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요약
2. 서론
3. 본론
4. 결론
2. 서론
3. 본론
4. 결론
본문내용
에 대해 관측해 보았다. 그 결과 슬릿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는 파장이 만들어 졌다. 그리고 슬릿 이외의 부분에 부딧힌 수면파들은 반사가 되면서 서로 간섭을 하여서 밝아지는 부분과 어두워지는 부분이 생겨났다.
세 번째 실험도 수면파의 반사와 회절에 대해 관측하는 것이 목적이었는데 방법이 달랐다. 두 아크릴판을 붙여서 슬릿을 만들지 않고 판모양의 장애물을 만든 것이다. 그 결과 아크릴판의 양 쪽을 기점으로 회절을 일으켜서 수면파가 그 뒤로 진행해 가며 아크릴 뒤 쪽까지 넓어지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장애물에 부딧힌 수면파는 역시 서로 간섭현상을 일으켜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나타내었다.
네 번째 실험은 파장의 간섭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관측해 보았다. 두 점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동심원모양의 파장들이 서로 부딧히면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정지된 것 처럼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그 중 밝게 보여서 보강 간섭이라 생각되는점 두 곳과 중간 밝기로 보인 상쇄 간섭 예상점 두 곳에 대해 수식에 대입해 보아서 맞는지 알아 보았다. 그 결과 보강 간섭이라 예상 되는 점의 파원으로 부터의 길이의 차는 각각 1.3cm, 2.9cm로 파장 1.4cm의 정수배에 가깝게 측정이 되었다. 그리고 상쇄 간섭이라 예상 되는 점의 파원으로부터 길이의 차는 각각 2.2cm, 6.5cm로 각각 파장의 약 1.5배, 4.5배가 나왔다. 불규칙 적으로 변하는 전류에 의한 진동수의 변화와 깜박거리는 불빛 때문에 아마도 오차가 났을 것이라 생각이 된다. 그러나 비교적 근사적으로 만족할수 있을만한 값을 얻어냈던 것 같다.
세 번째 실험도 수면파의 반사와 회절에 대해 관측하는 것이 목적이었는데 방법이 달랐다. 두 아크릴판을 붙여서 슬릿을 만들지 않고 판모양의 장애물을 만든 것이다. 그 결과 아크릴판의 양 쪽을 기점으로 회절을 일으켜서 수면파가 그 뒤로 진행해 가며 아크릴 뒤 쪽까지 넓어지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장애물에 부딧힌 수면파는 역시 서로 간섭현상을 일으켜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나타내었다.
네 번째 실험은 파장의 간섭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관측해 보았다. 두 점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동심원모양의 파장들이 서로 부딧히면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정지된 것 처럼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그 중 밝게 보여서 보강 간섭이라 생각되는점 두 곳과 중간 밝기로 보인 상쇄 간섭 예상점 두 곳에 대해 수식에 대입해 보아서 맞는지 알아 보았다. 그 결과 보강 간섭이라 예상 되는 점의 파원으로 부터의 길이의 차는 각각 1.3cm, 2.9cm로 파장 1.4cm의 정수배에 가깝게 측정이 되었다. 그리고 상쇄 간섭이라 예상 되는 점의 파원으로부터 길이의 차는 각각 2.2cm, 6.5cm로 각각 파장의 약 1.5배, 4.5배가 나왔다. 불규칙 적으로 변하는 전류에 의한 진동수의 변화와 깜박거리는 불빛 때문에 아마도 오차가 났을 것이라 생각이 된다. 그러나 비교적 근사적으로 만족할수 있을만한 값을 얻어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