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의 본질과 지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문학교육의 이해
제1절 문학교육 논의의 전제
가. 문학교육의 현재성
·문학교육의 일상성
·학교교육과 생활교육
나. 문학교육의 원론적 시각
·근본이 되는 이론으로서의 원론
·문학의 본질에 기반을 둔 원론
·포괄적 시각의 원론
제2절 문학을 보는 눈과 문학교육론
가. 실체 중심의 문학관과 문학교육
·실체 중심의 설명 방식
·실체 중심 문학관의 효용과 한계
나. 속성 중심의 문학관과 문학교육
·속성 중심의 설명 방식
·속성 중심 문학관의 효용과 한계
다. 활동 중심의 문학관과 문학교육
·활동 중심의 설명 방식
·활동 중심 문학관의 효용과 한계
라. 문학을 보는 관점의 수립
·포괄적 시각
·위계적 시각
·통합적 시각
제3절 언어의 본질과 문학교육
가. 언어의 본질
·활동으로서의 언어
·도구성
·자기실현성
·문화성
·창조성
·유희성
나. 교육과 문학교육의 이해
·교육의 본질
·문학의 교육
·문학능력의 교육
·문학능력 교육의 이상

제2장 문학교육의 목표
제1절 언어 능력의 증진
가. 문학 언어의 본질과 일상어의 관계
나. 언어활동의 적절성 확보
다. 효율적 언어활동능력 증진
라. 개성적 언어활동 능력 향상
제2절 개인의 정신적 성장
가. 삶의 표현으로서의 문학
나. 지적 정서적 체험의 확대 심화
다. 총체적 안목의 배양
라. 인격의 함양
제3절 개인적 주체성 확립
가. 문학적 상상의 본질과 주체성
나. 문화 분석 능력 배양
다. 비판적 안목과 태도 증진
라. 주체적 생활 태도 확립
제4절 문화의 계승과 창조 능력 증진
가. 문학의 문화적 본질
나. 공동체적 동질성 확보
다. 미적 감수성과 지적 세련성 증진
라. 새로운 문화 창조 능력 함양
제5절 전인적 인간성 함양
가. 문학의 전인적 본질
나. 인간성에 대한 합리적 이해 능력 배양
다. 독립과 자발의 태도 함양
라. 체험의 확장을 통한 자기 쇄신 능력 확보

