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경총(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조정과 최저임금
Ⅱ. 경총(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조정과 기본방향
1. 임․단협의 조기․일괄 타결
2. 청년실업문제 해소를 위한 임금조정
3. 연봉제 근로자의 임금 가이드라인 적용 배제
4. 고정상여금의 비중 축소
Ⅲ. 경총(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조정과 조정문제점
1. 연봉제 노동자의 임금조정 가이드라인 적용 배제 - 임금삭감 우려가 현실로
2. 성과연동형 보상시스템의 구축 - 임금의 불안정성 심화
3. 비정규직의 활용 - 비정규직의 무분별한 확산과 노동조건 악화
Ⅳ. 경총(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조정과 주5일제근무
Ⅴ. 경총(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조정과 임금억제
1. ‘우리나라 임금이 주요 경쟁국보다 높아 국제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하여
2. ‘국민소득(GNP) 대비 임금이 높기 때문에, 임금인상을 억제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
3. ‘생산성을 상회하는 임금인상으로 기업의 지불능력과 국제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주장에 대하여
참고문헌
Ⅱ. 경총(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조정과 기본방향
1. 임․단협의 조기․일괄 타결
2. 청년실업문제 해소를 위한 임금조정
3. 연봉제 근로자의 임금 가이드라인 적용 배제
4. 고정상여금의 비중 축소
Ⅲ. 경총(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조정과 조정문제점
1. 연봉제 노동자의 임금조정 가이드라인 적용 배제 - 임금삭감 우려가 현실로
2. 성과연동형 보상시스템의 구축 - 임금의 불안정성 심화
3. 비정규직의 활용 - 비정규직의 무분별한 확산과 노동조건 악화
Ⅳ. 경총(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조정과 주5일제근무
Ⅴ. 경총(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조정과 임금억제
1. ‘우리나라 임금이 주요 경쟁국보다 높아 국제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하여
2. ‘국민소득(GNP) 대비 임금이 높기 때문에, 임금인상을 억제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
3. ‘생산성을 상회하는 임금인상으로 기업의 지불능력과 국제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주장에 대하여
참고문헌
본문내용
2. ‘국민소득(GNP) 대비 임금이 높기 때문에, 임금인상을 억제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
정부와 자본은 ‘국민소득(GNP)이나 경제수준에 비해 우리나라 임금은 주요 경쟁상대국보다 높다. 따라서 임금인상은 억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1인당 GNP 대비 임금수준이 한국은 1.80으로 미국 1.02, 일본 1.28, 대만 1.20보다 높다는 사실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런데 국민총생산(GNP)은 임금, 지대, 이자, 비법인 기업소득, 법인이윤, 간접세, 감가상각비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국민소득(GNP) 대비 임금’은 GNP에서 임금(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를 비교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각국 노동자의 임금수준이 높낮이를 비교하는 지표가 될 수는 없다. 각국의 경제구조는 나라마다 다르고 근로소득, 재산소득, 사업소득 등이 차지하는 비중도 다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부와 자본은 우리나라 노동자들이 임금을 많이 받고 있는 것처럼 여론을 호도하기 위해 ‘GNP 대비 임금’을 들먹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1인당 GNP대비 임금수준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것은 거꾸로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가 미비한 데 따른 것이다. 다른 나라 사회보장제도를 통해서 누리고 있는 교육 의료 등의 사회복지 혜택을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임금으로 해결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GNP 대비 임금을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드러난다.
우리나라 노동자의 임금이 극도로 저임금이었음은 누구나 인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의 ‘GNP 대비 임금’은 미국, 일본, 대만보다 높다. 정부와 자본의 주장대로라면 우리나라 노동자의 임금은 경제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높아 국제경쟁력을 약화시켰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러나 이 말에 동의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국민소득(GNP) 대비 임금’은 임금수준의 국제비교 지표가 될 수 없는 것이다.
