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놀이(민속놀이) 하늘땅놀이,기차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 열발뛰기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 깡통차기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 산가지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육거리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 수건돌리기놀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놀이(민속놀이) 하늘땅놀이,기차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 열발뛰기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 깡통차기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 산가지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육거리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 수건돌리기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전통놀이(민속놀이)1 하늘땅놀이
1. 의미
2. 놀이방법

Ⅱ. 전통놀이(민속놀이)2 기차놀이
1. 준비물
2. 놀이인원
3. 놀이방법

Ⅲ. 전통놀이(민속놀이)3 열발뛰기놀이
1. 놀이인원
2. 놀이장소
3. 놀이순서

Ⅳ. 전통놀이(민속놀이)4 깡통차기놀이
1. 놀이내용
2. 준비물
3. 심화놀이기법
4. 비고
5. 목표
6. 전개과정
7. 주의사항

Ⅴ. 전통놀이(민속놀이)5 산가지놀이
1. 준비물
2. 놀이 준비하기
1) 편가르기
2) 산가지 늘어놓기
3) 순서 정하기
3. 놀이방법
1) 주사위 던지기
2) 주사위 깨기
3) 산가지 가져오기
4) 산가지 내놓기

Ⅵ. 전통놀이(민속놀이)6 육거리놀이
1. 참가 인원
2. 놀이 방법

Ⅶ. 전통놀이(민속놀이)7 수건돌리기놀이
1. 방법
2. 준비물
3. 운동기능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도록 한다.
7. 주의사항
돌이 너무 뾰족하지 않은 것을 선택하도록 하며, 옆 친구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한다.
Ⅴ. 전통놀이(민속놀이)5 산가지놀이
1. 준비물
주사위 2개 이상, 산가지(대나무, 성냥개비)
2. 놀이 준비하기
1) 편가르기
뒤집어라 엎어라 또는 이긴 진으로 두 편으로 나눈다.(가위 바위보로 이긴 사람과 진 사람으로 나누기)
2) 산가지 늘어놓기
각 편에서 산가지를 1에서 6까지 늘어놓는다.
┃ ┃┃ ┃┃┃ ┃┃┃┃ ┃┃┃┃┃ ┃┃┃┃┃┃
1 2 3 4 5 6
3) 순서 정하기
가위 바위보로 어느 편이 먼저 할지 정한다. 같은 편 내에서도 차례를 정한다.
3. 놀이방법
1) 주사위 던지기
차례대로 주사위를 던진다.
2) 주사위 깨기
주사위 2개를 가지고 할 때는 한 개를 먼저 던져놓고 다른 한 개로 맞추어서 번호를 바꿀 수도 있다.
3) 산가지 가져오기
주사위를 던져서 나오는 눈금에 해당하는 산가지를 가져온다. \'3\'이 나오면 3개의 산가지를 가져간다.
4) 산가지 내놓기
이미 가져간 산가지의 눈금이 나오면 다시 내놓는다. \'3\'이 또 나오면 다시 내놓는다.
먼저 산가지를 모두 가져간 편이 이긴다. 너무 작은 주사위보다는 큰 주사위가 관심을 끌기에 좋다. 정육면체로 주사위를 직접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Ⅵ. 전통놀이(민속놀이)6 육거리놀이
1. 참가 인원
10 - 16명
2. 놀이 방법
1) 두 편을 가른 뒤 이긴 편은 ㈎에서 작은 말(작고 동그란 사금피리, 기왓장 등)을 차례로 네모칸에 던지며 ※표까지 갔다가 되돌아오면 이긴다.
2) 이때 진편은 말이 통과하지 않도록 통로에서 가로막는다.
3) 이긴 편은 미리 건너간 자기편끼리 수비편의 방해를 피해 이리 저리 움직이며 말을 머리 위나, 다리 사이, 옆구리 틈으로 던져서 주고 받는다.
4) ※표까지 갔다가 되돌아올 때도 같은 방식이다.
5) 도중에 수비편이 말을 받거나, 가로채면 공격과 수비가 바뀐다.
6) 네모칸이 4개인 경우를 ‘4박전’, 8개면 ‘8박전’이라고 한다.
Ⅶ. 전통놀이(민속놀이)7 수건돌리기놀이
1. 방법
① 술래를 한 학생 정하고 나머지 학생은 원으로 둘러앉는다.
② 술래는 수건을 가지고 둘러앉아 있는 학생들의 뒤를 빙빙 돌아다니다가 누군가의 등 뒤에 몰래 수건을 내려놓는다.
③ 자기 등뒤에 수건이 놓여졌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두 손을 등 뒤로 돌려 더듬어서 찾는 수밖에 없다.
④ 술래는 누군가의 뒤에 몰래 수건을 내려놓고, 재빨리 원을 완전히 한 바퀴 돌아 올 때까지 모르고 있으면 등을 친다. 등을 치인 학생을 원 안에 들어가 앉아 있는다.
⑤ 술래가 오기 전에 수건이 있는 것을 안 학생은 수건을 들고 술래를 따라간다. 이때 술래는 먼저 달려가면 뒷 술래 자리에 앉고, 등을 치이게 되면 원 안에 들어간다.
⑥ 원안에 3-4명이 되면 엉덩이로 이름쓰기 등 벌칙을 준다.
⑦ 수건은 손수건이나 작은 수건을 가지고 하는 것이 좋다. 앉아 있는 학생들은 절대 뒤를 돌아보거나 옆을 보아서는 안된다.
2. 준비물
손수건
호루라기
3. 운동기능
달리기
균형잡고 이동하기
참고문헌
강신일 외 1명(2000), 청양 지역 민속놀이에 관한 조사, 공주대학교
김혜숙(2008), 집단 게임 교수방법에 의한 전래놀이가 만 5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문은식 외 1명(2009), 전통마당놀이 활동이 유아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이기숙, 정미라 외 1명(2010), 전통유아놀이의 연구와 실제, 창지사
이영호(2010), 절로 흥이 나는 전통놀이, 삼성비엔씨
조성숙(2002), 초등학교 전통놀이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