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림프기관
림프구 생산 항체생산,적혈구 파괴 및 저장, 포식작용
(3) 가슴샘: 불규칙하게 생긴 덩어리로 대개 두 엽을 이룬다. 사람에 따라 모양이 다양.
림프구의 생산, 항체생산, 내분비계에 관여한다.
20장 호흡계통
1.기관(trachea)
정의 : 기관은 여섯 번째 목뼈 부위에 위치한 반지연골(cricoid cartilage, 윤상연골) 아래 끝의 높이에서 후두(larynx)에 이어서 아래로 내려오는 근연골성 관이다.
-기관갈림(tracheal bifurcation, 기관분기부) : 기관지는 제 4, 5 척추까지 아래로 내려온 다음 좌우 기관지로 나눠지는 부분을 말한다.(Carina)
2.기관지(bronchi)
*기관갈림에서 좌우로 갈라진 기관지는 좌우 허파바닥부로 향한다.
*오른기관지(right bronchus, 우기관지)는 왼기관지(left bronchus, 좌기관지)보다 굵고, 짧으며, 경사가 급하다. 따라서 오른기관지로 이물질이 들어가기 쉽다.
*오른쪽 기관지는 오른허파의 엽마다 하나씩 위엽기관지, 중간엽기관지, 아래엽기관지 등 3개로 갈라진다. 왼쪽 기관지는 위엽과 아래엽기관지 등 2개로 갈라진다. 각 엽기관지는 허파구역에 따라 구역기관지로 갈라진다.
*오른기관지는 허파문에서 허파동맥의 위뒤쪽에 있고, 이들의 위로 홀정맥(azygos v., 기정맥)이 휘어간다. 왼기관지는 대동맥활 아래를 지나 식도와 가슴대동맥 앞으로 비스듬히 뻗는다. 허파뿌리에서 양쪽 기관지 뒤쪽으로 미주신경이 지나간다.
허파문( hilus of lung)에 이른 기관지는 나뭇가지 모양의 기관지 가지로 나눠진다.
주기관지(main bronchus) → 엽기관지(lobar bronchi) → 구역기관지(segmental branchi) → 세기관지(bronchioles) → 소엽간세기관지(bronchus interlobule) → 종말세기관지(terminal bronchiole) → 호흡세기관지(respiratory bronchioles)로 가늘어진다.
3.허파(Lung)
(1) 오른쪽은 위중간아래엽의 3엽으로 되어 있고 왼쪽보다 크다.
(2) 왼쪽허파는 2엽으로 되어 있다.
*허파동맥(pulmonary trunk, 폐동맥) - 분지되어 기관지를 따라간다. 대부분의 허파구역에는 하나의 허파동맥이 분포하나, 하나의 동맥이 두 구역에 분포하는 경우와 한 구역동맥에서 작은 가지가 나와 이웃한 구역에 분포하는 경우가 있다.
*허파정맥(pulmonary vein, 폐정맥) - 대개 각 허파의 엽에서 하나씩 나온다. 오른허파의 위엽과 중간엽정맥은 합쳐지므로 보통 허파정맥 네 개가 왼심방으로 들어간다. 허파정맥의 가지는 구역 사이의 결합조직 속을 지나 허파문으로 달린다.
21장 비뇨계통
1.요배출경로:신장(요 생성) → 요관(운반) → 방광(저장) → 요도(배출)
2.신장 :여러 기관과 접하고 있어 인접기관으로의 염증 파급이 용이하다.
간 때문에 오른쪽 콩팥이 왼쪽 콩팥보다 조금 더 아래쪽에 있다
3.콩팥순환
aorta→renal artery→segmental artery→interlobar artery→arcuate artery→cortical radiate artery→afferent artery→glomerulus→efferent artery→peritubular capillary→cortical radiate vein→arcuate vein→interlobar vein→renal vein→inferior vena cava
4.콩팥단위:nephron (bowman’s capsule구성)
5.rena tubule : 소변 만드는 과정(토리주머니~속질피라미드)
glomerulus→proximal convoluted tubule(PCT)→loop og henle→DCT→collecting duct→papillary duct→minor calyx→major calyx→renal pelvis(신우)→ureter→Urinary bladder→Urethra
23.소화계통
소화기능 - 섭취, 소화, 흡수, 압축, 배변
(1)침샘(Salivary Glands)
*작은침샘(Small salivary gland)
*큰침샘(Large salivary gland)
귀밑샘(Parotid gland)
턱밑샘(Submandibular gland)
혀밑샘(Sublingual gland)
(2)식도(Esophagus)
-척주와 기관 사이에 있으면서 인두 앞쪽을 가로 내려 위의 들문(Cardia)구멍에 이르는
근육성 관.
