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방송 조사의 목적
2. 방송 조사의 변화 요인
3. 양적 방송 조사
1) 세계 주요 국가의 시청률 조사 제도 유형 주도 기관의 유형
2) 한국 방송 시청률 조사의 역사
3) 시청률 조사의 개념과 종류
(1) 전자 기록 장치를 이용한 조사
(가) 오디오 미터 특징 장점 단점
(나)피플미터 특징 장점 단점
(2) 일기식 조사
(3) 전화 조사
(가) 전화 화상 밥벙
(나) 동시 조사 방법 장점 단점
(4) 우편 조사 장점 단점
(5) 면접 조사 장점 단점
4) 시청률 해석상의 유의 사항
5) 시청률 계산법
(1) 총 시청 가구수(HUT : House Using Television/People Using Radio) (2) 시청률(rating)
(3) 개인 시청률(PUT : People Using Television/PUR : People Using Radio)
(4) 점유율(share)
(5) 시청 가구 1천 세대(세대,명)당 광고 비용(CPM 또는 CPT)
(6) 시청률 포인트당 광고 요금(CPP : Cost Per Point)
(7) 15분 평균 수용자(AQH : Average Quarter Hour)
(8) 누적 수용자(cume : cumulative audience estimate)
(9) 도달률과 도달 빈도(reach and frequency)
(10) 총 시청취율 포인트(GRP : Gross Rating Point)
(11) 수용자 전환율(audience turnover)
4. 질적 방송 조사
1) 포커스 그룹 인터뷰
2) 영국 방송계의 시청자'평가 지수(AI : Appreciation Index)'
3) Q 방법
4) 프로그램 테스트
2. 방송 조사의 변화 요인
3. 양적 방송 조사
1) 세계 주요 국가의 시청률 조사 제도 유형 주도 기관의 유형
2) 한국 방송 시청률 조사의 역사
3) 시청률 조사의 개념과 종류
(1) 전자 기록 장치를 이용한 조사
(가) 오디오 미터 특징 장점 단점
(나)피플미터 특징 장점 단점
(2) 일기식 조사
(3) 전화 조사
(가) 전화 화상 밥벙
(나) 동시 조사 방법 장점 단점
(4) 우편 조사 장점 단점
(5) 면접 조사 장점 단점
4) 시청률 해석상의 유의 사항
5) 시청률 계산법
(1) 총 시청 가구수(HUT : House Using Television/People Using Radio) (2) 시청률(rating)
(3) 개인 시청률(PUT : People Using Television/PUR : People Using Radio)
(4) 점유율(share)
(5) 시청 가구 1천 세대(세대,명)당 광고 비용(CPM 또는 CPT)
(6) 시청률 포인트당 광고 요금(CPP : Cost Per Point)
(7) 15분 평균 수용자(AQH : Average Quarter Hour)
(8) 누적 수용자(cume : cumulative audience estimate)
(9) 도달률과 도달 빈도(reach and frequency)
(10) 총 시청취율 포인트(GRP : Gross Rating Point)
(11) 수용자 전환율(audience turnover)
4. 질적 방송 조사
1) 포커스 그룹 인터뷰
2) 영국 방송계의 시청자'평가 지수(AI : Appreciation Index)'
3) Q 방법
4) 프로그램 테스트
본문내용
가구 1천 세대당 광고 비용은 1천명의 시청자에게 도달 하는데 드는 광고 비용(CPT :Cost Per Thousand)이다.
특정 프로그램 광고 비용
시청취 가구당 광고 요금 추정치 =
특정 프로그램 시청자 수(천 명/가구 단위)
(6) 시청률 포인트당 광고 요금(CPP : Cost Per Point)
시청률 포인트당 광고 요금은 특정 방송국 시청 가구수를 광고주의 광고 목표 시청자로 삼고 있는 목표 대상층 수의 1%로 나눈 것을 시청률로 계산한 뒤 각 방송국위 광고 요금을 이 시청률로 나눈 값이다.
(7) 15분 평균 수용자(AQH : Average Quarter Hour)
15분 평균 수용자 추정치는 15분 단위의 시간 분할 중에 적어도 5분간 특정 채널을 맞춘 사람수의 추정치이다.
(8) 누적 수용자(cume : cumulative audience estimate)
누적 수용자 추정치는 시청률과 점유율에 나타나지 않는 소규모 수용자의 측정에 적합한 방식이다.
(9) 도달률과 도달 빈도(reach and frequency)
도달률은 보급률이나 순수 수용자 크기를 지칭하며, 도달 빈도는 특정인이 특정 광고나 프로그램에 노출된 횟수를 말한다.
(10) 총 시청취율 포인트(GRP : Gross Rating Point)
총 시청률 포인트는 2개 이상의 시간대 동안 방송국의 전체 시청취율로서 총 시청자 수를 말한다. 광고 구매는 보통 총 시청취율을 이용한다.
