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10년을 움직일 제3의 자본, 사회적 자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로운 10년을 움직일 제3의 자본, 사회적 자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적 자본
2. 한국사회의 사회적 자본
3. 기업 경영, 마케팅 측면에서의 사회적 자본
4. 결론

본문내용

치 경제의 발전을 지지해 주는 윤리적 기반(ethical infrastructure)이 된다.
⑦ 국력과 국가경쟁력의 실체 : 1990년대 들어서는 인적, 물적 자본보다 사회적 자본이 국가경쟁력이나 국력의 실체로서 작용하며 심지어는 경제발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자본이 풍부한 사회일수록 거래의 안전이 보장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장이 제고
-"모든 종류의 상거래는 일정 수준의 신뢰를 필요로 한다."(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케네스 애로우)
-"다른 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 국가 신뢰지수가 10% 떨어지면 경제성장률은 0.8% 하락"
(세계은행 수석연구원 스티븐 낵, 필립 키퍼)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경쟁시스템과 함께 사회구성원 간 신뢰가 필수"(미국 존스 홉킨大 교수 프란시스 후쿠야마)
⑧ 사회적 자본이 풍부한 사회일수록 교육, 보건, 치안, 경제, 사회적 평등수준이 높아진다.
: 학부모교사회(PTA)가 발달한 지역에서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학생들의 교육성과가 높아지고 문제 학생이 감소(퍼트넘, Bowling Alone. 2000)
⑨ 사회적 자본은 지식창출, 제품혁신, 창업 활성화에 기여한다.
* 실리콘밸리의 사회적 자본; 런치 2.0
- 점심을 뜻하는 '런치'에 IT신기술을 상징하는 '2.0'을 결합한 신조어로 실리콘밸리의 엔지니어들이 타사 구내식당을 돌아다니며 무료점심을 즐기고 인맥을 쌓는 행위에서 탄생
- 2007년 4명의 엔지니어들로부터 시작되어, 기업 간 정보 공유 및 교류, 협력의 장으로서 전 세계 IT벤처기업에 확산되었음
2. 한국사회의 사회적 자본
(1) 한국의 낮은 사회적 자본과 고비용 구조
- 한국의 낮은 사회적 자본이 경제 발전을 저해하고 각종 사회문제를 야기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옴.
- 사회분열과 공공부문에 대한 불신이 중요한 제도의 개혁을 어렵게 하여 한국경제의 효율성을 저해
- 혈연, 지연, 학연 등 폐쇄적 연고주의로 인해 사회갈등이 심화되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 (사회적 갈등비용이 국내총생산(GDP)의 25%)
- 세계가치관조사에서 한국인 10명 중 9,9명이 가족을 신뢰한다고 했으나, 처음 만난 사람에 대해서는 1.3명 만이 신뢰한다고 대답
(OECD 평균: 가족 56.95 신뢰, 처음 만난 사람 33.3% 신뢰)
- 국가경쟁력 순위 하락의 원인도 취약한 사회적 자본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
: 세계경제포럼(WEF)가 발표한 2011년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한국은 24위를 기록(142개국 中)
* 정책결정의 투명성(111→128위), 정치인에 대한 공공의 신뢰(105→111위)
- 한국의 취약한 사회적 자본은 높은 거래비용을 유발하여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
(잦은 노사갈등, 복잡한 대출규제, 높은 보증비용 등)
- 최근 사회적으로 상호 간의 신뢰를 상실케 하는 사건 발생
연예인의 탈세, 한진중공업 노사갈등 등
(2) 한국의 사회적 자본 지수
-한국의 사회적 자본 지수는 OECD 29개국 중 22위(2009)
분야
종합
신뢰
사회규범
네트워크
사회구조
지수(순위)
5.70(22)
5.21(24)
5.19(22)
6.00(13)
5.77(22)
3. 기업 경영, 마케팅 측면에서의 사회적 자본
서론의 내용과 같이 사회적 자본은 거래비용을 줄여 상거래를 활성화하며, 생산현장에서 생산성을 높이고, 각종 경제적 비리와 불공정 거래를 줄여 경제의 경쟁력을 높여준다. 그래서 요즘은 기업들도 경영효율화를 위해 사회적 자본을 경영이나 마케팅에 반영하고 있고 지난해 기업 간 네트워크를 통한 성과는 700여건에 달하고 있다.
- 글로벌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전문가 네트워크인 코라운드테이블(CauxRound Table)에 따르면 기업에 필요한 사회적 자본 10가지로 ▲비전을 통한 명확한 목표 공유 ▲창조적인 임직원을 통한 혁신 ▲임직원과 소비자의 의견청취를 통한 개선 ▲명확하게 정의된 목표를 통한 추진 ▲강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미래지향적인 리더십 ▲실수를 최소화하고 위험을 감소시킨 업무 프로세스 ▲빈번하고 명확, 솔직한 의사소통 ▲분권화 및 실적에 의한 평가를 통한 통제 ▲개인이 아니라 공동목표에 집중 ▲임직원을 진실성과 존엄성을 갖고 존중 등이다.
- 사회적 자본 기반 경영, 마케팅 사례
1) 주인 없는 가게
가게에 주인이 없어도 손님이 양심적으로 물건의 값 계산. 가게 주인과 손님의 신뢰를 바탕으로 형성된 상거래 관계의 사례로 매스컴에 보도되기도 하였음
- 손님이 직접 두부를 봉지에 담고 돈을 돈 통에 넣은 후 덮개로 덮음
- 전남 장성 '양심가게'
손님이 스스로 계산. 가게가 없던 마을에 가게를 열어 마을 주민의 소통의 장 역할도 함
(신뢰 기반, 마을 주민의 네트워크 역할)
2) 애플
- 편리하고 단순한 매뉴얼을 일관적으로 유지해 고객에게 신뢰와 경험적 가치 제공
- 수익배분구조를 '컨텐츠 개발자 : 애플 = 7:3' 으로 하여 신뢰, 믿음 형성
3) 삼성
- 무노조 경영: 삼성의 무노조 원칙은 많은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직원이 불만을 가지기 전에 성과에 대한 보상이나 복리후생을 제공하여 갈등의 소지를 일부 차단한다고 볼 수 있다.
4. 결론
사회적 자본이 발달하면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경제적 이익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사회적 자본을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며, 기업도 사회적 자본을 경영과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접목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참고문헌>
- 2030년 한국경제비전 '사회적 자본 축척' 심포지엄 보도자료(2011.9)
- 월간 CHIEF EXECUTIVE 2011년 1월호
-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적 과제’(2009)
- 사회적 경제의 플랫폼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2011)
http://blog.daum.net/miss10521201/1080857http://cafe.daum.net/a0545/5bM5/2997?docid=Jbig|5bM5|2997|20061113182756&q=%C1%D6%C0%CE%BE%F8%B4%C2%B0%A1%B0%D4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1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