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유통신조류][유통기업][유통시장][유통시스템][유통물류][유통수단][유통비용][유통수익률][기업][시장]유통신조류, 유통기업, 유통시장, 유통시스템, 유통물류, 유통수단, 유통비용, 유통수익률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통][유통신조류][유통기업][유통시장][유통시스템][유통물류][유통수단][유통비용][유통수익률][기업][시장]유통신조류, 유통기업, 유통시장, 유통시스템, 유통물류, 유통수단, 유통비용, 유통수익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유통신조류
1. 아코디언 이론(Retail Accordion)
2. 변증법적 이론(Dialectic Theory)
3. 기타 이론 및 시사점
1) 자연 선택(Natural Selection) 이론
2) 수명주기이론(Life Cycle Theory)

Ⅱ. 유통기업
1. 수익성 : 미국>한국>일본 순
2. 적극적 투자로 재무안정성 다소 취약

Ⅲ. 유통시장
1. 유통시장의 변화
2. 다점포전략과 지방진출

Ⅳ. 유통시스템
1. 재판매 시스템
2. 유통 시스템
3. 주문형 미디어 유통 시스템
4. 서비스 플랫폼
5. 다중 마케팅 시스템
6. 인터페이스 서비스
7. 리딩 플랫폼
8. 솔루션 서비스
9. 온북의 목표
10. 새로운 정형 창출 시도

Ⅴ. 유통물류

Ⅵ. 유통수단

Ⅶ. 유통비용

Ⅷ. 유통수익률
1. 1단계 추정
2. 2단계 추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른 모형에 의한 가격의 차이를 나타낸다.
1. 1단계 추정
거래금액이 일정기준 이상인 채권만을 대상으로 하여 추정을 한 이유는 거래 금액이 작은 경우 채권시장에서 거래수익률 실세금리를 반영하지 않고 거래되는 현실적 문제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투신사의 자전거래로 인해 발생하는 왜곡된 유통수익률 자료의 문제는 통계학적 입장에서 보면 특이치의 문제로 볼 수 있는데, LAD 방법은 특이치가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줄여준다고 알려져 있다. 일관된 추정방법(robust estimation)의 하나인 LAD 방법이 특이치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줄여주는 이유는 최소자승법과는 달리 오차의 중앙값(median)을 최소화하도록 모형의 모수값을 추정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차의 절대값은 통계학적으로 볼 때, norm을 사용한 방법으로 오차의 절대값이 재정거래(arbitrage transaction)를 성립시키는 가격오차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경제적인 의미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2. 2단계 추정
1단계 추정 후 실제 유통수익률과 모형에 의해 추정된 수익률이 50 베이시스 이상 차이가 나는 거래를 제외한 나머지 거래를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모형을 LAD 방법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2단계 추정에 포함되는 자료는 거래금액이 1억 원 이상이고 1단계 추정결과 가격오차가 50 베이시스 이하인 거래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2단계 추정을 실시함에 따라 최종 모형의 추정에 사용된 유통수익률 자료는 일평균 21.5개로 이용 가능한 유통수익률 자료의 약 40%에 달하였다. 이를 일별로 보았을 때 2단계 추정에 이용된 유통수익률의 최대 건수는 164건, 최소는 6건으로 각각 일별 이용 가능 자료의 100%와 3%에 해당된다.
9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총 163 거래일 동안의 산금채 유통수익률을 대상으로 하여 Nelson-Siegel 모형을 추정하여 구한 일평균 가격오차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LAD 방법을 이용하여 2단계 추정을 한 산금채 유통수익률의 일평균 가격오차에 대한 기초 통계량으로 평균 가격오차는 약 20 베이시스였다. 이는 Bliss에 보고된 미국 재무성 증권의 5~10 베이시스, 그리고 10년 만기 일본국채를 대상으로 한 Eom, Subrahmanyam, Uno(1998)에서 보고된 10 베이시스에 비해서 가격오차가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1차 추정만을 한 경우 가격오차의 평균이 100 베이시스가 넘는 점을 감안하면 2단계 추정이 특이치를 상당히 제거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LAD 방법을 이용하여 수익률 곡선을 추정하는 경우 1차 추정 결과 가격오차가 2차 추정 결과에 비해 상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1차 추정에 의한 수익률 곡선과 2차 추정에 의한 수익률 곡선이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LAD 방법이 특이치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줄여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LAD 방법이 본고에서 이용한 Nelson-Sielgel 방법에 의한 수익률 곡선의 추정문제뿐 아니라 삼차 스플라인 방법 등과 같은 여타의 수익률 곡선 추정방법에 있어서도 국내 채권시장 자료에서 문제가 되는 특이치의 영향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판단되어 향후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유통수익률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와 시가평가 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수익률 곡선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추정된 유통수익률과 추정된 시가 평가 수익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Nelson-Siegel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된 두 자료간의 만기별 수익률 곡선의 추정치 차이에 관한 기초통계량을 요약한 것이다. 만기 3개월 추정치의 차이는 △0.0012%(t-통계치 △0.0777)로 각 자료에 의해 추정된 수익률 곡선 추정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만기가 0.5년에서 3.5년 사이의 추정치의 차이를 살펴보면 유통수익률을 이용한 경우가 시가평가 수익률 자료를 이용한 경우 보다 체계적으로 13~37 베이시스 더 높고 두 추정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기가 3.75년 이상인 경우에도 유통수익률을 이용한 경우가 시가평가 수익률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나 두 추정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시가평가 수익률 자료와 유통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를 보면, 현재 증권업협회에서 발표하는 시가평가 수익률이 유통수익률 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특이치의 효과를 수익률 곡선 추정시 상당히 제거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LAD 추정을 이용한 2단계 추정에 의해 얻어진 유통수익률의 가격오차가 약 20 베이시스인 점을 고려한다면, 유통수익률에 의한 수익률 곡선 추정치가 평균적으로 시가평가 수익률에 의한 추정치 보다 높은 이유가 단순히 2단계 추정 후에도 유통수익률 자료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특이치에 의해 야기되어진 결과로 보기는 어렵다. 이는 현재의 시가평가 수익률이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실제 거래가격과 괴리되어 결정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향후 시가평가 수익률의 산정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특히 단기 수익률 곡선 추정에 있어 두 추정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존재함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채권시장에서 채권발행 후 기간이 상당히 경과된 단기의 채권에 대한 가격 발견기능(price discovery)이 장기 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박경애(2011), 유통시장의 플래그십 스토어 트렌드 : 현황을 통한 고찰, 한국의류산업학회
박정수(2011), 유통기업의 영업방식에 따른 서비스품질차원과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안재문 외 3명(2010), 확률적 수요를 갖는 유통시스템의 효율적 계약방식, 한양대학교
정기한, 박귀정 외 1명(2013), 시장지향적 유통경영론, 경상대학교출판부
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2012), 물류시론 - 유통물류산업의 발전방향, 한국파렛트 컨테이너협회
Nariu Tatsuhiko 저, 강경구 외 2명 역(2013), 유통의 경제이론, 충남대학교출판부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