(11) 수용자 전환율(audience turnover)
수용자 전환율은 청취자가 방송국 채널을 바꾸는 횟수를 말한다. 수용자 전환율 공식은 방송국의 누적 수용자를 전체 하루 평균인원수로 나눈다
4. 질적 방송 조사
질적 조사 : 특정 방송국 및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의 다양한 주관적 평가를 조사 하는 방법
1) 포커스 그룹 인터뷰
각계 각층의 대표자로 10 ~ 12명을 조사대상으로 표집한다. 이들이 통제된 토론에 참여하여 한 사람의 중재자가 미리 결정된 주제에 관한 대화를 이끌고 일련의 질물과 토의 내용을 통해 조사 결과를 구조화 하는 방법이다.
2) 영국 방송계의 시청자‘평가 지수(AI : Appreciation Index)'
이 방법은 영국 상업 방송의 등장에 따른 시청률 경쟁의 심화 방지, 프로그램의 평가, 프로그램의 질적 경쟁을 위해 고안되었다. 이 지수는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여러 척도 가운데 특히 유익성과 오락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3) Q 방법
Q 방법은 관심 분야에 대한 피조사의 주관적 관점을 조사하는 것이다. Q 방법은 대체로 조사 표본을 대상으로 부정, 긍정의 정도에 따른 척도로 특정 프로그램 및 출연자 등에 대한 주관적 평가, 인식, 태도, 선호도, 대중성, 만족도 등을 측정한다.
4) 프로그램 테스트
1단계 : 아이디어와 기획 테스트는 예비적 평가이다.
2단계 : 어프 컷 테스트에서는 작품의 모델이나 흉내를 보여주고 테스트한다.
3단계 : 제작후 테스트에서는 프로그램이나 광고에 대한 시청자의 반을을 알기 위 해 실험용 극장에서 시연한다.
특정 프로그램 광고 비용
시청취 가구당 광고 요금 추정치 =
특정 프로그램 시청자 수(천 명/가구 단위)
(6) 시청률 포인트당 광고 요금(CPP : Cost Per Point)
시청률 포인트당 광고 요금은 특정 방송국 시청 가구수를 광고주의 광고 목표 시청자로 삼고 있는 목표 대상층 수의 1%로 나눈 것을 시청률로 계산한 뒤 각 방송국위 광고 요금을 이 시청률로 나눈 값이다.
(7) 15분 평균 수용자(AQH : Average Quarter Hour)
15분 평균 수용자 추정치는 15분 단위의 시간 분할 중에 적어도 5분간 특정 채널을 맞춘 사람수의 추정치이다.
(8) 누적 수용자(cume : cumulative audience estimate)
누적 수용자 추정치는 시청률과 점유율에 나타나지 않는 소규모 수용자의 측정에 적합한 방식이다.
(9) 도달률과 도달 빈도(reach and frequency)
도달률은 보급률이나 순수 수용자 크기를 지칭하며, 도달 빈도는 특정인이 특정 광고나 프로그램에 노출된 횟수를 말한다.
(10) 총 시청취율 포인트(GRP : Gross Rating Point)
총 시청률 포인트는 2개 이상의 시간대 동안 방송국의 전체 시청취율로서 총 시청자 수를 말한다. 광고 구매는 보통 총 시청취율을 이용한다.
(11) 수용자 전환율(audience turnover)
수용자 전환율은 청취자가 방송국 채널을 바꾸는 횟수를 말한다. 수용자 전환율 공식은 방송국의 누적 수용자를 전체 하루 평균인원수로 나눈다
4. 질적 방송 조사
질적 조사 : 특정 방송국 및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의 다양한 주관적 평가를 조사 하는 방법
1) 포커스 그룹 인터뷰
각계 각층의 대표자로 10 ~ 12명을 조사대상으로 표집한다. 이들이 통제된 토론에 참여하여 한 사람의 중재자가 미리 결정된 주제에 관한 대화를 이끌고 일련의 질물과 토의 내용을 통해 조사 결과를 구조화 하는 방법이다.
2) 영국 방송계의 시청자‘평가 지수(AI : Appreciation Index)'
이 방법은 영국 상업 방송의 등장에 따른 시청률 경쟁의 심화 방지, 프로그램의 평가, 프로그램의 질적 경쟁을 위해 고안되었다. 이 지수는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여러 척도 가운데 특히 유익성과 오락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3) Q 방법
Q 방법은 관심 분야에 대한 피조사의 주관적 관점을 조사하는 것이다. Q 방법은 대체로 조사 표본을 대상으로 부정, 긍정의 정도에 따른 척도로 특정 프로그램 및 출연자 등에 대한 주관적 평가, 인식, 태도, 선호도, 대중성, 만족도 등을 측정한다.
4) 프로그램 테스트
1단계 : 아이디어와 기획 테스트는 예비적 평가이다.
2단계 : 어프 컷 테스트에서는 작품의 모델이나 흉내를 보여주고 테스트한다.
3단계 : 제작후 테스트에서는 프로그램이나 광고에 대한 시청자의 반을을 알기 위 해 실험용 극장에서 시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