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심신장애(정신장애)의 정의
Ⅲ. 심신장애(정신장애)의 특성
Ⅳ. 심신장애(정신장애)의 분류
Ⅴ. 심신장애(정신장애)의 특수증상과 진행단계
Ⅵ. 심신장애(정신장애)의 원인과 대책
1. 심신장애의 원인
2. 심신장애의 대책
Ⅶ. 심신장애(정신장애)의 재활치료
1. 정신과적 재활치료의 정의
2. 정신과적 재활치료의 단계(step)
3. 정신과적 재활치료의 과정(process of rehabilitation)
1) 평가과정(diagnostic phase)
2) 계획과정(planning phase)
3) 개입과정(intervention phase)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심신장애(정신장애)의 정의
Ⅲ. 심신장애(정신장애)의 특성
Ⅳ. 심신장애(정신장애)의 분류
Ⅴ. 심신장애(정신장애)의 특수증상과 진행단계
Ⅵ. 심신장애(정신장애)의 원인과 대책
1. 심신장애의 원인
2. 심신장애의 대책
Ⅶ. 심신장애(정신장애)의 재활치료
1. 정신과적 재활치료의 정의
2. 정신과적 재활치료의 단계(step)
3. 정신과적 재활치료의 과정(process of rehabilitation)
1) 평가과정(diagnostic phase)
2) 계획과정(planning phase)
3) 개입과정(intervention phase)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communication, media 등을 평가
2) 계획과정(planning phase)
① 획득해야 될 기술과 이용해야 할 자원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정한다.
② 각각의 실행계획을 맡을 책임자를 정하고 time schedule을 마련한다.
③ 장기목표와 단기목표를 세워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progress를 monitor한다.
3) 개입과정(intervention phase)
① 기술개발(skill development)
가. direct skill teaching
나. programming skill use : step-by-step procedure
② 자원개발(resource development)
가. resource coordination : 현재 있는 resource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
나. resource modification : 환자의 요구에 잘 맞게 resource를 조정하는 것.
Ⅷ. 결론
최근 사회복지관에서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사례를 볼 때 인근의 정신보건센터나 정신과 병ㆍ의원과 협력하거나 자체적으로 일정시간과 공간을 할애하여 정신장애인을 위한 임상적인 재활훈련을 실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점차 서비스 내용을 확대하여 사회복귀시설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임상적이고 전문적인 재활기법이라고 할 수 있는 심리사회 재활서비스와 함께 ‘주간보호(day care)’라는 개념을 사회복지관의 역할에 포함시켰다. 자칫 주간보호를 포함한 보호(care)라는 개념은 활동능력이 없는 노인이나 중증 장애인을 위한 보호의 의미만으로 축소 해석할 소지가 있으나 정신장애인에게 심리사회재활서비스제공은 물론 낮 시간 동안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의미로 보아야 할 것이다. 가족의 입장에서는 낮 시간 동안 보호부담을 덜 수 있고, 취업을 하지 못한 정신장애인의 입장에서는 갈 곳이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주간보호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사회복지관의 공간중 일부를 정신장애인들이 매일 와서 쉴 수 있는 장소로 제공하고 적절한 심리사회서비스를 실시할 뿐 아니라 사회복지관의 기존 교양 및 취미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사회복지관은 자연스럽게 사회복귀시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미 대부분의 사회복지관은 노인프로그램, 어린이집, 학령기 아동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주간보호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정신장애인을 주간보호프로그램을 위한 공간제공도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어렵지 않게 실시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참고문헌
김희정, 정신장애로부터의 회복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 2009
송영혜, 정서장애 진단 사례집, 특수교육, 1995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1999
원호택, 이상심리학. 법문사, 2000
이길홍, 청소년기 정신장애의 임상양상 및 치료지침, 청소년 논단, 1986
최웅용, 정신장애의 새로운 이해 : 체계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0
2) 계획과정(planning phase)
① 획득해야 될 기술과 이용해야 할 자원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정한다.
② 각각의 실행계획을 맡을 책임자를 정하고 time schedule을 마련한다.
③ 장기목표와 단기목표를 세워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progress를 monitor한다.
3) 개입과정(intervention phase)
① 기술개발(skill development)
가. direct skill teaching
나. programming skill use : step-by-step procedure
② 자원개발(resource development)
가. resource coordination : 현재 있는 resource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
나. resource modification : 환자의 요구에 잘 맞게 resource를 조정하는 것.
Ⅷ. 결론
최근 사회복지관에서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사례를 볼 때 인근의 정신보건센터나 정신과 병ㆍ의원과 협력하거나 자체적으로 일정시간과 공간을 할애하여 정신장애인을 위한 임상적인 재활훈련을 실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점차 서비스 내용을 확대하여 사회복귀시설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임상적이고 전문적인 재활기법이라고 할 수 있는 심리사회 재활서비스와 함께 ‘주간보호(day care)’라는 개념을 사회복지관의 역할에 포함시켰다. 자칫 주간보호를 포함한 보호(care)라는 개념은 활동능력이 없는 노인이나 중증 장애인을 위한 보호의 의미만으로 축소 해석할 소지가 있으나 정신장애인에게 심리사회재활서비스제공은 물론 낮 시간 동안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의미로 보아야 할 것이다. 가족의 입장에서는 낮 시간 동안 보호부담을 덜 수 있고, 취업을 하지 못한 정신장애인의 입장에서는 갈 곳이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주간보호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사회복지관의 공간중 일부를 정신장애인들이 매일 와서 쉴 수 있는 장소로 제공하고 적절한 심리사회서비스를 실시할 뿐 아니라 사회복지관의 기존 교양 및 취미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사회복지관은 자연스럽게 사회복귀시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미 대부분의 사회복지관은 노인프로그램, 어린이집, 학령기 아동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주간보호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정신장애인을 주간보호프로그램을 위한 공간제공도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어렵지 않게 실시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참고문헌
김희정, 정신장애로부터의 회복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 2009
송영혜, 정서장애 진단 사례집, 특수교육, 1995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1999
원호택, 이상심리학. 법문사, 2000
이길홍, 청소년기 정신장애의 임상양상 및 치료지침, 청소년 논단, 1986
최웅용, 정신장애의 새로운 이해 : 체계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0
추천자료
청각장애인의 언어치료적 재활
[유방암][유방암수술][종양][유방]유방암의 개념, 유방암의 원인, 유방암의 발생 빈도, 유방...
알코올중독 가족의 치료와 재활의 방안
[간][간암][간암 치료약물][간암 치료방법]간의 구조, 간의 특징과 간암의 개념, 간암의 관련...
[간질][간질의 개념][간질의 병태생리][간질의 증상][간질의 치료][간질발작]간질의 개념과 ...
[폐렴][폐렴의 의미][폐렴의 분류][폐렴의 원인][폐렴의 증상][폐렴과 폐암][폐렴의 치료 방...
축구선수의 아킬레스건의 전반전인 이해 및 손상,치료 재활
우울증 (우울증 정의, 종류, 원인, 증상, 치료방법, 치료방안, 경과, 치료법, 예후, 정의, 종...
[화병 (火病 / hwa-byung) 치료법] 화병의 증상과 치료법 ; 화병의 원인과 진행과정 분석 {화...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뇌졸중환자의 색채심리치료 - 뇌졸중환자의 색채증상, 색...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구타당하는 초등학생의 색채심리치료 - 구타당하는 초등...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부적응 애착의 색채심리치료 - 부적응 애착 초등학생의 ...
[자폐아동 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 <자폐아동 보고서> 자폐증 개념, 자폐 원인, 자폐아동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