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제조기업][수익성][제조업 수익성 지표]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선행연구, 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지표, 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연구 사례, 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산출방법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조업][제조기업][수익성][제조업 수익성 지표]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선행연구, 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지표, 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연구 사례, 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산출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선행연구
1. Kester의 연구
2. Tittman 과 Wessels 의 연구
3. Barton 과 Gordon 의 연구
4. Baskin의 연구

Ⅲ. 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지표
1. 지수의 정의
2. 투입-산출물가지수의 도출
1) 산출물가지수
2) 투입물가지수
3. 수익성의 지표

Ⅳ. 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연구 사례
1. 연구의 의의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안

Ⅴ. 제조업(제조기업) 수익성의 산출방법
1. 투입????산출물가지수의 작성
1) 산업연관 물가지수의 편제
2) 금리와 임금
3) 가중치의 결정
4) 지수의 작성
2. 수익성의 추이와 변동요인 분석
1) 수익성의 추이
2) 수익성 변동의 요인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 국내표와 수입표의 각각 260개 기본부문 투입구조를 합하여 작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산출물가지수의 가중치는 제조업 기본부문 260개의 배분구조 중 ‘수출’과 ‘총산출-수출’로 하였다.
본고는 투입물가지수에는 금리지수와 임금지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임금지수의 가중치는 앞에 언급된 제조업의 투입구조중 ‘피용자보수’를 적용하였다. 금리지수에 대한 가중치는 산업연관표의 투입구조에 명시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은 추계방법에 의하였다:
.
제조업금융비용비중은 기업경영분석 ‘지급이자와 할인료’ 및 ‘회사채이자’의 전체 매출액중 비중인 5.57%가 적용되었다.
4) 지수의 작성
제조업은 260개(46~305)의 기본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산업이므로 앞에서 도출된 1개 산업에 대한 산출물가지수의 식(12)를 변형한 식(22)의 형태로 나타나며, 임금지수와 금리지수를 포함하는 투입물가지수는 식(23)의 형태로 나타난다:
(22)
, (23)
위에서 는 각각 총가중치에서 노동비용과 금융비용의 가중치 비중을 나타낸다. 산식(22), (23)에 의하여 작성된 제조업 투입-산출물가지수는 사실 投入物價指數와 産出物價指數간의 상대적 위치만으로도 收益性에 대한 대강의 판단이 가능하다. 즉, 産出物價指數가 投入物價指數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 收益性은 기준년도에 비해 저하되었다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후 産出物價指數의 投入物價指數에 대한 상대적인 하락으로 收益性은 하락하기 시작하였고 IMF 외환위기 이후 産出物價指數와 投入物價指數는 동일한 방향의 충격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2. 수익성의 추이와 변동요인 분석
1) 수익성의 추이
作成된 收益性指數의 현실 설명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관련 통계와의 비교를 시도하였으나, 月週期의 收益性 지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부득이 연간 단위로 발표되는 기업경영분석의 매출액경상이익율과 비교해 보았다. 따라서 비교시점이 충분치는 못하지만 전체적으로 제조업의 收益性指數는 매출액경상이익율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收益性에 비해 매출액경상이익율의 하락폭이 큰 이유는 收益性지표의 포괄범위에는 들어있지 않은 감가상각비, 대손상각비가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것이 본고에서 작성된 物價指數에 의한 收益性지표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2) 수익성 변동의 요인
收益性指數의 변동요인을 定量的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소위 “寄與度分析”이 필수적이다. 기여도분석이란 전체 증가율을 개별 증가율로 분해하는 것으로 개별 증가율들이 전체 증가율에 대한 ‘기여도’가 된다. 사실, 投入-産出物價指數의 작성은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에 의한 방법 모두 가능하나, 기여도분석의 가능성 때문에 기하평균 방식을 선택한 것이다. 기하평균 방식에 의한 수익성지수 산식의 양변에 대수(logarithm)를 취하면 바로 기여도 분석의 기본식이 된다. 즉, 식(21)을 변형한 식(24) 좌우변 각항은 로그증가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변 총지수의 로그증가율이 우변 개별 로그증가율로 분해된 것으로 해석된다.
(24)
對稱的이며 加法的인 로그증가율이 보다 과학적이라고 평가되지만 %증가율에 대한 慣行으로 일반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1) 생산자물가의 기여도
생산자 판매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그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의 收益性은 개선이 되지만 그 제품을 중간재로 투입하는 산업의 收益性은 악화될 것이다. 제조업 수익성지수의 전월비에 대한 生産者物價指數의 기여도를 나타내는 생산자물가지수는 투입물가지수와 산출물가지수를 통하여 收益性에 대해 거의 같은 규모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로 상쇄되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생산자물가지수: 산출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 투입물가지수’는 生産者物價指數가 投入物價指數와 産出物價指數를 통하여 收益性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측정한 것인데 시각적으로도 매월의 전월비 기여도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관계수는 0.988에 달한다. 산출물가지수는 ‘+’로 투입물가지수는 ‘-’로 수익성지수에 작용하며 그 크기가 같으므로 양자는 상쇄된다 할 수 있다. 기여도 계산에 사용된 산식은 다음과 같다.
생산자물가지수→투입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산출물가지수:
(2) 수출입물가의 기여도
원화 換率의 상승은 원화표시 수출가격과 중간재에 대한 수입가격을 변동시켜 기업의 수입과 비용에 양면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收益性 전월비에 대한 수출물가지수와 수입물가지수 두 기여도는 收益性에 대해 거의 같은 규모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상관계수=0.943) 서로 상쇄되는 경향이 있다 할 수 있다.
수출물가지수→산출물가지수:
수입물가지수→투입물가지수:
(3) 임금과 금리의 기여도
다음은 賃金과 金利의 수익성지수 전월비에 대한 기여도이다. 앞에서 환율과 생산자물가지수의 경우 모두 투입물가와 산출물가에 공통적으로 작용하여 상호 相殺되는 경향이 있지만 投入物價指數에만 작용하는 賃金과 金利의 기여도는 상당히 독립적으로 작용하여(상관계수=-0.232) 상쇄현상이 없으며 동기간 기여도의 규모에 있어서도 생산자물가지수, 수출입물가지수보다 월등히 커서 6월 이후 收益性 변동을 대부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6월 이후 연말까지 수익성이 다소 개선되는 것은 주로 金利의 하락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1월 이후 收益性이 다시 하락하기 시작한 것은 賃金상승률이 다소 반등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임금지수→투입물가지수:
금리지수→투입물가지수:
참고문헌
이수일(2010), 제조업 부문 개별 산업의 시장집중과 시장성과, 성균관대학교
장선미 외 1명(2009), 기업의 혁신성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제조업 기술혁신기업을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장기훈(2011), 한국 전자 제조업의 부채비율, 유동성, 수익성 결정 요인에 관한 재무 분석, 포항공과대학교
조명자(2003), 제조업의 노무비율과 수익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충주대학교
최용재(2009), 요소가격이 제조업 수익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최용재(2010), 한국 제조업의 비용구조 분석과 요인분해, 한국경제연구학회
  • 가격7,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7.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