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생산비용의 요소
1. 물류비
2. 단위 생산비
3. 가동준비비용
4. 품절비
5. 재고비
6. 잔존 가치와 처분비용
Ⅲ. 생산비용의 활용
Ⅳ. 생산비용의 함수
1. 비협력적 독립형
1) 부품업체
2) 제조업체
3) 제조업체의 부품 주문량과 완제품 생산량 관계
2. 정보 공유형
1) 부품업체
2) 제조업체
3. 통합형
Ⅴ. 생산비용의 분석방법
참고문헌
Ⅱ. 생산비용의 요소
1. 물류비
2. 단위 생산비
3. 가동준비비용
4. 품절비
5. 재고비
6. 잔존 가치와 처분비용
Ⅲ. 생산비용의 활용
Ⅳ. 생산비용의 함수
1. 비협력적 독립형
1) 부품업체
2) 제조업체
3) 제조업체의 부품 주문량과 완제품 생산량 관계
2. 정보 공유형
1) 부품업체
2) 제조업체
3. 통합형
Ⅴ. 생산비용의 분석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다 작을 때에는 주문량만큼 전량 납품을 받기 때문에 부품 주문량과 완제품 생산량이 같게 된다. 부품업체의 재고 수준보다 더 많이 주문할 때는 부품재고 수준만큼 생산하게 된다. 최종 제품의 수요가 1차 생산을 초과하여 발생할 때 2차 생산을 고려하는 데 이 경우에도 1차 주문시 부품업체의 재고 수준이 주문량보다 많을 때에만 2차 생산을 하게 되며 부품업체는 제조업체로부터 2차 주문을 받고 현 재고수준으로 충족되지 못하는 나머지 부문을 생산하여 주문을 전량 만족시키게 된다. 따라서
i) 경우: = , =
ii) < 경우: = , = 0.
또한 2차 주문은 1차 주문량이 부품업체 1차 생산량보다 크거나 제조업체 1차 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하는 경우는 2차 생산은 없고 2차 주문량은 0이 된다. 1차 주문량보다 부품업체 생산량이 크고 제조업체 1차 생산량이 수요보다 적을 때 2차 주문을 하게 되고 부품업체는 주문량을 완납할 수 있는 양을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조업체의 2차 주문량과 생산량은 같게 된다. 따라서
i)
ii)
2. 정보 공유형
정보공유형은 부품업체와 제조업체간 비협력적 관계에서 탈피하여 생산운영과 관련한 일부 정보를 공유하는 협력단계를 의미한다. 최종제품 수요에 대한 정보를 제조업체와 부품업체가 공유함으로써 부품업체는 부품수요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확보하게되어 생산운영 비용이 감소될 수 있고 제조업체의 재고 상황과 부품업체의 재고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제조업체의 부품공급 측면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생산계획에 관한 정보를 가능한 미리 알려주어 해당 부품에 대한 차질없는 공급을 부품업체가 담당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정보 공유형은 공급사슬에서 정보왜곡 현상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최종수요정보의 비공유 상황을 개선하여 최종 제품 수요 정보와 생산계획을 부품업체에게 제공하는 제조업체와 부품업체간의 정보 공유를 통한 협력 형태를 의미한다.
1) 부품업체
부품업체의 생산운영비용 중 생산비용 P1은 생산량, 단위 생산비 그리고 생산준비 비용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비협력적 관계인 경우와 정보공유형 관계로 발전하는 경우에도 이들 요소에 눈에 띄는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생산비용은 식(1)과 동일하게 된다.
두 번째로 품절비용인데 부품업체가 제조업체의 생산계획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 부재로 인한 불가피한 품절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부품업체는 제조업체와 공급사슬 전체의 비용 최소화라는 진화된 단계까지 진입되기 이전 상태이므로 부품업체는 독립적으로 비용 최소화를 추구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업체의 비용최소화 측면에서 품절은 발생될 수 있다. 식(2)와는 달리 이 경우 품절비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1(x) = (9)
이것은 제조자의 주문량이 이미 부품업체에게 알려진 상황하에서 부품업체의 생산량 결정에 따라 품절비용이 결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부품업체의 생산량이 1차 주문을 초과하는 경우 발생되는 비용을 나타내고 있다.
H1(x) = +
+ (10)
여기서 첫 번째 항은 재고비용을 나타내고 둘째 항과 셋째 항은 추가생산비용을, 넷째 항은 부품업체의 생산량이 1차주문과 2차 주문 모두 합한 양보다 큰 경우 처분에 따른 비용이다. 따라서 정보공유상황하에서 부품업체의 총 생산운영비용은
TC1(x)= P1(x)+S1(x)+H1(x)(11)
이 된다.
