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메세지)][공익광고]메시지(메세지)와 공익광고, 광고효과, 메시지(메세지)와 설득적 소구, 행동요인, 메시지(메세지)와 심상처리정보, 브랜드, 메시지(메세지)와 소비자태도, 메시지(메세지)와 소비자만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시지(메세지)][공익광고]메시지(메세지)와 공익광고, 광고효과, 메시지(메세지)와 설득적 소구, 행동요인, 메시지(메세지)와 심상처리정보, 브랜드, 메시지(메세지)와 소비자태도, 메시지(메세지)와 소비자만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메시지(메세지)와 공익광고

Ⅲ. 메시지(메세지)와 광고효과

Ⅳ. 메시지(메세지)와 설득적 소구

Ⅴ. 메시지(메세지)와 행동요인

Ⅵ. 메시지(메세지)와 심상처리정보

Ⅶ. 메시지(메세지)와 브랜드

Ⅷ. 메시지(메세지)와 소비자태도

Ⅸ. 메시지(메세지)와 소비자만족
1. 기대
2. 성과
3. 불일치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사회 심리학자와 산업심리학자를 포함한 다른 많은 학자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현상, 즉 자기성과의 지각,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 외부의 사회적 영향, 작업 모티베이션을 설명하는데 기대개념을 시용하여 왔다.
소비자만족 연구에 있어서도 연구의 초기부터 연구자들은 기대개념에 주목하여 왔다. 그러나 초기연구에서는 기대라는 구성개념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조작적 정의 없이 모호하게 사용되어 왔다. Olson과 Dover(1979)는 이러한 모호함을 비판하고 기대의 정의를 \"제품에 대한 사용전의 신념\"이라고 최초로 정의 내렸다. 이와 비슷하게 Swan과 Trawick(1981)은 점포에 대한 구매 전 기대를 \"어떤 소매기관이 여러 가지 두드러진 속성에 있어서 어떤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리라는 신념\"이라고 정의 내렸다.
소비자가 제품에 대해 갖는 기대는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와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 어떤 경우 소비자의 기대는 광고 또는 다른 판매촉진 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Oliver와 DeSarbo(1988)는 소비자만족의 형성과정에서 기대는 성과나 불일치보다는 중요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기대는 제품의 사용 후 평가과정에서 기준점을 제공함으로써 만족단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2. 성과
성과는 객관적 성과와 지각된 성과로 구분 된(Tse, & Wilton, 1988). 가령, 음식점에서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기다린 시간이 10분이었다면 이것은 객관적 성과가 된다. 그러나 이 10분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지각된 성과는 1분이 될 수도 있고 1시간이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속성이란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에 따라 변한다. 또한 만족과 불만족을 일으킬 수 있는 속성들은 다를 수도 있다(Swan, & Combs, 1976). 만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여러 가지 속성이 있을 때, 어떤 속성에 대한 성과는 만족을 일으키지만 어떤 속성에 대한 성과는 불만족을 일으킬 수 있다.
소비자만족의 형성에 있어서 일차적인 중요성은 불일치를 평가하는데 비교기준으로 사용된다는 것이다(Churchill, & Surprenant, 1982). 일반적으로 성과의 질은 기대와 비교하여 일치하거나 초과하면 제품성과에 대해 우호적일 것이며, 기대에 부족하면 제품의 성과에 대해 덜 우호적일 것이다. 따라서 성과에 대한 우호적인 판단은 만족을 발생시킬 것이며, 비우호적인 판단은 불만족을 발생시킬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성과는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그 자체가 만족형성의 결정적인 변수가 될 수 있다(Churchill, & Surprenant, 1982; Tse, & Wilton, 1988; Oliver, & Desarbo, 1988).
3. 불일치
불일치는 사용 전 기대와 실제 성과 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된다. 이는 심리적인 과정을 거쳤는가에 따라 객관적 불일치와 지각된 불일치로 구분할 수 있다(Swan, & Trawick, 1981; Oliver, & Bearden, 1985). Swan과 Trawick (1981)은 불일치의 두 가지 구조인 객관적 불일치와 지각된 불일치는 다음의 두 가지 이유 때문에 다르다고 하였다. 먼저, 제품 사용 후 소비자의 회상된 기대는 인지적 불협화, 동조효과, 대조효과 등에 의해 제품 사용전의 실제적인 기대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품 사용 전의 실제기대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품 사용 전의 실제기대가 주관적으로 높거나 낮게 지각됨으로써 객관적 불일치와 주관적 불일치는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둘째, 객관적 불일치는 제품 사용전 평가와 제품 사용 후 평가간의 차이로 나타난다. 그러나 지각된 불일치는 이것뿐만 아니라 속성수준의 평가와 가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으로도 영향을 받는다.
불일치는 만족의 형성에 결정적인 매개변수로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Churchill, & Surprenant 1982; Oliver, 1980; Tse, Nicosia, & Wilton,1990). 본질적으로 불일치는 실제의 상태와 예측했던 확률과의 심적 비교이다. 보통 이러한 실제의 상태는 예측했던 확률보다 나쁘게 지각될 수도 있고 더 좋게 지각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일치될 수도 있다. 이것을 각각 부정적 불일치(negative disconfirmation), 긍정적 불일치(positive disconfirmation), 일치(disconfirmation)라고 한다.
불일치는 높은 긍정적 가치(성과>기대)로부터 낮거나 영의 가치(성과=기대), 높은 부정적 가치(성과<기대)에 이르는 연속상에 있는 변수로써 개념화 되어왔다. 만족 또한 높은 만족으로부터 무관심, 불만족에 이르는 연속적인 변수로써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만족이 과연 연속적인 변수인지, 만족과 불만족이 두 개의 다른 상태인지는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Leavitt, 1977; Swan, & Martin, 1981).
이와 같이 기대불일치의 개념화 또는 기대 불일치의 만족에 대한 영향에 대해 Churchill과 Surprenant(1982)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기대불일치의 효과를 거의 빠짐없이 발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대불일치의 효과는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어떤 변수들보다도 그 유의성과 영향력이 크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유의성 입증의 연구결과들 역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참고문헌
김윤지(2011), 공익광고 메시지 소구유형이 소비자 성격에 따라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권윤정(2006), PR메시지전략을 위한 개인기부 행동요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현희(2011), 희소성 메시지 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효과, 한국전략마케팅학회
이두희 외 1명(1999), 광고의 그림 메시지와 문자 메시지가 심상정보처리 효과와 기억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우정임(2011), 조절 초점, 광고 메시지 형태, 브랜드 명성에 따른 광고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조용석 외 1명(2011), 제품광고의 사회적 메시지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