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시조의 개념
Ⅲ. 시조의 역사
1. 고대 시조
2. 현대 시조
Ⅳ. 시조의 종류
1. 평시조(平時調)
2. 엇시조(時調)
3. 사설시조(辭說時調)
4. 연시조(連時調)
5. 양장 시조(兩章時調)
6. 단장 시조(單章時調)
7. 동시조(童時調)
Ⅴ. 시조의 형식
Ⅵ. 시조의 내용
1. 이별
2. 자연
3. 도리
4. 교훈
Ⅶ. 시조의 표현
1. 직유법
2. 은유법
3. 활유법
4. 기타
1) 도치법
2) 영탄법
3) 비교법
4) 반복법
5) 대조법
Ⅷ. 시조의 전개
1. 사대부의 시조
2. 기녀의 시조
3. 서민층의 시조
참고문헌
Ⅱ. 시조의 개념
Ⅲ. 시조의 역사
1. 고대 시조
2. 현대 시조
Ⅳ. 시조의 종류
1. 평시조(平時調)
2. 엇시조(時調)
3. 사설시조(辭說時調)
4. 연시조(連時調)
5. 양장 시조(兩章時調)
6. 단장 시조(單章時調)
7. 동시조(童時調)
Ⅴ. 시조의 형식
Ⅵ. 시조의 내용
1. 이별
2. 자연
3. 도리
4. 교훈
Ⅶ. 시조의 표현
1. 직유법
2. 은유법
3. 활유법
4. 기타
1) 도치법
2) 영탄법
3) 비교법
4) 반복법
5) 대조법
Ⅷ. 시조의 전개
1. 사대부의 시조
2. 기녀의 시조
3. 서민층의 시조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노래한 시조도 많다.
4. 교훈
지난날의 잘못을 깨우치게 하고자 가르치고 타이른다.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것을 지키도록 훈계하기도 한다.
Ⅶ. 시조의 표현
1. 직유법
「~ 같이~처럼 ~인 듯 ~인양 ~만큼 ~마냥」등과 같이 어떤 사물을 무엇에 빗대어 나타낸 말.
·달은 술 취한 농부의 얼굴(처럼) 벌겋다.
·(사시나무는 탬버린(처럼) 잔결 소리 낸다)
·(낮달(만큼) 높이 떴구나)
·(거북이(인양) 아기가 기어간다)
2. 은유법
「~은 ~이다」처럼 나타낸 말 (메타포)」
·꽃봉오리(는) 등불.
(분수(는) 수양버들)
(민들레(는) 징검다리)
3. 활유법
무생물을 생물처럼 나타낸 말(의인법, 의태법, 의성법)
·징검다리 건너는(바람의 뒤꿈치).
·풀잎에(앉아 망을 보는 아지랑이)
·나무는(초록빛 깃발을 꺼내 들고)
·풀잎 속으로(가라앉은 가을)
·꽃이(방긋방긋 웃고 있다)
4. 기타
1) 도치법
「날아라 비행기야」
2) 영탄법
「아, ~는 구나」
3) 비교법
「~보다 ~ 좋다」
4) 반복법
「산에 산에 산에는」
5) 대조법
「산은 높고 바다는 깊다」
Ⅷ. 시조의 전개
고려의 말기적 상황에서 신흥사대부들이 그들의 세계관을 가다듬고 모색하는 그릇으로 창출했던 시조는 조선 전기에 이르면 이른바 사대부의 문학으로 그 확고한 자리를 잡게 된다. 작자에 따라 시대적 여건에 따라 시조는 그 뚜렷한 성향을 지니면서 성장해 갔다. 임·병 양란기를 겪으면서 지배질서가 붕괴되고 이상이 흔들리게 되는 시대적 변화에 부딪히자 보다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됐으며 시조를 통해 憂國을 읊고, 君王에 대한 忠誠을 다지며 윤리적 교화를 실천코자 하는 의지를 나타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작자층의 변모인데 계층의 변모에 따라 작품의 성향도 달라지게 된다.
1. 사대부의 시조
시조의 형성과 정착, 성장에 주역을 담당한 계층이다. 그들은 한시의 절구를 더 중요시하고 시조는 여기로 여겼지만 한시가 가진 관념성을 벗고 시조에 흥취 할 수 있었다.
초기 시조부터 사대부의 시조에는 세상사에 대한 번민이 자리하고 있다. 왕실이 안정한 때에는 君恩을 노래한 이래, 忠을 비롯한 儒敎的 倫理德目등을 담은 사대부 시조가 압권을 이룬다.
