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역사적 사건이라기보다는 인간의 주체적인 자각을 통해서 스스로 만들어가야 한다는데 더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사상연구소,『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p.790.
5. 사상적 의의 및 한계
이와 같은 동학의 인간지상주의적, 평등주의적 윤리사상은 반상(班常)의 차별, 노주(奴主)의 차별, 남녀의 차별, 노소의 차별, 적서의 차별이 심했던 19세기말의 조선사회에 있어서 기존의 윤리를 거부하는 혁신적인 것이었다. 각주 9과 동일.
동학은 그 명칭부터 서학에 대항하여 동학이라고 한 것이듯이, 본래 제국주의의 침략에 대한 민족주의적 저항을 담고 있는 것이다. 동학의 민족 주체의식은 탈중화적(脫中華的)·토착적이라는 점에서 당시 척사위정파나 개화파의 민족 정체의식과 구별된다.
그러나 동학이 유·불·선 삼교 합일을 표방한 만큼 동학이 기존의 유교적 전통과 일정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또한 동학은 당시의 토착적 신앙 및 풍속을 배경으로 한 것이기도 하다. 동학의 신선사상·주술·부적 등은 토착적 민간 신앙을 계승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들은 동학을 당시 하층민중 사이에 쉽게 뿌리내릴 수 있게 한 요인 가운데 하나로서, 이것은 유교적 세련화를 추구했던 척사위정파나 서구적 근대화를 추구했던 개화파의 경우와 구별되는 것이다. 한국철학사연구회 엮음,『한국철학사상사』, pp.452~454.
최시형은 삼경(三敬)사상을 통해 경천(敬天)과 경인(敬人)뿐만 아니라 경물(敬物)까지도 강조하였다. 특히 "땅을 소중히 여기기를 어머님의 살같이 하라" 들의 법설은 오늘날 환경운동의 헌장으로 채택되기도 하였다. 한국사상연구소,『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p.792.
동학이 비록 일제에 대한 극단적인 적개심에 입각해 한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하더라도, 동학의 인내천 사상과 경천(敬天)·경인(敬人)·경물(敬物)사상은 인간과 하늘과의 협화(協和), 인간과 인간과의 협화, 인간과 자민족 간의 협화를 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동학이 보국안민·포덕천하의 이념을 구체화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과 수단을 제시하지 못한 것은 동학의 한계라 할 수 있겠다. 한국철학사연구회 엮음,『한국철학사상사』, p.455.
<참고문헌>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상연구소편,『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예문서원, 2001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한국철학사연구회 엮음,『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5
5. 사상적 의의 및 한계
이와 같은 동학의 인간지상주의적, 평등주의적 윤리사상은 반상(班常)의 차별, 노주(奴主)의 차별, 남녀의 차별, 노소의 차별, 적서의 차별이 심했던 19세기말의 조선사회에 있어서 기존의 윤리를 거부하는 혁신적인 것이었다. 각주 9과 동일.
동학은 그 명칭부터 서학에 대항하여 동학이라고 한 것이듯이, 본래 제국주의의 침략에 대한 민족주의적 저항을 담고 있는 것이다. 동학의 민족 주체의식은 탈중화적(脫中華的)·토착적이라는 점에서 당시 척사위정파나 개화파의 민족 정체의식과 구별된다.
그러나 동학이 유·불·선 삼교 합일을 표방한 만큼 동학이 기존의 유교적 전통과 일정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또한 동학은 당시의 토착적 신앙 및 풍속을 배경으로 한 것이기도 하다. 동학의 신선사상·주술·부적 등은 토착적 민간 신앙을 계승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들은 동학을 당시 하층민중 사이에 쉽게 뿌리내릴 수 있게 한 요인 가운데 하나로서, 이것은 유교적 세련화를 추구했던 척사위정파나 서구적 근대화를 추구했던 개화파의 경우와 구별되는 것이다. 한국철학사연구회 엮음,『한국철학사상사』, pp.452~454.
최시형은 삼경(三敬)사상을 통해 경천(敬天)과 경인(敬人)뿐만 아니라 경물(敬物)까지도 강조하였다. 특히 "땅을 소중히 여기기를 어머님의 살같이 하라" 들의 법설은 오늘날 환경운동의 헌장으로 채택되기도 하였다. 한국사상연구소,『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p.792.
동학이 비록 일제에 대한 극단적인 적개심에 입각해 한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하더라도, 동학의 인내천 사상과 경천(敬天)·경인(敬人)·경물(敬物)사상은 인간과 하늘과의 협화(協和), 인간과 인간과의 협화, 인간과 자민족 간의 협화를 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동학이 보국안민·포덕천하의 이념을 구체화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과 수단을 제시하지 못한 것은 동학의 한계라 할 수 있겠다. 한국철학사연구회 엮음,『한국철학사상사』, p.455.
<참고문헌>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상연구소편,『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예문서원, 2001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한국철학사연구회 엮음,『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5
추천자료
모더니즘의 발생 배경
일본 음식 문화의 발생 배경
모더니즘의 특징과 배경 발생과 전개 모더니즘 문학
정부(국가)의 발생 배경과 원인 및 정부의 역할
모더니즘의 발생 배경
[공익광고]공익광고 사례를 통해 본 배경, 분류와 연구경향 및 정책 제안(공익광고의 발생과 ...
노인 자살의 현황과 발생 배경 및 관련 변인
[송명철학][철학][사상][송][명][송명시대][송나라][명나라][송명철학의 발생 배경][송명철학...
페미니즘(feminism) 발생 배경과 이론
주입식 교육의 발생 배경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을 제시
POP ART의 발생 배경과 특징 문제제기 작품 예
불교 발생 배경 및 원인
공녀의 발생 배경
난민 발생 배경과 현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