2) 제조업체
제조업체 경우 최종수요에 대한 확률적 요인이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 부품공급에 대한 확률적 요인은 정보공유를 통하여 확정적 상황으로 의사결정 환경이 전환된다. 식(6)과 (7)에서 확률적 요인인 가 확정적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업체의 생산량에 따라 S2()과 A2(, )이 결정되어 총 생산비용이 변화하여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12)
로 표시되고 식(6)과 (7)에서 대체하게 된다.
3. 통합형
통합형은 부품업체와 제조업체간의 생산운영 의사결정을 독립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공급사슬 상에 있는 부품업체와 제조업체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공급사슬의 생산운영 비용을 최소화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총비용은 정보공유형 경우의 부품업체와 제조업체의 총 생산비용을 최소화하는 의사결정을 추구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총생산비용은
= + ++
++
+ + +
+ +
+ .
여기서 는 식(11)과 식(8)을 합하고 로 대치한 것이다.
Ⅴ. 생산비용의 분석방법
총비용(TC) = 총가변비용(TVC) + 총고정비용(TFC)
한계비용(MC) : 생산량을 한 단위 증가할때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비용
TC TFC TVC
평균비용(AC) = = + = AFC + AVC
Q Q Q
ΔTC ΔTFC ΔTVC ΔTVC
MC = = + = (ΔTFC = 0)
ΔQ ΔQ ΔQ ΔQ
TFC TVC
AFC = , AVC =
Q Q
고정비용 = 침몰비용
* 단기비용곡선 사이의 관계 및 특성
① AC, AVC, MC곡선 모두가 U자형을 이룬다.
② 평균비용에는 평균가변비용과 평균고정비용도 포함되기 때문에 AVC는 항상 AC곡선 아래에 위치한다.
③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AFC는 계속 감소한다.
④ AVC곡선의 극소점은 AC곡선의 극소점보다 왼쪽에 위치하게 된다.
⑤ AC곡선의 극소점과 AVC곡선의 극소점을 MC곡선이 통과한다.
⑥ AC곡선이 하강할 때는 MC는 AC보다 낮으나 AC곡선이 상승할 때는 MC는 AC보다 높다.(AC곡선의 극소점에서 MC = AC)
⑦ AC곡선의 극소점에 대응하는 생산량을 적정규모 생산량 또는 공장능력 생산량이라 한다.
참고문헌
- 강화순(2006), 생산성 향상으로 생산 비용을 줄이자, 현대양계사 현축
- 김정(2010), 생산계획 및 통제, 형설출판사
- 이현재(2011), 생산성과 생산요소비용에 의한 환율결정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연구원
- 은하출판사 편집국(2011), 핵심 생산관리, 은하출판사
- 한주윤 외 1명(2000), 생산 시스템에서 제조 비용 분석 모델의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 Armen A. Alchian 외 1명(1975), 비용과 생산계획 1975년, 서강대학교
i) 경우: = , =
ii) < 경우: = , = 0.
또한 2차 주문은 1차 주문량이 부품업체 1차 생산량보다 크거나 제조업체 1차 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하는 경우는 2차 생산은 없고 2차 주문량은 0이 된다. 1차 주문량보다 부품업체 생산량이 크고 제조업체 1차 생산량이 수요보다 적을 때 2차 주문을 하게 되고 부품업체는 주문량을 완납할 수 있는 양을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조업체의 2차 주문량과 생산량은 같게 된다. 따라서
i)
ii)
2. 정보 공유형
정보공유형은 부품업체와 제조업체간 비협력적 관계에서 탈피하여 생산운영과 관련한 일부 정보를 공유하는 협력단계를 의미한다. 최종제품 수요에 대한 정보를 제조업체와 부품업체가 공유함으로써 부품업체는 부품수요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확보하게되어 생산운영 비용이 감소될 수 있고 제조업체의 재고 상황과 부품업체의 재고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제조업체의 부품공급 측면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생산계획에 관한 정보를 가능한 미리 알려주어 해당 부품에 대한 차질없는 공급을 부품업체가 담당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정보 공유형은 공급사슬에서 정보왜곡 현상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최종수요정보의 비공유 상황을 개선하여 최종 제품 수요 정보와 생산계획을 부품업체에게 제공하는 제조업체와 부품업체간의 정보 공유를 통한 협력 형태를 의미한다.
1) 부품업체
부품업체의 생산운영비용 중 생산비용 P1은 생산량, 단위 생산비 그리고 생산준비 비용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비협력적 관계인 경우와 정보공유형 관계로 발전하는 경우에도 이들 요소에 눈에 띄는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생산비용은 식(1)과 동일하게 된다.
