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의 글과 그림읽기 -글과 그림과의 관계 (생쥐와 고래, 애벌레 모험, 꿈을 먹는 요정, 바람이 휙 바람이 쏴, 글 그림 관계, 그림책 글 그림읽기, 글 역할, 그림 역할, 글 그림 상호작용 관계, 글 그림 소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림책의 글과 그림읽기 -글과 그림과의 관계 (생쥐와 고래, 애벌레 모험, 꿈을 먹는 요정, 바람이 휙 바람이 쏴, 글 그림 관계, 그림책 글 그림읽기, 글 역할, 그림 역할, 글 그림 상호작용 관계, 글 그림 소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머릿말
2.책 소개
1)생쥐와 고래
2)애벌레의 모험
3)꿈을 먹는 요정
4)바람이 휙, 바람이 쏴
3.글과 그림과의 관계
위의 각 그림책에서
1)글의 역할
2)그림의 역할
3)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에 따른 관계
4.맺음말

본문내용

정보를 지니고 있다.
2)그림의 역할
-공간의 변화
이 그림책에서 그림은 공간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림들은 단잠나라의 풍경과 왕이 여행을 떠나서 거쳐가는 장소들을 차례로 보여준다. 처음에 단잠나라의 전경에서 시작하여 공주의 방, 왕의 모험길, 다시 요정과 함께 돌아오는 길에서 공주의 방으로 옮겨지는 공간을 그림은 나타내고 있다.
-서사
공주가 잠을 못 이루자 왕이 여행을 하다가 요정을 만나서 다시 단잠나라로 돌아가고 다시 공주에게 돌아와 잠을 잘 잘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림만으로도 대략적인 이야기는 짐작할 수 있지만 왕과 요정이 나눈 대화가 무슨 내용인지, 요정이 왕에게서 외투, 장화, 지팡이를 갖고 가서 무엇을 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고정
각 그림들은 대개 글 속의 한 장면을 포착하여 표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여행을 떠나는 장면에서 왕이 큰 배낭을 메고 우산까지 챙긴 것에서 “그래서 단잠나라 왕은 넓은 세상으로 먼 길을 떠나게 되었지요.”라고 길고 먼 여행의 시작을 알리는 문구에 집중하게 된다.
3) 글과 그림의 관계
-대응관계-정교화
『꿈을 먹는 요정』에서 글과 그림은 서로 대응 관계에 있다. 그 중에서도 그림은 글을 정교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왕이 길에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악몽을 물리칠 수 있는 방법을 일일이 물어보는 장면에서, 단 한 장면에 왕이 물어본 사람들- 에스키모, 카우보이, 채소장수, 흑인꼬마, 기관사, 택시 운전사, 소방수, 공장지구언, 학교 선생님, 중국의 노인-모두를 한사람이라도 놓칠새라 꼼꼼하게 곳곳에 그려놓았다. 왕이 눈덮힌 들판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장면을 보면 글에서는 “눈에 덮힌 금작화가 으스스하고 기괴한 모습으로 사방에 퍼져 있었어요”라고 되어있는데 그림은 그런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또 머리가 가시로 뒤덮혀 있고 입이 매우 크다고 묘사되어 있는 요정의 모습이 그림에 잘 나타나 있다. 또 악몽을 물리치러 세계 각국의 사람들을 만나는 장면이나 요정과 함께 단잠나라로 돌아가면서 미국, 아프리카 등을 지나치는 장면에서는 그림에서 각 나라의 모습과 원주민의 특징을 구체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바람이 휙, 바람이 쏴>
1)글의 역할
-시간의 흐름과 공간의 변화
“점심때쯤 레오는 산등성이 까지 올라갈 수 있었습니다.”, “계곡을 넘어가자 날이 어두어 졌습니다.”, “레오가 눈을 떴을 때에는 이미 환한 아침이었습니다.”, “그래서 다음날 메오도 똑같은 길을 따라 산으로 올라갔습니다.”를 통해 시간이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깊은 계곡이 나왔습니다.”.“나무그늘 아래에는 두꺼비 한 마리가 숨어 있었습니다.”, “마침내 레오는 오두막에 도착했습니다.”, “집 앞에서 장작을 패고 있던 동생 메오는 레오가 오는 소리를 듣고 뒤를 돌아보았습니다.”를 통해 레오와 메오의 공간 이동에 대한 설명이 나타나 있다.
- 담론
시간적 논리에 따라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림에서 나타난 상황과 문맥을 글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므로 담론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중계와 고정
이 작품은 그림만 보고는 내용을 이해할 수 없다. 그림에는 마치 원시인과 같은 복장의 두 사람이 차례로 산을 올랐갔다, 내려갔다 하는 것만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글을 통해 두 사람이 곱추인 형제이고, 산을 올라갈 때 자연을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였는지에 따라 선과 악이 나뉘게 된다는 내용을 자세히 알 수 있으므로 글은 중계의 역할을 한다.
2)그림의 역할
-공간의 변화
이 작품은 공간의 변화를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다. 모든 장면이 산속을 배경으로 하기에 자세하고 세세하게 확실한 구분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집앞마당/산을 오르는 모습/계곡/다시 산을 오르고/시냇가/절벽/집으로 공간의 변화를 찾아 볼 수 있다. 주요 그림 구석에 작은 그림으로 산을 행해 오르는 레오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이것은 어떤 공간의 변화보다는 멀리서 레오를 봐라보는 시점, 옆에서 바라보는 시점으로 그려 행동의 묘사를 자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날씨의 변화는 그림에서 나타나지만, 그림만 보았을 때 시간의 흐름은 짐작하기 어렵다.
- 서사와 담론
두 사람이 번갈아 가며 산에 오르내리면서 자연에 변화가 생기고, 그들 자신에게 변화가 생겼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왜 변화가 생긴 것인지, 동생은 왜 똑같은 길을 떠난 것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 고정
첫 번째 페이지에서 한 쪽에는 동물들을 자상하게 돌보는 레오가, 한쪽에는 동물들을 내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1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