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 16세기 말의 유럽사회
- 메노키오의 사상과 생애
결론
참고문헌
본론
- 16세기 말의 유럽사회
- 메노키오의 사상과 생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웃에 대한 사랑이 더 중요하다고 반복하여 강조한다. 이것은 르네상스에서 시작되어 18세기 계몽주의에서 완성되는 위대한 지적 흐름인데, 그것을 우리의 메노키오가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메노키오는 인간사회에게 사회적 차별이 없는 평등한 세상을 꿈꾸고 있었다. 그는 세상을 “우월한 자”와 “열등한 자”로 구분하고 있고, 그것은 모두가 신의 자식인 원리와 어긋난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더욱이 “신세계”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현실의 지배체제를 비난하고 있었다. “신세계”라는 단어는 아메리고 베스푸치가 아메리카를 발견한 뒤에 그것이 인도가 아니라 새로운 대륙이라는 의미에서 “신세계”라고 언급하면서 인간에게 주어진 단어이다. 이어서 그 단어는 사회적인 함의를 담게 되었다.
<종교재판에 의해 화형에 당하는 광경>
메노키오는 사회의 위계를 통하여 전달되는 텍스트의 전언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에만 만족하지 않고 자신의 경험 혹은 문화에서 비롯한 생각이나 몽상을 자신의 독서과정에 투사시켰을 수도 있는 것이다. 실제로 그는 근본적으로 반기독교적이고 매우 대중적인 유물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한 도발적인 정신으로 읽어나갔다. 메노키오는 독서의 과정을 통하여 이미 깊이 뿌리박힌 그의 관념이나 신념을 재확인하고, 당대의 이교도 및 인문주의자들의 종교이론을 재결합시키면서 종교적인 급진주의를 이끌어냈던 것이다. 이리하여 그는 사회의 상층을 이루는 지배집단 및 이들 상급자들에 의해 부과된 전언에 대해서 전혀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던 다른 이웃들과는 달리 자신만의 우주론을 수립할 수 있었으며, 또한 동시에 그것을 정당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메노키오가 자신의 견해를 확고히 하는 과정에서 일방적이고 독단적으로 문헌들을 변형시켰음을 발견할 수 있다.
결론
한 시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의 위대하고 핵심적인 인물과 역사의 전환점이 될 만한 큰 사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그 사회를 이룬 개개인의 삶과 그들의 노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개인이 사회를 떠나 존재할 수 없으며 사회는 개개인의 삶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역사연구의 기본적인 자세로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를 파악하고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노키오의 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개인은 자신이 속한 사회에 큰 영향을 받는다. 기존의 패러다임을 부정하며 고유의 우주관을 정립한 메노키오는 그가 살던 16세기 말 유럽사회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사상은 인쇄술의 발달과 종교개혁, 당시 지배층의 억압과 착취 등 혼란스러웠던 사회적 배경에서 기인한다. 16세기 말, 인쇄술의 발달로 메노키오는 많은 서적을 접할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사상을 정립할 수 있었다. 그는 문자, 그리고 읽기 및 글쓰기 문화를 지배층의 특권 및 지배권으로 인지하였다. 그는 지식을 독점하고 있던 부유한 상류층에 맞섰고, 이러한 입장에서 상류층의 문화를 과감하게 전유하였다.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이 시기에는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전개되면서 이전과는 다른 종교적인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고 메노키오는 그 영향을 받아 자신의 종교관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기독교가 강하게 자리잡고 있었던 시대에 비해 메노키오가 살던 16세기 말은 비교적 다양한 종교가 등장하였고 기독교 질서를 어지럽히고 있었기 때문에 메노키오와 같은 인물이 나왔을 것이다. 만약 인쇄술의 발달과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메노키오라는 인물은 등장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처럼 시대적 배경, 즉 사회는 개인의 사상과 행동 등 삶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개인 역시 사회를 구성하고 지탱하며 움직이는 원동력이 된다.
