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마음열기교육의 필요성
Ⅱ. 마음열기교육의 목적
Ⅲ. 마음열기교육의 기대효과
Ⅳ. 마음열기교육의 교육사례1(일기쓰기)
1. 선생님께 하고 싶은 말 쓰기
2. 친구 칭찬하기
3. 사랑의 편지쓰기
Ⅴ. 마음열기교육의 교육사례2(추천도서)
1. 트레인 스포팅(Train Spotting-어빈 웰시)
2. 가족 시네마(재일교포 작가 유미리)
3. 속삭이는 사람(The Horse Whisperer-니콜라스 에번스)
Ⅵ. 마음열기교육의 교육사례3(달라이라마 마음공부)
참고문헌
Ⅱ. 마음열기교육의 목적
Ⅲ. 마음열기교육의 기대효과
Ⅳ. 마음열기교육의 교육사례1(일기쓰기)
1. 선생님께 하고 싶은 말 쓰기
2. 친구 칭찬하기
3. 사랑의 편지쓰기
Ⅴ. 마음열기교육의 교육사례2(추천도서)
1. 트레인 스포팅(Train Spotting-어빈 웰시)
2. 가족 시네마(재일교포 작가 유미리)
3. 속삭이는 사람(The Horse Whisperer-니콜라스 에번스)
Ⅵ. 마음열기교육의 교육사례3(달라이라마 마음공부)
참고문헌
본문내용
련법>, 11세기 티벳 성자 랑리그 탕파의 <마음공부에 대한 여덟 구절> 다시 말해 달라이 라마가 들려주는 \'티벳 불교의 실전 명상 입문서\' 정도로 볼 수 있겠다. 명상에 관심이 많은 편인데, 실질적인 수행 방법을 알려줘서 무척 흥미가 있었다.(불교의 명상은 눈 감고 벽보고 아무 생각 안하는 것이라 생각할지도 모르는데, 명상은 수많은 사유를 통한 마음의 훈련이다.)
전반부는 다른 명상 서적들과 같은 내용이다. 물론, 읽을 때 마다 새로우며, 한 줄 읽는 것만으로도 명상이 되는 주옥같은 글들이다. 중반부부터 명상법이 등장하는데, 티벳 불교의 \'깊이\' 수련법이다. \'깊이\'의 명상은 지혜를 닦는 수련을 말하는데, 그 내용을 보면 \'분석명상\'과 \'집중명상\'으로 나뉘고 있다. 분석 명상은 하나의 주제에 관해 깊은 사유를 통해 새롭고 지혜로운 통찰을 얻는 것이고, 집중 명상은 이 통찰을 명상을 통해 몸으로 아는 지식을 만드는 것이다. 뇌 과학적으로 풀어보면, 분석 명상은 두뇌의 뉴런 네트워크의 새로운 패턴을 만드는 것이고, 집중명상은 이 패턴을 강화하는 훈련에 해당한다. 또, \'깊이\'의 수련 중 지혜를 기르기 위해 집중력을 키우는 명상으로 \'고요히 머물기\' 라는 깊이 명상법이 있다
이 \'깊이 명상\'이 개인의 덕과 지혜를 완성하는 길이라면, 또 다른 것으로 \'넓이\'의 수련이 있는데, 이것은 \'자비\'의 길에 해당한다. 즉, 우리가 알고 있던 소승 불교는 깊이의 수련으로 지혜를 얻어 깨달음을 얻는 것이고, 대승 불교는 넓이의 수련인 \'자비\'를 통해 깨달음으로 가는 얻는 것이다. 내 아직 작은 그릇으로 대승 불교처럼 \'중생을 구제 하리라!!\'는 마음은 꿈도 못 꾸겠다. 그러나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관계하며 사랑을 주고받는 데에서 인간이 가장 큰 기쁨을 느낀다는 것은 깊이 이해하고 있기에, 이 \'자비\'라는 덕목에 계속 투자를 해보기로 한다.
