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지렁이의 기록
Ⅲ. 지렁이의 생김새
Ⅳ. 지렁이의 먹이
Ⅴ. 지렁이의 서식지
Ⅵ. 지렁이와 갯벌
1. 참갯지렁이
1) 분류
2) 분포지역
3) 크기
2. 흰이빨참갯지렁이
3. 바위털갯지렁이
4. 괴물유령갯지렁이
Ⅶ. 결론
참고문헌
Ⅱ. 지렁이의 기록
Ⅲ. 지렁이의 생김새
Ⅳ. 지렁이의 먹이
Ⅴ. 지렁이의 서식지
Ⅵ. 지렁이와 갯벌
1. 참갯지렁이
1) 분류
2) 분포지역
3) 크기
2. 흰이빨참갯지렁이
3. 바위털갯지렁이
4. 괴물유령갯지렁이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였다. 또한 현장조사에서 관찰된 바에 의하면 담치류 팻치에 형성된 퇴적물에서 상당히 고밀도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여, 유기물이 증가하는 여름철 기회적으로 분포하는 종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한 종으로 보인다. 한편 연질 조간대에서는 4과 7종이 출현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박(2000)이 안골 조간대의 7월에 보고한 11종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결과였다. 아마도 이동 갯벌의 경우 매립에 의하여 새롭게 생긴 지역이며 퇴적상에서도 상대적으로 더욱 세립하였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조사지역 진해의 경우 해역에 영향을 줄 만한 대도시, 산업시설, 양식시설이 상당수 분포하고 있으며, 해역을 포함하는 진해만은 상습적으로 적조가 발생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조간대의 많은 부분이 많이 훼손인 된 상태였다. 하지만 비교적 다양한 생물이 출현하고 있으며 부산, 진해 등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곳으로 앞으로 보전이 필요한 곳으로 정성적 평가기준에 의한 보전가치등급은 III 등급이었다.
참고문헌
김종오 외 1명, 지렁이 퇴비화 산업 현황 및 향후과제, 유기성자원학회, 2001
박경훈 외 7명, 농약의 지렁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 한국농약과학회, 2003
이창호, 지렁이 이용기술의 자동화 가능성 연구,Ⅱ, 유기성자원학회, 2002
이주삼,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 자원의 처리와 이용, 연세대학교, 2008
홍용 외 1명, 농생태계 서식하는 지렁이 종분포조사, 한국환경생물학회 지렁이, 2007
현화동, 농장 구성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지렁이 생태 이해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2006
조사지역 진해의 경우 해역에 영향을 줄 만한 대도시, 산업시설, 양식시설이 상당수 분포하고 있으며, 해역을 포함하는 진해만은 상습적으로 적조가 발생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조간대의 많은 부분이 많이 훼손인 된 상태였다. 하지만 비교적 다양한 생물이 출현하고 있으며 부산, 진해 등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곳으로 앞으로 보전이 필요한 곳으로 정성적 평가기준에 의한 보전가치등급은 III 등급이었다.
참고문헌
김종오 외 1명, 지렁이 퇴비화 산업 현황 및 향후과제, 유기성자원학회, 2001
박경훈 외 7명, 농약의 지렁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 한국농약과학회, 2003
이창호, 지렁이 이용기술의 자동화 가능성 연구,Ⅱ, 유기성자원학회, 2002
이주삼,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 자원의 처리와 이용, 연세대학교, 2008
홍용 외 1명, 농생태계 서식하는 지렁이 종분포조사, 한국환경생물학회 지렁이, 2007
현화동, 농장 구성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지렁이 생태 이해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