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방송언어의 정의
2. 방송언어의 형식
3. 방송언어의 실태
4. 방송언어가 나아가야할 방향
Ⅲ. 결론
Ⅱ. 본론
1. 방송언어의 정의
2. 방송언어의 형식
3. 방송언어의 실태
4. 방송언어가 나아가야할 방향
Ⅲ. 결론
본문내용
것도 없고 최근 공중파 방송 오락프로그램들에서도 방송언어로는 부적합한 언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선정적인 표현, 외래어, 신조어, 지방색을 조장하는 방언까지 물론 시청자를 더욱 더 즐겁게 해주기 위해서이겠지만 어린아이들에게는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 이런 점에 있어 상상플러스는 참신한 기획이 돋보인다. 아나운서와 연예인들이 함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국어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외래어를 순수한글로 고쳐나가면서 재미와 국어교육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모두가 좋아하는 오락프로그램과 방송언어의 교육성을 잘 전목 시킨 가장 이상적인 프로그램이 아니가 하고 생각한다. 상상플러스와 같이 방송언어의 교육성을 계속 연구하여 나간다면 우리나라사람 모두가 표준어를 쓰는 날도 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문학교육의 본질과 지표
인터넷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가학성 오락 프로그램(매스컴)의 실태와 해결방안-x맨,질풍노도..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봄<<발...
정신분열병 케이스
신문과 국어교육 - 논문요약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Real Variety Program)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지도중점과 지도내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와 지도교사, ...
장애인 이해 봉사
스타마케팅,스포츠스타마케팅,마케팅전략,마케팅사례,김연아마케팅
TV 만화의 변화가 아동에게 미친 영향과 그 해결 방안
매체행사 and 스포츠와 tv의 공생
일본대중문화의 역사적 변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