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성실성과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표10>
<표10>을 보면 성실성은 베타=.166, p<.182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장의 성실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더십(베타=.150, p<.229)도 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은 교사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6)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표11>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 직 몰 입
B
β
t
p
성실성
.241
.237
1.989
.049
리더십
.057
.193
1.617
.109
R2
.154
F
9.857
**p<.05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표11>
<표11>을 보면 성실성은(베타=.241, p<.049)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장의 성실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요인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더십(베타=.193, p<.109)은 유의확률이 .01보다 높은 .109이므로 교장의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
7)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영향
<표12>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영향
조 직 변 화 거 부
B
베타
t
p
성실성
-.523
-.262
-2.058
.042
리더십
.104
.178
1.404
.163
R2
.038
F
2.119
**p<.05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표12>
<표11>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요인으로 성실성은(베타=-.262, p<.042)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확률이 .05보다 낮으므로 교장의 성실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리더십(베타=.178, p<.163)은 유의확률이 .05보다 높으므로 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
<표10>을 보면 성실성은 베타=.166, p<.182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장의 성실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더십(베타=.150, p<.229)도 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은 교사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6)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표11>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 직 몰 입
B
β
t
p
성실성
.241
.237
1.989
.049
리더십
.057
.193
1.617
.109
R2
.154
F
9.857
**p<.05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표11>
<표11>을 보면 성실성은(베타=.241, p<.049)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장의 성실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요인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더십(베타=.193, p<.109)은 유의확률이 .01보다 높은 .109이므로 교장의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
7)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영향
<표12>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영향
조 직 변 화 거 부
B
베타
t
p
성실성
-.523
-.262
-2.058
.042
리더십
.104
.178
1.404
.163
R2
.038
F
2.119
**p<.05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표12>
<표11>교장의 성실성과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변화거부에 미치는 요인으로 성실성은(베타=-.262, p<.042)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확률이 .05보다 낮으므로 교장의 성실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리더십(베타=.178, p<.163)은 유의확률이 .05보다 높으므로 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
추천자료
기업윤리 경영이란 무엇인가 _ 사례조사분석자료
삼원조직(평직, 능직, 수자직)에 관한 조사자료
한국의 전통차, 다과, 떡, 음식에 대한 조사자료
GIS발전현황과 개념,역사,표현 등에 관한조사자료
Edge Detection 경계선 검출에 관한 조사자료(논문형식)
'현대생활의 화가' 제프월(Jeff Wall) 조사자료입니다.
쇼비지니스)Mardi Gras show -Festival 조사분석자료
고령층 이동권과 사회참여의 상관관계 조사자료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 조사자료-국민연금공단의 모든 것, 공기업 국민연금공단-
[관광경영학과] 티웨이(t`way)항공 분석, 조사자료 (구 한성항공)
대구 죽전동 커피시장(상업용 부동산 시장론) 분석 조사자료
유행성 이하선염 「볼거리」에 관한 조사자료 - 유행성 이하선염, 볼거리란?
여성교육론 공통) 자신의 경험에 대한 성찰 혹은 자료조사를 통해, 교육현장 혹은 문화물들에...
CJ E&M 의 가치사슬 과 5 FORCES MODEL 자료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