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1. 문화
(1) 문화의 의의
(2) 부분문화와 전체문화
Ⅱ. 本
1. 행정문화
(1) 행정문화의 의의와 형성
(2) 한국행정에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문화
(3) 한국 행정문화의 특징
2. 경찰문화
(1) 경찰문화의 특징
(2) 과거 한국경찰문화에 대한 평가
3. 경찰충성
(1) 충성의 의의
(2) 충성의 유형
(3) 충성의 특징
(4) 경찰문화에서의 의리
(5) 경찰업무의 충성
4. 경찰의 냉소주의
(1) 냉소주의의 의의
(2) 냉소주의와 회의주의
(3) 냉소주의의 원인
(4) 냉소주의의 병폐
(5) 냉소주의의 극복방안
Ⅲ. 結
1. 문화
(1) 문화의 의의
(2) 부분문화와 전체문화
Ⅱ. 本
1. 행정문화
(1) 행정문화의 의의와 형성
(2) 한국행정에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문화
(3) 한국 행정문화의 특징
2. 경찰문화
(1) 경찰문화의 특징
(2) 과거 한국경찰문화에 대한 평가
3. 경찰충성
(1) 충성의 의의
(2) 충성의 유형
(3) 충성의 특징
(4) 경찰문화에서의 의리
(5) 경찰업무의 충성
4. 경찰의 냉소주의
(1) 냉소주의의 의의
(2) 냉소주의와 회의주의
(3) 냉소주의의 원인
(4) 냉소주의의 병폐
(5) 냉소주의의 극복방안
Ⅲ. 結
본문내용
의의 냉소주의는 대개 도덕적 의심에 근거한 불신을 반영한 것으로 대상이 특정되어 있지 않고 정치 일반, 경찰제도 전반에 대하여 아무런 근거 없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서 대상을 개선시키겠다는 의지가 없다.
(2) 냉소주의와 회의주의 회의주의는 냉소주의와 마찬가지로 불신을 내용으로 하지만 대상이 특정화되어 있 고, 특정 대상을 합리적으로 의심하는 것이다. 그러나 냉소주의와 달리 건전한 회의 주의는 대상을 개선시키겠다는 의지가 있다. 냉소주의는 회의주의와 차이가 있는 바, 회의주의(skepticism)는 개별적 사안에서 합 리적 의심을 하여 비판을 하는 것이고, 냉소주의(cynicism)는 합리적 근거없이 사회 에대한 신념의 결여로 인해 생겨난다.
(3) 냉소주의의 원인 조직적 냉소주의는 공중의 생활이 위선으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할 때, 그리고 경찰 조직이 하급직원에 대하여 무리한 요구를 할 때 나타난다. 냉소주의는 경찰관이 공중이 도덕적으로 타락하였다고 생각하거나 상부의 지시가 부 당하다고 생각될 때 나타난다.
(4) 냉소주의의 병폐 냉소주의는 극단적이고 객관성이 결여되어 모든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문화를 주장한 다. 냉소주의는 경찰관의 충성을 도덕적 제약으로부터 해방시켜 조직에 대한 반발과 일 탈현상을 초래한다. 냉소주의는 경찰의 전문직업화를 저해할 수 있다. 냉소주의의 가장 심각한 병폐는 그것이 우리들이 냉소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사용하 는 수단 자체를 감염시켜 버린다는 사실이다.
(5) 냉소주의의 극복방안 상사와 부하의 신뢰회복 의사소통(communication)과정의 개선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Ⅲ. 結 새로운 역사의 패러다임에 걸맞게 경찰문화도 부정적인 경찰관료문화의 구태를 벗고 민주시민사회에 맞게 전환되어야 한다. 즉, 치안서비스의 지향가치가 시민에게로 향 하면서 시민의 치안서비스 만족도가 극대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직무의 기술과 방법의 부단한 개발, 조직 내 인간의 창의력과 자발성이 존중되어 근무의욕이 솟는 조직, 봉사함으로써 직무만족이 커지고 자아실현이 가능한 집단으로서의 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주창되는 참여·책임·자율 등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경찰문화를 확립하는 것은 개개인경찰 인의 노력에 달려 있으며 이를 위해 조직 내에 상호간에 대한 인간존중, 상하간의 격 이 없는 토론, 자기 직업에 대한 명확한 위치설정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냉소주의와 회의주의 회의주의는 냉소주의와 마찬가지로 불신을 내용으로 하지만 대상이 특정화되어 있 고, 특정 대상을 합리적으로 의심하는 것이다. 그러나 냉소주의와 달리 건전한 회의 주의는 대상을 개선시키겠다는 의지가 있다. 냉소주의는 회의주의와 차이가 있는 바, 회의주의(skepticism)는 개별적 사안에서 합 리적 의심을 하여 비판을 하는 것이고, 냉소주의(cynicism)는 합리적 근거없이 사회 에대한 신념의 결여로 인해 생겨난다.
(3) 냉소주의의 원인 조직적 냉소주의는 공중의 생활이 위선으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할 때, 그리고 경찰 조직이 하급직원에 대하여 무리한 요구를 할 때 나타난다. 냉소주의는 경찰관이 공중이 도덕적으로 타락하였다고 생각하거나 상부의 지시가 부 당하다고 생각될 때 나타난다.
(4) 냉소주의의 병폐 냉소주의는 극단적이고 객관성이 결여되어 모든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문화를 주장한 다. 냉소주의는 경찰관의 충성을 도덕적 제약으로부터 해방시켜 조직에 대한 반발과 일 탈현상을 초래한다. 냉소주의는 경찰의 전문직업화를 저해할 수 있다. 냉소주의의 가장 심각한 병폐는 그것이 우리들이 냉소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사용하 는 수단 자체를 감염시켜 버린다는 사실이다.
(5) 냉소주의의 극복방안 상사와 부하의 신뢰회복 의사소통(communication)과정의 개선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Ⅲ. 結 새로운 역사의 패러다임에 걸맞게 경찰문화도 부정적인 경찰관료문화의 구태를 벗고 민주시민사회에 맞게 전환되어야 한다. 즉, 치안서비스의 지향가치가 시민에게로 향 하면서 시민의 치안서비스 만족도가 극대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직무의 기술과 방법의 부단한 개발, 조직 내 인간의 창의력과 자발성이 존중되어 근무의욕이 솟는 조직, 봉사함으로써 직무만족이 커지고 자아실현이 가능한 집단으로서의 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주창되는 참여·책임·자율 등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경찰문화를 확립하는 것은 개개인경찰 인의 노력에 달려 있으며 이를 위해 조직 내에 상호간에 대한 인간존중, 상하간의 격 이 없는 토론, 자기 직업에 대한 명확한 위치설정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저관여와 구매행동
군인에게 있어 용기란
[마케팅조사]고객만족마케팅 - 마일리지(Mileage)와 고객화(Customization) (A+리포트)
스포츠 마케팅 -스포츠 소비자 행동-
크리스피크림 도너츠의 한국 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 확대 전략 제시
크리스피 크림 도넛의 기업 및 환경분석과 최신 마케팅 전략 분석
경영통계 기말소논문(멀티플렉스영화관 서비스품질측정)
1239699991_Building and sustaining
상표태도(브랜드태도)의 형성, 상표태도(브랜드태도)와 소비자, 상표태도(브랜드태도)와 광고...
[카지노산업]우리나라 카지노산업의 현황과 장단점 및 마케팅전략
영화 [명량 / 鳴梁 / Roaring Currents] 에 열광하는 이순신의 리더십
[병원 CRM] 병원 CRM의 사례와 발전과제 ; 병원 CRM의 정의와 문제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