참고문헌
- 김귀성, 마음공부와 도덕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 김동철, 더불어 사는 삶을 구현하기 위한 마음열기 학습활동의 실천, 강원도교육청, 2002
- 김용환, 『마음의 창 열기』체험 활동을 통한 사회성 향상 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2005
- 정귀생, \'마음열기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실천, 한국교육생산성연구소, 1998
- 최일도, 마음열기, 중앙M&B, 2003
- 황금중,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마음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 2010
전반부는 다른 명상 서적들과 같은 내용이다. 물론, 읽을 때 마다 새로우며, 한 줄 읽는 것만으로도 명상이 되는 주옥같은 글들이다. 중반부부터 명상법이 등장하는데, 티벳 불교의 \'깊이\' 수련법이다. \'깊이\'의 명상은 지혜를 닦는 수련을 말하는데, 그 내용을 보면 \'분석명상\'과 \'집중명상\'으로 나뉘고 있다. 분석 명상은 하나의 주제에 관해 깊은 사유를 통해 새롭고 지혜로운 통찰을 얻는 것이고, 집중 명상은 이 통찰을 명상을 통해 몸으로 아는 지식을 만드는 것이다. 뇌 과학적으로 풀어보면, 분석 명상은 두뇌의 뉴런 네트워크의 새로운 패턴을 만드는 것이고, 집중명상은 이 패턴을 강화하는 훈련에 해당한다. 또, \'깊이\'의 수련 중 지혜를 기르기 위해 집중력을 키우는 명상으로 \'고요히 머물기\' 라는 깊이 명상법이 있다
이 \'깊이 명상\'이 개인의 덕과 지혜를 완성하는 길이라면, 또 다른 것으로 \'넓이\'의 수련이 있는데, 이것은 \'자비\'의 길에 해당한다. 즉, 우리가 알고 있던 소승 불교는 깊이의 수련으로 지혜를 얻어 깨달음을 얻는 것이고, 대승 불교는 넓이의 수련인 \'자비\'를 통해 깨달음으로 가는 얻는 것이다. 내 아직 작은 그릇으로 대승 불교처럼 \'중생을 구제 하리라!!\'는 마음은 꿈도 못 꾸겠다. 그러나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관계하며 사랑을 주고받는 데에서 인간이 가장 큰 기쁨을 느낀다는 것은 깊이 이해하고 있기에, 이 \'자비\'라는 덕목에 계속 투자를 해보기로 한다.
참고문헌
- 김귀성, 마음공부와 도덕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 김동철, 더불어 사는 삶을 구현하기 위한 마음열기 학습활동의 실천, 강원도교육청, 2002
- 김용환, 『마음의 창 열기』체험 활동을 통한 사회성 향상 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2005
- 정귀생, \'마음열기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실천, 한국교육생산성연구소, 1998
- 최일도, 마음열기, 중앙M&B, 2003
- 황금중,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마음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주제중심교육(주제탐구학습, 주제학습)의 정의와 의의, 주제중심교육(주제탐구학습, 주제학습...
전래놀이교육(전통놀이학습, 민속놀이지도)의 의미, 전래놀이교육(전통놀이학습, 민속놀이지...
한국어교육의 특징, 한국어교육의 정체성, 한국어교육의 목표, 한국어교육의 교재구성, 한국...
열린교육의 제 정의, 열린교육의 장점, 열린교육의 기본 구성, 열린교육의 학습지 활용, 열린...
한국전통미술교육(전통미술지도)의 정의와 의의, 한국전통미술교육(전통미술지도)의 지도내용...
초등학교교육과정(초등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 초등학교교육과정(초등교육과정)의 개정 배...
미술과교육 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미술과교육 감상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미술과교육 미...
성교육, 옛날이야기교육 교수자료(학습자료), 인성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교수자료...
유치원교육과정의 목적, 유치원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유치원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유...
도덕교육(도덕과교육)의 필요성, 도덕교육(도덕과교육)의 관점, 도덕교육(도덕과교육)의 덕목...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에라스무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페스탈로치와 바제도, ...
바른생활교과교육의 성격, 바른생활교과교육의 기능, 바른생활교과교육의 목표, 바른생활교과...
도덕과교육과정(도덕교육과정)의 개정 취지, 도덕과교육과정(도덕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