3. ‘생산성을 상회하는 임금인상으로 기업의 지불능력과 국제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주장에 대하여
정부와 자본은 ‘생산성을 상회하는 임금인상으로 기업의 지불능력과 경쟁력이 약화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과 다르다. 생산성본부의 생산성 통계에 따르면 ‘생산성을 상회하는 임금인상이 아니라 생산성에 못 미치는 임금인상’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난 몇 년 동안 기업의 수익성은 개선되고 노무비 비중은 오히려 감소한 사실에 비추어 보면 이 주장은 설득력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경총 노동경제연구원(2003), \'동일노동·동일임금\' 요구에 대한 경총 검토, 경총 노동경제연구원
김정태(2008), 한국경총의 임금정책, 한국노동연구원
김대모(1996), 한국노총 및 한국경총의 임금인상지침 비교분석, 한국노동연구원
이정원(1992), 생산성임금에 관한 연구 : “경총”의 임금인상률 산정에 대한 평가, 명지대학교
한국경영자총협회(2000),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과제 : 경총 정책 토론회
한국노동문제연구원(1985), 경총의 임금조정여건과 과제
정부와 자본은 ‘국민소득(GNP)이나 경제수준에 비해 우리나라 임금은 주요 경쟁상대국보다 높다. 따라서 임금인상은 억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1인당 GNP 대비 임금수준이 한국은 1.80으로 미국 1.02, 일본 1.28, 대만 1.20보다 높다는 사실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런데 국민총생산(GNP)은 임금, 지대, 이자, 비법인 기업소득, 법인이윤, 간접세, 감가상각비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국민소득(GNP) 대비 임금’은 GNP에서 임금(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를 비교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각국 노동자의 임금수준이 높낮이를 비교하는 지표가 될 수는 없다. 각국의 경제구조는 나라마다 다르고 근로소득, 재산소득, 사업소득 등이 차지하는 비중도 다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부와 자본은 우리나라 노동자들이 임금을 많이 받고 있는 것처럼 여론을 호도하기 위해 ‘GNP 대비 임금’을 들먹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1인당 GNP대비 임금수준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것은 거꾸로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가 미비한 데 따른 것이다. 다른 나라 사회보장제도를 통해서 누리고 있는 교육 의료 등의 사회복지 혜택을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임금으로 해결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GNP 대비 임금을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드러난다.
우리나라 노동자의 임금이 극도로 저임금이었음은 누구나 인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의 ‘GNP 대비 임금’은 미국, 일본, 대만보다 높다. 정부와 자본의 주장대로라면 우리나라 노동자의 임금은 경제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높아 국제경쟁력을 약화시켰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러나 이 말에 동의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국민소득(GNP) 대비 임금’은 임금수준의 국제비교 지표가 될 수 없는 것이다.
3. ‘생산성을 상회하는 임금인상으로 기업의 지불능력과 국제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주장에 대하여
정부와 자본은 ‘생산성을 상회하는 임금인상으로 기업의 지불능력과 경쟁력이 약화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과 다르다. 생산성본부의 생산성 통계에 따르면 ‘생산성을 상회하는 임금인상이 아니라 생산성에 못 미치는 임금인상’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난 몇 년 동안 기업의 수익성은 개선되고 노무비 비중은 오히려 감소한 사실에 비추어 보면 이 주장은 설득력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경총 노동경제연구원(2003), \'동일노동·동일임금\' 요구에 대한 경총 검토, 경총 노동경제연구원
김정태(2008), 한국경총의 임금정책, 한국노동연구원
김대모(1996), 한국노총 및 한국경총의 임금인상지침 비교분석, 한국노동연구원
이정원(1992), 생산성임금에 관한 연구 : “경총”의 임금인상률 산정에 대한 평가, 명지대학교
한국경영자총협회(2000),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과제 : 경총 정책 토론회
한국노동문제연구원(1985), 경총의 임금조정여건과 과제
추천자료
순응임금제(Sliding scale plan)
(임금 갈등)한국 기업의 임금제도의 실태와 문제점 및 발전방향 제언
[고용촉진]기업에서의 임금피크제 모델 도입 및 과제
[인력정책]실업자를 대상으로 한 남녀간 의중임금구조에 관한 실태조사 분석
임금 관리제도
[임금구조, 임금구조와 직종별임금, 임금구조와 의중임금, 임금구조와 월급여격차, 임금구조...
[임금][생산][임금과 생산가격][임금과 잉여가치생산][임금과 노동생산성][임금과 생산성임금...
[임금격차][임금][고용구조변동][노동운동]임금격차의 원인, 임금격차의 기존연구, 임금격차...
[임금격차][임금][생산성][자동차산업]임금격차의 원인, 임금격차의 생산성, 임금격차의 기존...
[임금격차][공무원과 민간부문 임금격차][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격차]공무원과 민간부문 임...
[임금격차][임금격차 기업성과][임금격차의 문제점]임금격차의 성격, 임금격차의 발생원인, ...
임금 구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