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친구관계(인간관계, 교우관계)의 개념
Ⅲ. 친구관계(인간관계, 교우관계)의 중요성
Ⅳ. 친구관계(인간관계, 교우관계)의 형성요인
1. 유사성
2. 공간적 근접성
3.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개인적 평가
Ⅴ. 친구관계(인간관계, 교우관계)의 역할
참고문헌
Ⅱ. 친구관계(인간관계, 교우관계)의 개념
Ⅲ. 친구관계(인간관계, 교우관계)의 중요성
Ⅳ. 친구관계(인간관계, 교우관계)의 형성요인
1. 유사성
2. 공간적 근접성
3.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개인적 평가
Ⅴ. 친구관계(인간관계, 교우관계)의 역할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요한 역할을 한다(장정원, 1996).
셋째, 친구관계는 힘들거나 괴로울 때 아동과 성인 모두에게 지원적인 사회적 관계가 된다. 많은 연구에서 성인들이 편안하고 충고를 해주고 도움을 주는 친구를 지각했을 때 성공적으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것을 발견했다(Heller & Swindle, 1983; Kessler, Price, & Wortman, 1985; Turner, 1983). 이와 마찬가지로 어린이들 또한 친구관계를 활동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신의를 지키고 애착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서로 돕는 행동을 하는 사회적 지원관계(social supportive relationship)로 인식하고 있었다(백화정, 1989; 임아화, 1991; Berndt & Perry, 1986).
장애아동에게 일반아동과의 친구관계 또한 사회적 지원 역할을 할 수 있다. 정상적인 삶의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며 지역사회에 통합된 생활을 가능하게 한다(Strully & Strully, 1985). 또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친구관계 정립은 통합에 필요한 대부분의 자연적인 지원을 제공하며 통합을 성공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Forest, 1987; Strully, 1987, 1992; York & Vandercook, 1988). 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의 친구관계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하는 것 이상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많은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게 되기 때문에(Perske, 1988) 서비스나 가족에 보다 덜 의존하게 된다(O\'Connell, 1988). 이러한 친구관계는 장애인이 성장하고 학교에 가고 지역사회에서 일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사회적 관계망의 기초가 되며(Strully & Strully, 1985; Taylor, Bikleb & Knoll, 1987) 특히 학교 친구는 성인이 되었을 때 지원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 구민정, 관계적 자기와 우울 : 친구 관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8
- 김은정, 한국판 친구관계 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010
- 김혜순, 부부갈등이 아동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2009
- 김현옥, 초등학생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2009
- 임지원, 중학생의 애착유형과 성별에 따른 친구관계, 단국대학교, 2008
- 최승은, 친구관계 유형에 따른 갈등해결전략 및 친구관계 만족도, 가톨릭대학교, 2006
셋째, 친구관계는 힘들거나 괴로울 때 아동과 성인 모두에게 지원적인 사회적 관계가 된다. 많은 연구에서 성인들이 편안하고 충고를 해주고 도움을 주는 친구를 지각했을 때 성공적으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것을 발견했다(Heller & Swindle, 1983; Kessler, Price, & Wortman, 1985; Turner, 1983). 이와 마찬가지로 어린이들 또한 친구관계를 활동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신의를 지키고 애착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서로 돕는 행동을 하는 사회적 지원관계(social supportive relationship)로 인식하고 있었다(백화정, 1989; 임아화, 1991; Berndt & Perry, 1986).
장애아동에게 일반아동과의 친구관계 또한 사회적 지원 역할을 할 수 있다. 정상적인 삶의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며 지역사회에 통합된 생활을 가능하게 한다(Strully & Strully, 1985). 또한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친구관계 정립은 통합에 필요한 대부분의 자연적인 지원을 제공하며 통합을 성공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Forest, 1987; Strully, 1987, 1992; York & Vandercook, 1988). 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의 친구관계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하는 것 이상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많은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게 되기 때문에(Perske, 1988) 서비스나 가족에 보다 덜 의존하게 된다(O\'Connell, 1988). 이러한 친구관계는 장애인이 성장하고 학교에 가고 지역사회에서 일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사회적 관계망의 기초가 되며(Strully & Strully, 1985; Taylor, Bikleb & Knoll, 1987) 특히 학교 친구는 성인이 되었을 때 지원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 구민정, 관계적 자기와 우울 : 친구 관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8
- 김은정, 한국판 친구관계 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010
- 김혜순, 부부갈등이 아동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2009
- 김현옥, 초등학생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2009
- 임지원, 중학생의 애착유형과 성별에 따른 친구관계, 단국대학교, 2008
- 최승은, 친구관계 유형에 따른 갈등해결전략 및 친구관계 만족도, 가톨릭대학교,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