절
늦게까지 지키는 절개
19. 유균
전죽, 즉 화살대, 원래 균은 조릿대로서 대나무 중에서 가늘고 작아 화살대를 만들기에 알맞은 것을 말함.
20. 후사
대를 잇는 아들
Ⅴ.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작품정리
1. 연대
고려
2. 작자
이곡
3. 형식
가전체(假傳體)
4. 주제
절개. 지조
5. 출전
동문선
Ⅵ.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작품감상
이 작품은 대나무를 의인화하여 현숙한 여인의 모습과 여인의 정절에 대하여 서술한 글이다. 먼저 죽씨의 가계(家系)를 들어 조상의 훌륭함과 후손이 뛰어났음을 말하였다. 이는 후대 고대 소설이 주인공의 출생을 미화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이러한 가정에서 태어난 주인공은 어려서부터 정숙하였으며, 지조 높은 군자와 결혼한 뒤에는 더욱 강직하고 깔끔하게 생활을 하다가 남편을 잃은 뒤는 절개를 마쳤는데 나라에서 알고 포상하였다는 이야기로 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유교 사회에서의 여성의 한 이상형으로서 열녀의 표본을 내세운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이야기는 후세에 많이 발생한 열녀전류(烈女傳流)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창룡 / 죽부인의 문학적 심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05
김동욱 / 오류 공방전·죽부인전·군, 한국중등교육협의회, 1970
박춘섭 / 이곡의 죽부인전의 입전대상에 대한 고찰,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7
안병설 / 이곡 죽부인전의 제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1990
채성숙 / 한중 죽류가전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5
황재국 / 죽부인전의 의인화대상시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79
5. 위씨
책을 맨 가죽끈을 말함.
6. 문적
서적
7. 이사
진의 시황제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군현제를 실시한 사람.
8. 한미
구차하고 지체가 변변치 못함.
9. 채륜
중국 후한 중기의 환관으로 후난[湖南] 출생. 종이의 발명자로 알려져 있는 사람인데, 궁중의 집기 등을 제조 관리하는 상방령(尙方令)으로서, 97년에 검(劍) 등을 만들었고, 그 후 목간(木簡)죽간(竹簡)견포(絹布) 대신 쓸 수 있는 서재(書材)를 발명했다. 이것은 톱밥 헝겊 풀 등을 소재로 한 채후지(蔡侯紙)라는 종이이다. 그는 114년 용정후(龍亭侯)로 책봉되어 장락(長樂:福建省) 태복(太僕:卿)이 되었으나, 안제(安帝) 즉위 후에 정쟁에 말려들어 음독 자살하였다.
10. 저생
종이의 별칭, 저는 닥나무
11. 죽씨의 소임까지 빼앗아 갔다
종이의 발명으로 대나무 조각에 역사를 기록하지 않게 된 사실을 말함.
12. 당
운과 같은 왕대
13. 왕자유
왕희지의 다섯째 아들. 그는 대를 차군이라고 했음.
14. 소나 끄는 사람
속된 무리들을 비유
15. 송대부
소나무의 의인화
16. 위풍
시경에 실린 시가 형식의 하나.
17. 고갈병
몸이 마르는 병
18. 만절
늦게까지 지키는 절개
19. 유균
전죽, 즉 화살대, 원래 균은 조릿대로서 대나무 중에서 가늘고 작아 화살대를 만들기에 알맞은 것을 말함.
20. 후사
대를 잇는 아들
Ⅴ.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작품정리
1. 연대
고려
2. 작자
이곡
3. 형식
가전체(假傳體)
4. 주제
절개. 지조
5. 출전
동문선
Ⅵ. 가전체소설(가전체문학) 죽부인전의 작품감상
이 작품은 대나무를 의인화하여 현숙한 여인의 모습과 여인의 정절에 대하여 서술한 글이다. 먼저 죽씨의 가계(家系)를 들어 조상의 훌륭함과 후손이 뛰어났음을 말하였다. 이는 후대 고대 소설이 주인공의 출생을 미화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이러한 가정에서 태어난 주인공은 어려서부터 정숙하였으며, 지조 높은 군자와 결혼한 뒤에는 더욱 강직하고 깔끔하게 생활을 하다가 남편을 잃은 뒤는 절개를 마쳤는데 나라에서 알고 포상하였다는 이야기로 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유교 사회에서의 여성의 한 이상형으로서 열녀의 표본을 내세운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이야기는 후세에 많이 발생한 열녀전류(烈女傳流)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창룡 / 죽부인의 문학적 심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05
김동욱 / 오류 공방전·죽부인전·군, 한국중등교육협의회, 1970
박춘섭 / 이곡의 죽부인전의 입전대상에 대한 고찰,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7
안병설 / 이곡 죽부인전의 제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1990
채성숙 / 한중 죽류가전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5
황재국 / 죽부인전의 의인화대상시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79
키워드
추천자료
[고전문학] 가전체 문학 분석
가전체 문학 공방전의 이해와 감상
[고려시대][고려]고려시대(고려)의 건국신화, 고려시대(고려)의 행정조직, 고려시대(고려)의 ...
패관문학 및 가전체 문학 작품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시가,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고려가요, 한국 중세문학 고...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특성,배경,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가전체문학, 한국 중세...
가전체 소설의 이해 - ‘국선생전(麴先生傳)’, ‘죽부인전(竹夫人傳)’, ‘정시자전(丁侍者傳)’
가전체(가전체문학)의 개념, 가전체(가전체문학)의 성격, 가전체(가전체문학)의 주요작품, 가...
[국순전][가전체][가전체문학][원문][어휘풀이][작품감상]가전체(가전체문학) 국순전의 원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