-아래식도조임근 :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는 것 방지
-식도샘 : 음식물 통과하기 쉽게 윤활 점액을 분비
(3)위(Stomach)
4개 부위로 나뉨
심장부위
위바닥부위
몸통 : 가장 큰 부분
날문부위
세포6개로 나뉨
점액세포 : 점액을 분비. 들문샘과 날문샘에 많이 존재
재생세포 : 샘의 오목과 목의 기저에서 발견
벽세포 : 샘의 상부 절반에서 발견
으뜸세포 : 위에 가장 많이 존재
장내분비세포 : 소화 조절하는 호르몬과 주변분비 전령을 분비
(4)간(Liver)
오른엽,왼엽,네모엽,꼬리엽으로 이루어짐.
간문 : 간문맥과 고유간동맥의 입구
간관(Hepatic duct) - 쓸개즙의 통로
간세포에서 생성된 쓸개즙
→ 쓸개모세관
→ 간소엽 주변의 소엽사이쓸개관(Interlobular bile duct)
→ 2개의 간관(Hepatic duct)
→ 온간관(Common hepatic duct)
→ 쓸개주머니관(Cystic duct)
→ 쓸개주머니(Gall bladder)
→ 온쓸개관(Common bile duct)
→ 샘창자(Duodenum)
(5)작은창자(Small Intestine)
샘창자(Duodenum), 빈창자(Jejunum), 돌창자(Ileum)의 3부분으로 구분된다.
샘창자
샘창자는 샘빈창자굽이까지 약 25㎝ 되는 부분이다. 위(첫째)부분, 내림부분, 아래(수평)부분 및 오름부분으로 나눈다.
빈창자(Jejunum)
샘창자지나 작은창자늬 40%차지
대부분의 소화와 영양소흡수 이루어짐
돌창자(Ileum)
작은창자의 마지막 60%형성
(6)큰창자(Large Intestine)
막창자
잘록창자
곧창자
림프구 생산 항체생산,적혈구 파괴 및 저장, 포식작용
(3) 가슴샘: 불규칙하게 생긴 덩어리로 대개 두 엽을 이룬다. 사람에 따라 모양이 다양.
림프구의 생산, 항체생산, 내분비계에 관여한다.
20장 호흡계통
1.기관(trachea)
정의 : 기관은 여섯 번째 목뼈 부위에 위치한 반지연골(cricoid cartilage, 윤상연골) 아래 끝의 높이에서 후두(larynx)에 이어서 아래로 내려오는 근연골성 관이다.
-기관갈림(tracheal bifurcation, 기관분기부) : 기관지는 제 4, 5 척추까지 아래로 내려온 다음 좌우 기관지로 나눠지는 부분을 말한다.(Carina)
2.기관지(bronchi)
*기관갈림에서 좌우로 갈라진 기관지는 좌우 허파바닥부로 향한다.
*오른기관지(right bronchus, 우기관지)는 왼기관지(left bronchus, 좌기관지)보다 굵고, 짧으며, 경사가 급하다. 따라서 오른기관지로 이물질이 들어가기 쉽다.
*오른쪽 기관지는 오른허파의 엽마다 하나씩 위엽기관지, 중간엽기관지, 아래엽기관지 등 3개로 갈라진다. 왼쪽 기관지는 위엽과 아래엽기관지 등 2개로 갈라진다. 각 엽기관지는 허파구역에 따라 구역기관지로 갈라진다.
*오른기관지는 허파문에서 허파동맥의 위뒤쪽에 있고, 이들의 위로 홀정맥(azygos v., 기정맥)이 휘어간다. 왼기관지는 대동맥활 아래를 지나 식도와 가슴대동맥 앞으로 비스듬히 뻗는다. 허파뿌리에서 양쪽 기관지 뒤쪽으로 미주신경이 지나간다.
허파문( hilus of lung)에 이른 기관지는 나뭇가지 모양의 기관지 가지로 나눠진다.
주기관지(main bronchus) → 엽기관지(lobar bronchi) → 구역기관지(segmental branchi) → 세기관지(bronchioles) → 소엽간세기관지(bronchus interlobule) → 종말세기관지(terminal bronchiole) → 호흡세기관지(respiratory bronchioles)로 가늘어진다.
3.허파(Lung)
(1) 오른쪽은 위중간아래엽의 3엽으로 되어 있고 왼쪽보다 크다.
(2) 왼쪽허파는 2엽으로 되어 있다.
*허파동맥(pulmonary trunk, 폐동맥) - 분지되어 기관지를 따라간다. 대부분의 허파구역에는 하나의 허파동맥이 분포하나, 하나의 동맥이 두 구역에 분포하는 경우와 한 구역동맥에서 작은 가지가 나와 이웃한 구역에 분포하는 경우가 있다.