참고문헌
Carlo Ginzburg, 『Ilformaggio e i vermi』, 김정하, 유제분 역, 『치즈와 구더기』 (문학과지성사, 2001)
이영선, 「치즈와 구더기의 미시사적 접근」『서강교육』,1집 (2003), p. 245-253 (서강대학교 교육원)
김정하, 「미시사의 기록관리학적 토대 연구」 『EU연구』, 19집 (2006), p. 91-108,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EU연구소)
사진출처
http://blog.naver.com/iris850/50075467259
http://28boy.tistory.com/214
http://dbscthumb.phinf.naver.net/1069_000_1/20120619163102278_Y1PE6PX5I.jpg/hf11_187_i1.jpg?type=m480
<종교재판에 의해 화형에 당하는 광경>
메노키오는 사회의 위계를 통하여 전달되는 텍스트의 전언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에만 만족하지 않고 자신의 경험 혹은 문화에서 비롯한 생각이나 몽상을 자신의 독서과정에 투사시켰을 수도 있는 것이다. 실제로 그는 근본적으로 반기독교적이고 매우 대중적인 유물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한 도발적인 정신으로 읽어나갔다. 메노키오는 독서의 과정을 통하여 이미 깊이 뿌리박힌 그의 관념이나 신념을 재확인하고, 당대의 이교도 및 인문주의자들의 종교이론을 재결합시키면서 종교적인 급진주의를 이끌어냈던 것이다. 이리하여 그는 사회의 상층을 이루는 지배집단 및 이들 상급자들에 의해 부과된 전언에 대해서 전혀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던 다른 이웃들과는 달리 자신만의 우주론을 수립할 수 있었으며, 또한 동시에 그것을 정당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메노키오가 자신의 견해를 확고히 하는 과정에서 일방적이고 독단적으로 문헌들을 변형시켰음을 발견할 수 있다.
결론
한 시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의 위대하고 핵심적인 인물과 역사의 전환점이 될 만한 큰 사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그 사회를 이룬 개개인의 삶과 그들의 노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개인이 사회를 떠나 존재할 수 없으며 사회는 개개인의 삶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역사연구의 기본적인 자세로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를 파악하고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노키오의 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개인은 자신이 속한 사회에 큰 영향을 받는다. 기존의 패러다임을 부정하며 고유의 우주관을 정립한 메노키오는 그가 살던 16세기 말 유럽사회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사상은 인쇄술의 발달과 종교개혁, 당시 지배층의 억압과 착취 등 혼란스러웠던 사회적 배경에서 기인한다. 16세기 말, 인쇄술의 발달로 메노키오는 많은 서적을 접할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사상을 정립할 수 있었다. 그는 문자, 그리고 읽기 및 글쓰기 문화를 지배층의 특권 및 지배권으로 인지하였다. 그는 지식을 독점하고 있던 부유한 상류층에 맞섰고, 이러한 입장에서 상류층의 문화를 과감하게 전유하였다.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이 시기에는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전개되면서 이전과는 다른 종교적인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고 메노키오는 그 영향을 받아 자신의 종교관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기독교가 강하게 자리잡고 있었던 시대에 비해 메노키오가 살던 16세기 말은 비교적 다양한 종교가 등장하였고 기독교 질서를 어지럽히고 있었기 때문에 메노키오와 같은 인물이 나왔을 것이다. 만약 인쇄술의 발달과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메노키오라는 인물은 등장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처럼 시대적 배경, 즉 사회는 개인의 사상과 행동 등 삶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개인 역시 사회를 구성하고 지탱하며 움직이는 원동력이 된다.
참고문헌
Carlo Ginzburg, 『Ilformaggio e i vermi』, 김정하, 유제분 역, 『치즈와 구더기』 (문학과지성사, 2001)
이영선, 「치즈와 구더기의 미시사적 접근」『서강교육』,1집 (2003), p. 245-253 (서강대학교 교육원)
김정하, 「미시사의 기록관리학적 토대 연구」 『EU연구』, 19집 (2006), p. 91-108,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EU연구소)
사진출처
http://blog.naver.com/iris850/50075467259
http://28boy.tistory.com/214
http://dbscthumb.phinf.naver.net/1069_000_1/20120619163102278_Y1PE6PX5I.jpg/hf11_187_i1.jpg?type=m48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