그리고 自然과 閑情을 노래한 시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대개 자연과의 화합, 은거의 묘미를 주제로 하고 있으며 풍류를 즐기는 자신을 그려 봄으로써 번잡한 세사를 잊고자 한다. 이런 종류의 시를 쓴 작가로는 月山大君, 權好文 宋純등을 손꼽을 수 있다.
朴仁老, 孤山시대에 가면, 사대부의 시조는 江湖시조, 流配시조의 껍질을 쓴 신세타령이 아니면 자가 합리화의 色이 짙어지게 된다.
2. 기녀의 시조
사대부들이 古典的 취향을 버리지 못하여 창의력이 고갈되고 상투적인 문구의 나열로 떨어지는 반면, 남녀간의 사랑과 본능에 얽힌 사연을 핍진하고 발랄하게 나타내는 기녀의 시조가 나다남으로써 기녀의 시조는 사대부의 아류에 그치지 않은 다른 경지를 개척한 것이다. 대표작가로는 황 진이를 들 수 있는 데, 그녀의 시조 역시 대부분 이별의 情恨을 노래한 것이 대부분이나 긴장된 형상화를 꾀하여 다른 작품과 구별되는 표현의 묘미를 갖추었다.
3. 서민층의 시조
평시조의 형식이 파괴되면서 사설시조의 새로운 형식이 배태되는 시조시의 획기적인 번화가 일어났다. 金天澤 등의 전문가객들이 가객활동을 하면서 시조 창작에도 힘썼으나 상층지향성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범속하고 관념적인 문구나열에 그친 것들이 많다. 다만 김 수장의 경우는 사대부 풍류에 연연하지 않고 하층민의 풍류를 고양시키고자 한 인물로서, 김 천택이 전혀 대단치 않았던 사설시조를 스스로 짓고, 자기 가집에다 실어 전하고 있다. 그러나 김천택이 지녔던 사설시조관의 한계를 넘어선 점은 살 만하나, 풍류객으로서의 허장성세외에는 작품상으로 살만한 점은 별반 없다. 평시조의 내용 및 형식적 규범성을 자체 내에서 극복하고 나타난 변용으로서의 사설시조는 그 이후의 급격한 시대적 변화와 파행적인 역사의 장을 지나면서 더 이상 계승의 방향을 모색하지 못한 채 퇴영되어 갔다.
참고문헌
○ 김인숙(2009), 시조의 문학치료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 김두삼(2011), 현대시조의 정체성 연구, 동의대학교
○ 심재완(1972), 교본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 송병상(1995), 조선후기 시조의 전개와 변모양상, 우석대학교
○ 조유영(2006), 17세기 시조의 전개와 변모 양상, 경북대학교
○ 차일룡(1991), 국어교과서 소재 시조의 분석, 경희대학교
4. 교훈
지난날의 잘못을 깨우치게 하고자 가르치고 타이른다.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것을 지키도록 훈계하기도 한다.
Ⅶ. 시조의 표현
1. 직유법
「~ 같이~처럼 ~인 듯 ~인양 ~만큼 ~마냥」등과 같이 어떤 사물을 무엇에 빗대어 나타낸 말.
·달은 술 취한 농부의 얼굴(처럼) 벌겋다.
·(사시나무는 탬버린(처럼) 잔결 소리 낸다)
·(낮달(만큼) 높이 떴구나)
·(거북이(인양) 아기가 기어간다)
2. 은유법
「~은 ~이다」처럼 나타낸 말 (메타포)」
·꽃봉오리(는) 등불.
(분수(는) 수양버들)
(민들레(는) 징검다리)
3. 활유법
무생물을 생물처럼 나타낸 말(의인법, 의태법, 의성법)
·징검다리 건너는(바람의 뒤꿈치).
·풀잎에(앉아 망을 보는 아지랑이)
·나무는(초록빛 깃발을 꺼내 들고)
·풀잎 속으로(가라앉은 가을)
·꽃이(방긋방긋 웃고 있다)
4. 기타
1) 도치법
「날아라 비행기야」
2) 영탄법
「아, ~는 구나」
3) 비교법
「~보다 ~ 좋다」
4) 반복법
「산에 산에 산에는」
5) 대조법
「산은 높고 바다는 깊다」
Ⅷ. 시조의 전개
고려의 말기적 상황에서 신흥사대부들이 그들의 세계관을 가다듬고 모색하는 그릇으로 창출했던 시조는 조선 전기에 이르면 이른바 사대부의 문학으로 그 확고한 자리를 잡게 된다. 작자에 따라 시대적 여건에 따라 시조는 그 뚜렷한 성향을 지니면서 성장해 갔다. 임·병 양란기를 겪으면서 지배질서가 붕괴되고 이상이 흔들리게 되는 시대적 변화에 부딪히자 보다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됐으며 시조를 통해 憂國을 읊고, 君王에 대한 忠誠을 다지며 윤리적 교화를 실천코자 하는 의지를 나타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작자층의 변모인데 계층의 변모에 따라 작품의 성향도 달라지게 된다.