본문내용

다.
또 사람마다 세상을 달리 살 수도 있으며, 동일한 사물에 대한 해석이 사람마다 다를 수 있는 것도 문학의 개별성과 관계된다. 그래서 문학 작품은 계속 생산되는 것이고, 동일한 문학 작품도 되풀이해서 읽을 수 있으며, 같은 대상에 대한 작품도 수를 헤아릴 수 없되 각기 다르다.
문학의 이러한 개별성은 전인교육이 추구하는 삶의 자율성과 관계가 깊다. 인간의 본질이 스스로 추구하고 실현하며 성장하는 것이듯이, 전인교육은 그 모든 일을 스스로 하는 것을 이상으로 한다. 전인교육의 이러한 점은 문학 능력의 개별성이 독자적으로 바라보고 생각하며 느끼고 행동하는 것이라는 본질과 바로 그대로 합치한다.
또한 문학이 현실의 대리물이나 지시물이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대상(對象)이 된다는 문학의 자족성(自足性)도 전인적 능력이 추구하는 자율성과 서로 통한다. 문학이 그 자체로 대상이 된다는 말은 <토끼전>의 '토끼'나 <흥부전>의 '흥부'가 현실 속의 '김 아무개'나 '이 아무개'처럼 독자적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문학이 그려 낸 세계는 그것 자체로 바라보면 된다. 그런데 현실 속의 '김 아무개'나 '이 아무개'는 현실 속의 여러 관계에 의해서 그 의미가 규정된다. 그러나 춘향이나 홍길동은 그 작품 속에서만 규정되므로 얼마든지 독자적인 존재가 된다. 독자적 존재는 그 스스로 의미와 가치를 구현하는 존재이므로 그러한 존재의 독자성은 곧 독자적으로 생각하는 태도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독자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문학의 자질 그 자체가 바로 전인적 능력이 이상으로 하는 자율성(自律性)이다.
따라서 문학교육이 이러한 개별성과 대상성(對象性)이라는 문학의 속성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면 그 목표는 자연스럽게 자발성을 지향하게 마련이다. 그리고 그 목표는 전인적 능력으로 대치될 수 있게 된다.
라. 체험의 확장(擴張)을 통한 자기 쇄신 능력 확보
문학 능력은 그 자체를 수행하는 능력에 머물지 않고 다른 능력으로 전이되고 확장될 수 있다. 문학적 통찰력을 갖춘 사람은 더불어 사는 삶의 가치를 알고 실행할 수 있으며, 남의 행위를 편견 없이 이해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작가가 되기를 목표로 하지 않는 사람이 작품을 즐겨 읽는 것도 이 때문이며, 법조인이 되려는 사람은 적어도 소설 2백권은 읽어야 한다는 말도 이러한 확장성(擴張性)을 두고 나온 말이다.
문학의 확장성은 무엇보다도 먼저 문학의 형상이 지닌 표상성(表象性)에서 온다. 문학이 제시하는 형상은 그 자체로 사실이 아니라 하나의 무엇인가 의미를 함축하는 표상이기 때문에 그 의미는 매우 다양하게 해석되며, 또한 해석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의미가 거듭 추가되면서 새롭게 해석된다. 현실 속의 사물을 하나의 상징으로 바라볼 때 그 의미가 매번 동일하지 않다든지, 인생의 경험을 쌓고 나면 동일한 대상에서도 전과는 판이하게 다른 새로운 의미를 터득하게 된다든지 하는 것은 상징이 지속적인 확장의 능력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을 깨닫게 해 준다.
이처럼 상징성이 확장성으로 이어지는 것은 전인적 능력이 융통성과 창의성을 이상으로 하는 것과 맥이 통한다. 동일한 사물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 내는 능력은 발견이며, 발견은 새로운 것의 창조로 연결되는 능력이 된다.
문학의 확장성은 문학 그 자체가 본질적으로 창조 행위인 데서도 드러난다. 문학은 없는 형상을 새로이 만들어 내는 일이다. 그 새로움이란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처럼 이미 있는 것을 그제서야 새로 알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는 하지만, 인식의 범주에 들지 않던 것을 새로이 등장시키는 그 자체는 발견을 넘어서서 발명에 가깝다. 그래서 우리는 일찍이 없던 황석영(黃晳英)의 '장길산(張吉山)'을 만날 수 있으며,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마크 퉤인(Mark Twain)의 '톰 소여(Tom Sawyer)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창조성은 전인적 능력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창의성 그 자체이다.
전인적 능력은 본질적으로 조화로운 통합과 상승으로 전체를 이룬 능력을 지향하듯이 문학교육의 목표가 그러한 통합과 상승에 있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따라서 전인적 능력을 지향하는 문학교육의 요소가 문학의 통합성, 자족성, 확장성에 근거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각각의 목표라기보다는 전인이라는 통합에 지향점을 둔 것이라야 함은 물론이다.
<참고문헌> 제1부 제1장-제2장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교육학대백과사전』, 하우동설, 1998.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편,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1999.
이돈희, 『교육적 경험의 이해』, 교육과학사, 1993.
Chris Jenks, Culture, Routldge, 1995.
Christopher Brumfit ed., Assessment in Literature Teaching, Macmillan Publishers Ltd., 1991, pp.17-18.
Gillian Lazar,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H. H. Stern, Fundamental Concepts of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p.169.
J. A. Cuddon, A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and Literary Theory, Basil Blackwell Ltd., 1992,
Jonne Collie & Stephen Slater, Literature in the Languag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Paul du Gay & Others, Doing Cultural Studies-The Story of the Sony Walkman, SAGE Publications Ltd., 1997.
Peter Farb, Word Play, 이기동·김혜숙·김혜숙 옮김, 『말-그 쓰임과 모습』, 한국문화사, 1997.
Ronald Carter & Michael N. Long, Teaching Literature, Longman, 1992.

키워드

문학교육,   문학,   교육,   본질,   지표
  • 가격3,000
  • 페이지수47페이지
  • 등록일2003.10.07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7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