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일반세균의 형태와 크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세균의 기본 형태
2. 세균의 크기
3. 세균
4. 그람 염색

본문내용

B. 구균 (coccus, cocci)
i. 대부분 그람양성균이며, 폐렴쌍구균을 제외한 쌍구균은 거의 그람음성균이다.
ii. 병원성을 지닌 구균은 감염되면 염증, 화농을 일으키며 술파제나 각종 항생물질을 사용하면 치료 효과가 있다. 다만, 포도상구균 감염은 임상적인 치료가 곤란하다.
iii. 단구균, 쌍구균, 사련구균, 팔련구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이러한 독특한 배열들은 세균의 생식과정에서 생기는 결과이다.
C. 간균 (rod, rods)
i. 각 간균의 명칭은 결핵균등과 같이 보통 그 간균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명을 붙여서 명명한다.
ii. 완전 호기성이거나 통성혐기성이다
iii. 효소∙카탈라아제에 양성 반응을 보인다.
iv. 자연에서 흔히 발견되는 간균은, 독립 생활을 하는 종류와 병원균의 종류를 포함한다.
v.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 조건에서 세포들은 계란형의 내성포자들을 생성하여 연장된 기간 동안 휴면기로 머물 수 있다.
vi. 원래 이러한 특성들이 속(屬)을 결정하였지만, 모든 종들이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이 아니어서, 여럿이 다른 속으로 옮겨졌다.
vii. 단간균(구형간균), 장간균, 쌍간균, 연쇄쌍간균, 방추간균(양끝이뾰족)
D. 나선균 (spirilum, spirilla)
i. 호기성 세균이어서 보통의 배양기에서 잘 성장한다.
ii. 부패한 물, 또는 괸 물, 짠물에서 분리된 것도 많으며 토양성인 것도 있다.
iii. 병원성 나선균에는 콜레라균, 매독균 등이 속하며, 한국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위암의 주요 원인인 헬리코박터피로리도 나선균에 속한다.
iv. 나선균, 완곡균(vibrio균)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8.08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870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