두 번째로 품절비용인데 부품업체가 제조업체의 생산계획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 부재로 인한 불가피한 품절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부품업체는 제조업체와 공급사슬 전체의 비용 최소화라는 진화된 단계까지 진입되기 이전 상태이므로 부품업체는 독립적으로 비용 최소화를 추구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업체의 비용최소화 측면에서 품절은 발생될 수 있다. 식(2)와는 달리 이 경우 품절비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1(x) = (9)
이것은 제조자의 주문량이 이미 부품업체에게 알려진 상황하에서 부품업체의 생산량 결정에 따라 품절비용이 결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부품업체의 생산량이 1차 주문을 초과하는 경우 발생되는 비용을 나타내고 있다.
H1(x) = +
+ (10)
여기서 첫 번째 항은 재고비용을 나타내고 둘째 항과 셋째 항은 추가생산비용을, 넷째 항은 부품업체의 생산량이 1차주문과 2차 주문 모두 합한 양보다 큰 경우 처분에 따른 비용이다. 따라서 정보공유상황하에서 부품업체의 총 생산운영비용은
TC1(x)= P1(x)+S1(x)+H1(x)(11)
이 된다.
2) 제조업체
제조업체 경우 최종수요에 대한 확률적 요인이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 부품공급에 대한 확률적 요인은 정보공유를 통하여 확정적 상황으로 의사결정 환경이 전환된다. 식(6)과 (7)에서 확률적 요인인 가 확정적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업체의 생산량에 따라 S2()과 A2(, )이 결정되어 총 생산비용이 변화하여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12)
로 표시되고 식(6)과 (7)에서 대체하게 된다.
3. 통합형
통합형은 부품업체와 제조업체간의 생산운영 의사결정을 독립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공급사슬 상에 있는 부품업체와 제조업체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공급사슬의 생산운영 비용을 최소화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총비용은 정보공유형 경우의 부품업체와 제조업체의 총 생산비용을 최소화하는 의사결정을 추구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총생산비용은
= + ++
++
+ + +
+ +
+ .
여기서 는 식(11)과 식(8)을 합하고 로 대치한 것이다.
Ⅴ. 생산비용의 분석방법
총비용(TC) = 총가변비용(TVC) + 총고정비용(TFC)
한계비용(MC) : 생산량을 한 단위 증가할때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비용
TC TFC TVC
평균비용(AC) = = + = AFC + AVC
Q Q Q
ΔTC ΔTFC ΔTVC ΔTVC
MC = = + = (ΔTFC = 0)
ΔQ ΔQ ΔQ ΔQ
TFC TVC
AFC = , AVC =
Q Q
고정비용 = 침몰비용
* 단기비용곡선 사이의 관계 및 특성
① AC, AVC, MC곡선 모두가 U자형을 이룬다.
② 평균비용에는 평균가변비용과 평균고정비용도 포함되기 때문에 AVC는 항상 AC곡선 아래에 위치한다.
③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AFC는 계속 감소한다.
④ AVC곡선의 극소점은 AC곡선의 극소점보다 왼쪽에 위치하게 된다.
⑤ AC곡선의 극소점과 AVC곡선의 극소점을 MC곡선이 통과한다.
⑥ AC곡선이 하강할 때는 MC는 AC보다 낮으나 AC곡선이 상승할 때는 MC는 AC보다 높다.(AC곡선의 극소점에서 MC = AC)
⑦ AC곡선의 극소점에 대응하는 생산량을 적정규모 생산량 또는 공장능력 생산량이라 한다.
참고문헌
- 강화순(2006), 생산성 향상으로 생산 비용을 줄이자, 현대양계사 현축
- 김정(2010), 생산계획 및 통제, 형설출판사
- 이현재(2011), 생산성과 생산요소비용에 의한 환율결정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연구원
- 은하출판사 편집국(2011), 핵심 생산관리, 은하출판사
- 한주윤 외 1명(2000), 생산 시스템에서 제조 비용 분석 모델의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 Armen A. Alchian 외 1명(1975), 비용과 생산계획 1975년, 서강대학교
추천자료
전라북도청 조직
미시경제학의 정부과 시장에 대한 자료입니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M&A(Mergers & Acquisitions) 성공과 실패사례를 통해 살펴본 M&A의 의의
미국기업의 성공요인이 우리나라에 끼친 영향
[원가회계]ABC(활동기준원가계산)
전략적 제휴의 사례 연구
미디어와 현대사회 -미디어 산업의 집중과 독점화
공기업(공사)의 개념, 특징, 공기업(공사)의 현황, 공기업(공사) 포스코(POSCO, 포항제철), ...
삼성(삼성그룹) 발전과정, 삼성(삼성그룹) 소유구조, 삼성(삼성그룹) 창립자(호암 이병철), ...
글로벌무역으로 인한 시장변화(근대무역과 현대무역)와 무역대금의 방식의 변천에 대해 서술 ...
부동산 감정평가(토지의 감정평가, 건물의 감정평가, 산림, 공장, 광산, 자동차, 중기의 감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