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방법-ssps 분석과제 숙명여자대학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구방법-ssps 분석과제 숙명여자대학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성실성과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표10>
<표10>을 보면 성실성은 베타=.166, p<.182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장의 성실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더십(베타=.150, p<.229)도 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은 교사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6)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표11>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 직 몰 입
B
β
t
p
성실성
.241
.237
1.989
.049
리더십
.057
.193
1.617
.109
R2
.154
F
9.857
**p<.05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표11>
<표11>을 보면 성실성은(베타=.241, p<.049)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장의 성실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요인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더십(베타=.193, p<.109)은 유의확률이 .01보다 높은 .109이므로 교장의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
7)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영향
<표12>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영향
조 직 변 화 거 부
B
베타
t
p
성실성
-.523
-.262
-2.058
.042
리더십
.104
.178
1.404
.163
R2
.038
F
2.119
**p<.05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표12>
<표11>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요인으로 성실성은(베타=-.262, p<.042)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확률이 .05보다 낮으므로 교장의 성실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리더십(베타=.178, p<.163)은 유의확률이 .05보다 높으므로 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

키워드

숙명,   대학원,   교육,   연구방법,   spss,   통계,   자료조사,   분석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31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