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정 지원정책과 지원사업 및 한부모가정아동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부모가정 지원정책과 지원사업 및 한부모가정아동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야 한다. 또한 일반 부부들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부부 지원 프로그램과 교육을 강화하여 부부가 변화된 시대의 요구를 읽고 남녀간의 차이를 이해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허미화, 2002)
5) 이혼 적응 프로그램 도입
이혼은 이혼 당사자뿐만 아니라 아동이나 기타 가족은 물론 여러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가장 직접적인 영향은 부부와 자녀에게 있다. 따라서 이들의 심리적 정서적 안정과 적응을 돕기 위한 지원 조치들이 요구되는데, 이혼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전문화된 상담을 제공하는 이혼 적응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한다(곽형식 외, 2008)
6) 특정 영업권 우선 배정
공공시설 내에 매점 또는 이용소, 미용소, 식당, 휴게실 자동판매기 설치 등의 영업권 배정 우선순위를 한부모가정 세대주에게 줌으로써 이들에 대한 소득 보장의 한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국가전매사업의 영업권 배정에서도 특혜를 주는 방안과 전문 지식이 없어도 단순노동만으로도 취엄이 가능한 업종의 개발과 활용이 강구되어야 한다.
7) 교육비 지원 강화
한부모가정 세대들도 아동들을 전문대 수준 이상으로 교육시키고 싶어 한다. 그러므로 대학생에게도 교육비의 일부라도 지원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경우 일정비율의 장학생을 선발한다든지, 학교나 공공기관의 아르바이트 자리에 우선 배치한다든지 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수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생각해 보기
1. 이혼할 상황이 생긴 경우 아동을 위해서 결혼생활을 유지해야 되는지 생각해 봅시다.
2. 우리 사회의 한부모가정을 바라보는 시작은 어떤지 생각해 봅시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6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