1. 사대부의 시조
시조의 형성과 정착, 성장에 주역을 담당한 계층이다. 그들은 한시의 절구를 더 중요시하고 시조는 여기로 여겼지만 한시가 가진 관념성을 벗고 시조에 흥취 할 수 있었다.
초기 시조부터 사대부의 시조에는 세상사에 대한 번민이 자리하고 있다. 왕실이 안정한 때에는 君恩을 노래한 이래, 忠을 비롯한 儒敎的 倫理德目등을 담은 사대부 시조가 압권을 이룬다.
그리고 自然과 閑情을 노래한 시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대개 자연과의 화합, 은거의 묘미를 주제로 하고 있으며 풍류를 즐기는 자신을 그려 봄으로써 번잡한 세사를 잊고자 한다. 이런 종류의 시를 쓴 작가로는 月山大君, 權好文 宋純등을 손꼽을 수 있다.
朴仁老, 孤山시대에 가면, 사대부의 시조는 江湖시조, 流配시조의 껍질을 쓴 신세타령이 아니면 자가 합리화의 色이 짙어지게 된다.
2. 기녀의 시조
사대부들이 古典的 취향을 버리지 못하여 창의력이 고갈되고 상투적인 문구의 나열로 떨어지는 반면, 남녀간의 사랑과 본능에 얽힌 사연을 핍진하고 발랄하게 나타내는 기녀의 시조가 나다남으로써 기녀의 시조는 사대부의 아류에 그치지 않은 다른 경지를 개척한 것이다. 대표작가로는 황 진이를 들 수 있는 데, 그녀의 시조 역시 대부분 이별의 情恨을 노래한 것이 대부분이나 긴장된 형상화를 꾀하여 다른 작품과 구별되는 표현의 묘미를 갖추었다.
3. 서민층의 시조
평시조의 형식이 파괴되면서 사설시조의 새로운 형식이 배태되는 시조시의 획기적인 번화가 일어났다. 金天澤 등의 전문가객들이 가객활동을 하면서 시조 창작에도 힘썼으나 상층지향성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범속하고 관념적인 문구나열에 그친 것들이 많다. 다만 김 수장의 경우는 사대부 풍류에 연연하지 않고 하층민의 풍류를 고양시키고자 한 인물로서, 김 천택이 전혀 대단치 않았던 사설시조를 스스로 짓고, 자기 가집에다 실어 전하고 있다. 그러나 김천택이 지녔던 사설시조관의 한계를 넘어선 점은 살 만하나, 풍류객으로서의 허장성세외에는 작품상으로 살만한 점은 별반 없다. 평시조의 내용 및 형식적 규범성을 자체 내에서 극복하고 나타난 변용으로서의 사설시조는 그 이후의 급격한 시대적 변화와 파행적인 역사의 장을 지나면서 더 이상 계승의 방향을 모색하지 못한 채 퇴영되어 갔다.
참고문헌
○ 김인숙(2009), 시조의 문학치료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 김두삼(2011), 현대시조의 정체성 연구, 동의대학교
○ 심재완(1972), 교본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 송병상(1995), 조선후기 시조의 전개와 변모양상, 우석대학교
○ 조유영(2006), 17세기 시조의 전개와 변모 양상, 경북대학교
○ 차일룡(1991), 국어교과서 소재 시조의 분석, 경희대학교
추천자료
한국 고대 중세 근대의 문학적 특성
어버이 노래한 사모곡
단심가와 하여가의 비교와 감상
4단계 독학사 교양국어 시험대비 요약.
고향
굳은 신념, 단심가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 -
[시가문학][시가문학 역사][시가문학 수용이론][시가문학 서술관점][시가문학 연구동향][시가...
이호우 시인론
시조부흥론
한용운(韓龍雲) 시 연구 (만해 한용운 생애, 님은 누구인가?, 한용운 시에 나타난 기다림, 여...
[학습지도안] 4. 시의 세계 (1) 봉선화 (2)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수몰된 고향이 이태극의 문학작품에 끼친 영향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