*허파정맥(pulmonary vein, 폐정맥) - 대개 각 허파의 엽에서 하나씩 나온다. 오른허파의 위엽과 중간엽정맥은 합쳐지므로 보통 허파정맥 네 개가 왼심방으로 들어간다. 허파정맥의 가지는 구역 사이의 결합조직 속을 지나 허파문으로 달린다.
21장 비뇨계통
1.요배출경로:신장(요 생성) → 요관(운반) → 방광(저장) → 요도(배출)
2.신장 :여러 기관과 접하고 있어 인접기관으로의 염증 파급이 용이하다.
간 때문에 오른쪽 콩팥이 왼쪽 콩팥보다 조금 더 아래쪽에 있다
3.콩팥순환
aorta→renal artery→segmental artery→interlobar artery→arcuate artery→cortical radiate artery→afferent artery→glomerulus→efferent artery→peritubular capillary→cortical radiate vein→arcuate vein→interlobar vein→renal vein→inferior vena cava
4.콩팥단위:nephron (bowman’s capsule구성)
5.rena tubule : 소변 만드는 과정(토리주머니~속질피라미드)
glomerulus→proximal convoluted tubule(PCT)→loop og henle→DCT→collecting duct→papillary duct→minor calyx→major calyx→renal pelvis(신우)→ureter→Urinary bladder→Urethra
23.소화계통
소화기능 - 섭취, 소화, 흡수, 압축, 배변
(1)침샘(Salivary Glands)
*작은침샘(Small salivary gland)
*큰침샘(Large salivary gland)
귀밑샘(Parotid gland)
턱밑샘(Submandibular gland)
혀밑샘(Sublingual gland)
(2)식도(Esophagus)
-척주와 기관 사이에 있으면서 인두 앞쪽을 가로 내려 위의 들문(Cardia)구멍에 이르는
근육성 관.
-아래식도조임근 :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는 것 방지
-식도샘 : 음식물 통과하기 쉽게 윤활 점액을 분비
(3)위(Stomach)
4개 부위로 나뉨
심장부위
위바닥부위
몸통 : 가장 큰 부분
날문부위
세포6개로 나뉨
점액세포 : 점액을 분비. 들문샘과 날문샘에 많이 존재
재생세포 : 샘의 오목과 목의 기저에서 발견
벽세포 : 샘의 상부 절반에서 발견
으뜸세포 : 위에 가장 많이 존재
장내분비세포 : 소화 조절하는 호르몬과 주변분비 전령을 분비
(4)간(Liver)
오른엽,왼엽,네모엽,꼬리엽으로 이루어짐.
간문 : 간문맥과 고유간동맥의 입구
간관(Hepatic duct) - 쓸개즙의 통로
간세포에서 생성된 쓸개즙
→ 쓸개모세관
→ 간소엽 주변의 소엽사이쓸개관(Interlobular bile duct)
→ 2개의 간관(Hepatic duct)
→ 온간관(Common hepatic duct)
→ 쓸개주머니관(Cystic duct)
→ 쓸개주머니(Gall bladder)
→ 온쓸개관(Common bile duct)
→ 샘창자(Duodenum)
(5)작은창자(Small Intestine)
샘창자(Duodenum), 빈창자(Jejunum), 돌창자(Ileum)의 3부분으로 구분된다.
샘창자
샘창자는 샘빈창자굽이까지 약 25㎝ 되는 부분이다. 위(첫째)부분, 내림부분, 아래(수평)부분 및 오름부분으로 나눈다.
빈창자(Jejunum)
샘창자지나 작은창자늬 40%차지
대부분의 소화와 영양소흡수 이루어짐
돌창자(Ileum)
작은창자의 마지막 60%형성
(6)큰창자(Large Intestine)
막창자
잘록창자
곧창자
추천자료
10대의 성과 사랑
고급예술 대 저급예술
세계4대문명의 발상지
제 17대 총선 여론 조사 보도와 실제
4대개혁법안-4대 개혁법안 중 사립학교법 개정에 관한 심측적인 고찰(방송통신대과제)
4대강 사업의 장단점과 해결방안
[4대강사업] 4대강사업에 대한 효과와 문제점 및 쟁점에 대한 찬반입장 보고서
[4대강사업] 4대강사업에 대한 효과와 문제점 및 쟁점에 대한 찬반입장 PPT자료
4대강 살리기의 타당성(필요성) 및 문제점의 방향
4대강 사업
4대강 사업과 우리 삶의 환경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리학적 시각으로 분석
50대 성인학습자의 특성
5대 영양소와 각 영양소를 보유하고 있는 음식을 쓰고, 영유아기 아이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
4대강 살리기 사업대강 살리기 사업의 장점4대강 살리기 사업의 단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